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미 관세폭탄에 中 저가철강 유입 비상…정부, 반덤핑카드 꺼내나 2025-02-12 11:06:23
철강 수요가 쪼그라들었지만, 저가 중국산 제품의 수입량은 오히려 늘어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중국산 제품이 국내 수요를 대체하는 만큼 국내 철강 업계의 수익도 약화할 수밖에 없는 구조인 것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대(對)중국 철강 수입은 2020년 66억7천만달러에서 지난해 103억7천만달러로 55.5%...
우크라 중부 가스시설 러 공습에 비상 순환단전 2025-02-11 19:59:15
공습을 받으면서 우크라이나의 가스 수입량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스 수급은 전력 생산 차질로도 이어졌다. 우크라이나 에너지부는 이날 공습 직후 전국 곳곳에 비상 순환단전을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우크라이나는 에너지 수급 위기가 발생할 때마다 수시로 몇시간씩 임시 단전을 하면서 에너지 사용을 제한해왔다....
'터질게 터졌다'...한국도 트럼프발 관세 폭탄 [데일리 아시아] 2025-02-11 17:59:25
순입니다. 알루미늄은 캐나다가 미국의 전체 수입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아랍에미리트(UAE), 한국 순입니다. 중국은 네번째입니다. 미국의 최우방국인 캐나다와 멕시코는 물론 동맹국인 한국 역시 비상이 걸렸습니다. 트럼프 관세 때리기가 중국에서 동맹국으로 확대됐습니다. 캐나다와 멕시코의 경우 이달 ...
'예외 없다'던 트럼프, 호주철강 관세면제 고려…"美흑자 감안"(종합2보) 2025-02-11 15:02:51
달러(약 26조원)의 무역흑자를 나타냈다. 또 호주산 제품이 미국 강철 수입량의 1%, 알루미늄 수입량의 2%만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호주 최대 철강업체 블루스코프 스틸이 미국 내 5위 철강 생산업체로 미국 여러 주에 50억 호주달러(약 4조5천600억원)를 투자했다고 덧붙였다. jhpark@yna.co.kr (끝) <저작권자(...
트럼프 "호주에 철강 관세 면제 고려…미국 무역흑자 감안"(종합) 2025-02-11 13:20:24
수입량의 1%, 알루미늄 수입량의 2%만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호주 최대 철강업체 블루스코프 스틸이 미국 내 5위 철강 생산업체로 미국 여러 주에 50억 호주달러(약 4조5천600억원)를 투자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예고한 대로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그래픽] 대미 철강·알루미늄 수출 상위국 2025-02-11 10:39:57
국제무역청(ITA)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대미 철강 수출액이 가장 많은 나라는 캐나다로 71억4천만 달러(23%)에 달했다. 대미 알루미늄 수출은 캐나다가 지난해 94억2천만 달러(54%)로 미국 전체 수입량의 과반을 차지했다. 0eun@yna.co.kr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끝) <저작권자(c)...
"일하려고 4잔씩 마셨는데…" 직장인 고충 담긴 스타벅스 디카페인 커피 2025-02-11 10:28:15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디카페인 생두, 원두 수입량은 7023t으로 2023년(6520t) 대비 7.7% 늘었다. 디카페인 음료 인기는 카페인 함량 조절을 위해서인 경우가 많다. 스타벅스가 지난해 음료 구매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자체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3명 중 1명 이상은 시간대에 따라 카페인 햠량을 조절하는...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10잔 중 1잔은 디카페인" 2025-02-11 09:29:54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디카페인 생두와 원두 수입량은 7천23t(톤)으로 전년보다 7.7% 증가했다. 디카페인 음료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자 스타벅스는 앱에서 노출되는 디카페인 음료를 대폭 확대했고, 사이렌 오더로 주문할 때 주문 화면에서 디카페인 원두를 바로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이처럼 스타벅스의 디카페인 음...
시장이 위험하다…4년간 이어질 관세 협박[트럼프 관세②] 2025-02-11 09:26:21
오를 수 있다. 실제 미국은 원유 수입량의 60.3%를 캐나다에 의존하고 있고 두 번째 국가는 멕시코(6.9%)다. 관세에 대한 우려가 물가에 선반영될 가능성도 크다. 이 문제는 미국 중앙은행(Fed)의 통화정책으로 이어진다. 물가상승에 대한 부담이 커질 경우 다시 금리인상 카드를 꺼내들 수 있기 때문이다. ◆ 한국, 보편...
美 철강 관세 '어쩌나'..."한국산 4번째로 많아" 2025-02-11 06:26:02
미국 전체 수입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그 뒤로 아랍에미리트(UAE)(9억2천만 달러·5%), 한국(7억8천만 달러·4%), 중국(7억7천만 달러·4%) 등의 순이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대미 철강 수출량이 많아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관세가 발효되면 충격을 받을 수 있다고 CNBC는 분석했다. 한국, 베트남, 일본 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