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12월 과기인상에 배상수 교수…"유전자가위 기술 한계 극복" 2022-11-30 12:00:04
DNA에서 표적인 아데닌 염기뿐만 아니라 주변의 시토신 염기도 같이 바꾸는 부작용을 2019년 발견했다. 연구팀은 염기교정 유전자가위의 오작동을 일으키는 원인인 아데노신 탈아미노화 효소들의 서열 및 구조를 분석하고, 표적 DNA 염기들과 결합할 수 있는 주요 아미노산들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이 연구를 기반으로 30...
"에이즈 바이러스, 감염만 돼도 수명 5년 단축" 2022-07-02 18:29:15
등에 메틸 그룹이 결합하는 것이다. DNA 메틸화는 주로 시토신과 아데닌 염기에 메틸기가 추가되는 형태로 이뤄진다.질병이나 환경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이런 후성유전적 변화가 생기면 DNA 자체는 변하지 않은 채 DNA 발현 패턴 등이 달라진다. 연구팀은 서로 접근법이 약간 다른 4개 유형의 `후성유전 시계`(epigenetic...
에이즈 바이러스, 감염 자체로 수명 5년 단축한다 2022-07-02 16:11:23
DNA 메틸화는 주로 시토신과 아데닌 염기에 메틸기가 추가되는 형태로 이뤄진다. 질병이나 환경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이런 후성유전적 변화가 생기면 DNA 자체는 변하지 않은 채 DNA 발현 패턴 등이 달라진다. 연구팀은 서로 접근법이 약간 다른 4개 유형의 '후성유전 시계'(epigenetic clocks)로 노화도(measures...
면역 항암 걸림돌 'T세포 탈진', 유전자 '차단 스위치' 찾았다 2022-06-29 18:01:40
염기 중 하나인 시토신에 메틸기가 붙는 'DNA 메틸레이션', DNA가 감겨 있는 히스톤의 메틸화 변형 등이 대표적이다. 연구팀이 찾아낸 조절 인자들도 DNA 구조를 재구성해 수백 개의 유전자를 한꺼번에 켜지거나 꺼지게 했다. 연구팀은 생쥐 모델에 전달된 T세포를 놓고 이들 조절 인자를 하나하나 끄는 '노크...
지구 떨어진 운석서 생명체 구성 염기 모두 찾았다 2022-04-27 10:11:13
찾았다 시토신·티민도 마저 확인…우주기원설 힘실어주는 증거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지구에 떨어진 운석에서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담는 핵산(DNA·RNA)을 구성하는 5개 염기가 모두 확인됐다. 지금까지는 푸린 염기인 아데닌(A)과 구아닌(G), 피리미딘 염기인 우라실(U)만 확인됐는데, 나머지 시토신(C)과...
미토콘드리아 유전질환 치료 길 열렸다 2022-04-26 12:00:03
4종의 염기인 아데닌(A)과 티민(T), 구아닌(G), 시토신(C) 중 1개에서 변이가 생기는 ‘점 돌연변이’다 돌연변이가 생긴 염기를 원래의 염기로 교정하면 대부분의 미토콘드리아 유전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지금까지 DNA의 시토신(C) 염기를 티민(T) 염기로 교정하는 기술만 개발 됐다는 것이다. 전체 점...
[이우상의 글로벌워치]유전자가위 관심 '폭증'…'러브콜' 잇따라 2021-08-30 16:20:48
C(시토신), U(우라실), G(구아닌) 중 C를 U로 바꾸는 ‘레스큐(RESCUE) 기술’이다. 빔테라퓨틱스는 이 기술로 알츠하이머 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하고 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빔테라퓨틱스는 레스큐를 이용해 알츠하이머 위험인자인 'APOE4'를 비병원성 변이인 'APOE2'로...
또 밝혀진 비타민 C 효과, 자가면역 질환 억제에 필수 2021-07-26 17:39:29
하나인 시토신으로부터 '메틸기(methyl groups)' 분자가 제거되거나 추가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상호작용은 모두 세포가 DNA 코드를 읽는 기전에 변화를 가져온다. 다른 유형의 후성 유전적 변화는 DNA 접근성(DNA accessibility)의 차이에서 온다. 다시 말해 DNA 이중나선이 느슨한지 아니면 꽉 조였는지에...
포스트 코로나에 꽃 피울 ‘10대 미래유망기술(Ⅱ)’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1-05-17 09:33:10
C(시토신), T(티민) 등으로 이뤄진 유전체에서 원하는 부위의 DNA를 정교하게 잘라내는 기술을 말하며, 인간 및 동식물 세포의 유전체를 교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유전자가위와 비슷한 사례로 새로운 기능을 가진 생명체를 만들기 위해 기존 생명체의 서로 다른 기능을 인공 합성하는 학문인 ‘합성생물학(synthetic...
하버드 의대 "B세포 운명 결정하는 후성유전 변이 발견" 2021-05-14 17:38:29
하나다. CpG는 시토신과 구아닌 염기가 인산기에 의해 분리된 염기서열을 말한다. CpG 서열의 메틸레이션은 일반적으로 프로모터(전사 조절 부위) 주변에 생긴다. 그래서 CgP의 메틸레이션 정도에 비례해 전사 억제가 강해진다. 필라이 교수는 "B1이 생성하는 항체는 혈전증과 심장마비를 막는 등 건강 유지에 매우 중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