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4월2일 車관세' 예고한 트럼프…대미 수출 1위 K-자동차 '비상' 2025-02-15 08:19:05
한국 대기환경보전법상 배출가스 관련 부품(ERC) 규제에 대한 언급이 명시돼 있다. NTE는 "미국 자동차 업계는 2022년 8월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이 한국으로 수입되는 신차 모델을 무작위로 선정해 검증 시험을 하는 것에 우려를 표명했다"며 "이 시험으로 인해 자동차 제조업체의 제품 출시가 지연됐다"고 지적했다....
양지영 "주택공급 감소·금리 인하 기대로 올해 집값 오를 것" 2025-02-14 17:59:26
14일 “지난해 말 집값 하락은 대출 규제,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 부동산 비수기 등이 맞물려 생긴 일시적 현상”이라며 “설 연휴가 지난 뒤 서울 송파구 등 핵심지를 중심으로 주택 가격이 반등하는 등 앞으로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주택 공급 감소와 금리 변동을 집값의 핵심 변수로 꼽았다. 양...
[사설] 부가세도 관세로 간주하겠다는 트럼프식 상호관세 2025-02-14 17:39:59
국회가 추진 중인 온라인 플랫폼 기업 독과점 규제를 걸고넘어질 가능성이 크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후보자는 최근 “미국 기업 차별은 용납할 수 없다”며 플랫폼 규제를 직격했다. 이외 자동차 배출 인증 절차, 약품 가치 불인정, 인터넷망 사용료 지급 요구, 유전자변형농산물(GMO) 승인 절차...
트럼프 "비관세 장벽도 고려"...FTA 맺은 한국도 영향 2025-02-14 15:37:01
방법으로 무역을 제한하는 것으로 보조금이나 규제, 수입제한 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온라인 플랫폼 기업 독과점 규제가 구글과 메타 등 미국 기업을 규제하는 것이나, 자동차 배기가스 부품에 대한 인증규제, 농산물 수입 승인과 검역 등이 대표적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같은 비관세 장벽이 미국 기업들의 수출...
美상호관세, 日엔 車안전기준·농산물 겨냥…日 "적절히 대응" 2025-02-14 11:45:01
2020년 발효했다. 당시 일본은 미국산 농산물 수입 규제를 완화했고, 미국에 수출하는 승용차 관세는 2.5%로 유지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일본은 관세가 대부분 철폐됐기 때문에 자동차 분야를 중심으로 비관세 장벽에 관한 실태 조사가 중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특히 자동차 안전기준 문제에서 미...
비관세장벽 겨눈 美 상호관세, 플랫폼법·무역흑자 문제삼을듯(종합) 2025-02-14 08:01:17
플랫폼법·무역흑자 문제삼을듯(종합) 美, 과거 韓의 수입차 환경 규제·약가 책정·망 사용료 등 지적 韓, 관세 대부분 철폐했지만 對美 무역흑자 커 "안심할 수 없어" 美, 2024년 對韓 무역적자 660억달러…한미FTA 개정 후 계속 늘어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부과할...
비관세장벽 겨눈 美 상호관세, 플랫폼법·무역흑자 문제삼을듯 2025-02-14 07:20:52
수입차 환경 규제·약가 책정·망 사용료 등 지적 韓, 관세 대부분 철폐했지만 對美 무역흑자 커 "안심할 수 없어"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부과할 때 상대국의 관세뿐만 아니라 비관세 장벽까지 고려하겠다고 하면서 관세 대부분을 철폐한 한국도 표적에서 벗어나기...
트럼프, 상호관세로 세계에 무역전쟁 선전포고…협상여지는 남겨 2025-02-14 06:38:19
무역 상대국이 수입품에 부과하는 특유의 조세 제도나 환경 규제 같은 비관세 장벽, 환율, 역외세금까지 고려하고 있어 문제는 복잡해진다. 특히 백악관은 이러한 비관세 장벽의 대표적인 사례로 구글이나 애플 등 미국의 거대 다국적기업에 매겨지는 '디지털세'(digital service tax)를 들었다. 캐나다와 프랑스가...
美, 4월부터 '상호 관세' 부과…트럼프 "면제·예외 없어" 2025-02-14 06:02:52
△규제 △부가가치세(VAT) △환율 △지식재산권 보호 미비 등 비관세 장벽까지 반영해 맞춤형으로 설정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무역 거래에서) 공정성을 위해 미국에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에는 동일한 수준의 상호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그는 또 “거의 모든 경우에서, 그들은 우리에게...
트럼프, 상호관세 '맞춤형 부과'…"韓 같은 동맹도 우리 이용" 2025-02-14 04:10:34
서명식에서 "미국의 수입에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미국의 경제와 국가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그는 설명했다. 자동차에 대한 관세는 철강이나 알루미늄처럼 별도로 내놓겠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 내용에서 구체적으로 국가별 관세나 시행 시기는 공개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