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회삿돈 빼돌린 임직원, 절반이 입사 1년내 범행 2025-02-14 17:53:58
일상 점검·검토(24.3%), 내부감사(21.5%) 등 순이었다. 노준화 충남대 경영학부 교수는 “규모가 작은 기업은 시스템보다 사람에 의존하는 경향이 커 횡령 발생 위험이 더 높다”며 “내부고발 제도, 데이터 모니터링 등 내부통제 시스템을 꼼꼼하게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직장내 괴롭힘 더는 못 버텨"…정신질환 산재 7배 급증 2025-02-14 17:52:26
스트레스 장애(68건), 급성스트레스장애(36건) 등 순이었다. 적응장애는 과도한 업무 부담, 직장 상사와의 갈등, 생활 환경 변화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아 나타나는 질병이다. 우울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불안장애, 공황장애 등과 함께 주요 산재 사유 중 하나로 꼽혀왔다. 특히 2019년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이 시행된...
"음식점 사장님 고민 1위는 배달앱수수료…결국 가격 인상" 2025-02-14 17:20:36
고용인 인건비(5.34), 임차료(5.30) 등의 순이었다. 업종별로는 카페·베이커리·디저트 업계(6.07)가 배달앱 수수료를 가장 큰 부담 요인으로 꼽았다. 조사에 참여한 점주의 47.6%는 배달앱 수수료 부담이 커져 메뉴 가격을 인상한 경험이 있다고 답변했다. 또 34.8%는 배달앱 메뉴 가격을 오프라인 매장보다 높게...
"시급 올린다"...정부, 필리핀 가사관리사 사업 1년 연장 2025-02-14 14:59:56
18가구(16%) △1만 4000원 11가구(10%) 순이었다. 이용가정과 달리 가사관리사들의 근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0명 중 7명 이상(73%)은 한국에서 계속 일하고 싶다고 응답했으나 가사관리사로 만족하는 비율은 절반(54%)에 그쳤다. 국내에서 가사관리사가 아닌 다른 일을 하고 싶어 하는 필리핀 가사관리사가...
"한국 자동차에 관세 때리면 GM도 타격"…왜?(종합) 2025-02-14 14:49:24
가장 많고 이어 한국(8.6%)·일본(8.2%)·캐나다(7.2%) 등의 순이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미국산 비중은 53.4%였다. 한국과 일본을 합치면 16.8%로, 멕시코를 넘어선다. 특히 한국산 비중은 2019년 5%(약 84만5천대)에서 지난해 8.6%(약 137만대)로 늘어났다. 일본산은 10.2%에서 8.2%로 줄어들었다. 블룸버그 통신도 미...
"한국 자동차에 관세 때리면 GM도 타격"…왜? 2025-02-14 11:25:45
가장 많고 이어 한국(8.6%)·일본(8.2%)·캐나다(7.2%) 등의 순이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미국산 비중은 53.4%였다. 한국과 일본을 합치면 16.8%로, 멕시코를 넘어선다. 특히 한국산 비중은 2019년 5%(약 84만5천대)에서 지난해 8.6%(약 137만대)로 늘어났다. 일본산은 10.2%에서 8.2%로 줄어들었다. 한국은 한미...
“정권교체” 국힘 39% vs 민주 38% 2025-02-14 10:49:01
국민의힘 대표·홍준표 대구시장·오세훈 서울시장(5%) 순이었다.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각각 1%를 기록했다. 차기 대선 결과에 대한 질문에 ‘현 정권 유지를 위해 여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이 40% ‘현 정권 교체를 위해 야당 ...
인스타 광고보고 '클릭'..."물건이 안와요" 2025-02-14 08:06:13
지인 추천 등 기타 36건(2.0%) 순이다. 피해 유형은 '브랜드 사칭'이 972건(47.1%)으로 최다를 차지했다. 판매자가 유명 패션 브랜드 사칭 쇼핑몰을 운영하고 결제를 한 사람들에게 제품을 배송하지 않은 채 연락을 두절하는 수법이 대다수였다. A씨는 인스타그램 광고를 통해 유명 해외 브랜드 쇼핑몰에 접속해...
"인스타서 들어간 쇼핑몰서 낭패" 피해 사례 속출…사기 주의보 2025-02-14 07:28:07
36건(2.0%) 순이다. 피해 유형은 '브랜드 사칭'이 972건(47.1%)으로 가장 많았다. 판매자가 유명 패션 브랜드를 사칭해 쇼핑몰을 운영하고, 결제 후 제품을 배송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락이 끊기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다음으로는 '저품질 제품 판매'가 46.5%(959건)를 차지했다. 판매자가 광고와 달리 낮은...
소비자원 "직구쇼핑몰 사기급증…인스타·유튜브 연결 67% 달해" 2025-02-14 06:00:23
추천 등 기타 36건(2.0%) 순이다. 피해 유형을 보면 '브랜드 사칭'이 972건(47.1%)으로 최다를 차지했다. 판매자가 유명 패션 브랜드를 사칭해 쇼핑몰을 운영하고 결제 후 제품을 배송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락을 두절한 사례가 대다수였다. 가령 A씨는 인스타그램 광고를 통해 유명 해외 브랜드 쇼핑몰에 접속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