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에어컨 필요 없겠네…열대야에도 '쿨쿨' 잘 자는 비결 [건강!톡] 2024-07-15 11:08:32
신 교수는 "60세 이후엔 생체시계가 있는 시상하부가 노화해 예전보다 잠을 못 자게 된다"며 "스스로 뇌의 기능을 대신하도록 주변을 관리해야 한다"고 했다. 소음, 온도 등을 조절해 잘 수 있는 침실 환경을 만들고 오후에 가볍게 운동하는 게 좋다. 잠을 방해하는 카페인 등의 섭취를 줄여 멜라토닌이 생성되기 좋은 몸...
메스꺼움 없이도 살 뺄 수 있다…부작용 없애는 비만약 연구 활발 2024-07-11 16:52:27
시상하부(DMH)를 자극해 포만감을 느끼도록 유도한다는 사실을 입증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하기도 했다. 비만약이 포만감을 유도하는 자세한 과정을 밝혀낸 연구다. GLP-1 약물은 메스꺼움 이외에도 근감소, 췌장염, 위 마비 등의 부작용이 알려져 있다. 그중에서도 근감소증은 비만약 개발사들이 가장...
"비만·산후우울증 유발 유전자 결함 발견" 2024-07-03 06:28:15
뇌 시상하부 영역에 작용한다. 연구팀은 또 TRPC5가 옥시토신 뉴런에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옥시토신 뉴런은 애정, 감정, 유대감 등에 반응해 분비돼 '사랑의 호르몬'으로 불리는 옥시토신을 생성하는 신경세포다. 유전자를 조작해 옥시토신 뉴런에서 TRPC5를 제거하자 생쥐는 불안, 과식, 사회성 장애 등...
[사이테크+] "비만·산후우울증 유발 유전자 결함 발견…새 치료법 기대" 2024-07-03 05:00:01
뇌 시상하부 영역에 작용한다. 연구팀은 또 TRPC5가 옥시토신 뉴런에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옥시토신 뉴런은 애정, 감정, 유대감 등에 반응해 분비돼 '사랑의 호르몬'으로 불리는 옥시토신을 생성하는 신경세포다. 유전자를 조작해 옥시토신 뉴런에서 TRPC5를 제거하자 생쥐는 불안, 과식, 사회성 장애 등...
비만약 맞은 사람들에게 '치킨' 줬더니…'놀라운 결과' 2024-06-28 09:53:42
특히 연구진은 GLP-1이 뇌의 등쪽 안쪽 시상하부를 자극하면 즉시 식욕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나타나는 반응이 아니라 즉각적인 반응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최 교수는 "해당 신경을 활성화시키면 음식을 보기만 하거나 냄새만 맡아도 배부름을 느낀다는 사실을 쥐 실험으로 확인했다"고 했다...
입맛 '뚝'…비만약 원리 알아냈다 2024-06-28 05:47:58
이날 과학 저널 '사이언스'에 '인간과 쥐의 시상하부 신경핵을 통해 음식을 먹기 전 포만감을 높이는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GLP-1)'이란 제목의 논문을 게재했다.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식욕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주는 호르몬인 GLP-1이 뇌의 어느 부위에 작용하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는데, 최 ...
사람경영, 성과의 답은 뇌에 있다 [한경에세이] 2024-05-30 14:58:00
신뢰체계(시상하부, 뇌섬엽, 편도체 등)를 가동하여 주어진 자극을 제공한 상대에 대한 신뢰 여부를 예비적으로 판단한다. 조직에서 기회는 주로 리더로부터 주어진다. 리더에 대한 신뢰는 열정발현에 대단히 중요하다. 리더를 신뢰하지 못하면 자극이 기회가치로 인식되기 어렵고, 그러면 열정도 발현되기 어렵다. 리더에...
'사랑 호르몬'의 비밀…치료 효과 입증 2024-01-25 06:28:13
등을 담당하는 부위인 복측 시상하부의 전 복측(aVMHvl) 부분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부분은 이전 연구에서 괴롭힘을 당한 쥐가 자기방어 행동을 할 때 활성화되는 것으로 확인된 곳이다. 이 부분은 두 생쥐가 처음 만났을 때는 활성화되지 않다가 싸움 시작 후 물리는 등 고통을 받으면 aVMHvl 바로 옆...
[사이테크+] '사랑의 호르몬' 옥시토신, 괴롭힘·패배 기억 형성에도 관여 2024-01-25 05:00:01
등을 담당하는 부위인 복측 시상하부의 전 복측(aVMHvl) 부분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부분은 이전 연구에서 괴롭힘을 당한 쥐가 자기방어 행동을 할 때 활성화되는 것으로 확인된 곳이다. 이 부분은 두 생쥐가 처음 만났을 때는 활성화되지 않다가 싸움 시작 후 물리는 등 고통을 받으면 aVMHvl 바로 옆...
[조정진의 건강클리닉] 추운 겨울 따뜻하게 보내는 법 2023-12-03 17:47:12
시상하부에는 배부르다고 느끼는 포만중추와 공복감을 느끼는 섭식중추가 있어 식욕을 조절한다. 음식물 섭취 후 특수 역원 작용에 의해 체온이 상승하면 시상하부의 체온도 상승해 포만중추가 흥분하고 섭식중추가 억제돼 먹기를 멈추게 된다. 아마 가을철에 식욕이 왕성해지는 이유도 여름보다 체온이 낮아져 포만중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