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셀라퓨틱스 "체세포 리프로그래밍으로 망가진 척수 회복 확인" 2022-07-12 15:06:24
만든 다음, 다시 원하는 세포로 배양하는 방식”이라며 “매우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려 의약품으로 만들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날 소개한 셀라퓨틱스바이오의 체세포 리프로그래밍 공정은 크게 세 단계로 나뉜다. 우선 그 세포의 특성을 대변하는, 일종의 ‘지문’ 역할을 하는 후성유전체를 모두 제거한다....
부작용 커서 못 썼던 인터류킨 항암제, 다시 햇빛 볼 수 있을까 2022-06-16 17:28:20
면역관문 억제제(PD-1 억제제)는 유방암, 난소암, 전립선암, 췌장암, 신경교아종 등의 '차가운 종양'(cold tumour)에 잘 듣지 않는다. 면역학에서 '차가운 종양'은, 면역 반응을 억제하고 T세포의 종양 공격을 막는 세포들로 둘러싸인 걸 말한다. 당연히 이런 종양은 면역 항암제에 반응하기 어렵다. IL...
치료 어려운 삼중음성유방암, 마침내 치명적 약점 찾았다 2022-06-08 17:10:33
세포의 소멸로 이어졌다. ERX-41의 효능 범위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치료가 어렵기는 마찬가지인 신경교아종(glioblastoma), 췌장암, 난소암 등에도 강력한 항암 효과를 보였다. 단, 그러려면 암세포에 퍼진 '세포질 그물'의 스트레스가 높아진 상태라는 조건을 갖춰야 했다. 원래 단백질의 기능적 접힘을 돕는...
불치의 루게릭병, '악화냐 호전이냐' 면역세포 유형이 결정 2022-03-16 17:36:06
세포가 소멸해 생기는 신경 퇴행 질환이다. 환자의 약 10%가 유전적 특징을 보이기도 하지만 아직 구체적인 발병 원인은 확인되지 않았다. 왜 병이 생기는지 모르니 효과적인 치료법도 아직 개발된 게 없다. 이 병에 걸리면 손과 다리 등의 근육이 약해져 기본 동작은 물론 말하기, 음식 삼키기 등이 어려워지고 나중엔...
알츠하이머 '원인 단백질'이 피부암 뇌 전이 유발한다 2022-03-11 17:42:49
것이다. 또 흑색종 세포가 분비하는 아밀로이드 베타가 성상교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것을 발견했다. 특정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된 성상교세포는 암을 공격하는 면역 시스템을 방해했다. 성상교세표는 중추신경계에서 지주조직 역할을 담당하는 신경교세포의 한 종류다. 아밀로이드 베타는 뇌에서 면역을 담당하는...
콕콕 쑤시는 편두통, 근원 치료 가능해졌다 2022-02-07 17:06:17
된다는 의미다. 이런 편두통의 통증 신호가 말초신경계의 슈반세포(Schwann cells)에서 발생한다는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신경교세포의 일종인 슈반세포는 미엘린 초(Myelin sheath)를 형성해 신경세포(뉴런)의 축삭돌기를 감싼다. 일종의 절연체 기능을 하는 미엘린 초의 도움으로 뇌의 활동전위는 축삭돌기의...
'천식이 뇌종양 막는다' 의학계 오랜 가설이 사실로 2021-12-13 16:42:59
그 가운데 1형 NF가 생긴 어린이는 시신경의 '광학 경로 신경교종'(optic pathway glioma)으로 진행하기도 한다. 구트만 교수팀은 이전의 연구에서 면역세포가 광학 경로 신경교종의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걸 알아냈다. 이 발견이 천식과 뇌종양의 연관성을 면역세포로 설명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발전했다...
증상 완화면 족했던 '염증성 장 질환', 근원 치료 실마리 찾았다 2021-10-22 17:32:45
신경교세포와 면역계의 상호작용 연구를 심화하고 나아가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감염이 없을 때 장의 신경교세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인터페론 감마에 의해 활성화되는 신경교세포의 작용 능력을 차단해 봤다. 그랬더니 정상적인 생쥐도 장 조직에 염증이 생겼다....
치매 유발하는 뇌 신경 염증, 인터류킨-3 신호로 잡는다 2021-07-15 17:31:59
지지하는 신경교세포로 구분하는데 소교세포는 성상교세포, 희돌기교세포, 슈반세포, 위성세포 등과 함께 신경교세포에 속한다. '신경아교세포'라고도 하는 소교세포는 뉴런에 필요한 물질을 공급하면서 노폐물 등을 제거하는 식세포 작용을 한다. 다수의 뉴런이 죽기 시작하면 소교세포와 성상교세포가 활성화해...
뇌종양엔 케톤 식이요법이 효과(?) 2021-07-08 09:37:09
정상적인 뇌세포는 케톤체를 에너지로 사용해 생존할 수 있다. 그러나 뇌종양 세포는 케톤체를 에너지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일반적인 학설이다. 이 연구는 그러나 케톤 식단이 뇌종양의 증식을 지연시키거나 생존 기간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것은 아니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