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설 연휴 인천공항 출국자 몰리는데 면세점은 '한숨' 2025-01-24 17:53:20
이번 연휴 기간 인천공항 면세점이 부담하게 될 임차료는 200억~250억원이다. 보안 검색 시간이 길어진 이유로는 여러 요인이 꼽힌다. 우선 휴가철 승객 증가와 함께 계절 특성상 두꺼운 외투를 입은 이용객이 많아졌다. 특히 굽 높이가 3.5㎝ 이상인 신발을 신으면 신발을 벗어야 하는 절차가 추가돼 시간이 더 늘어났다....
아로마티카, 2024 글로벌 매출 전년 대비 30% 성장…K-뷰티 브랜드 입지 강화 2025-01-21 10:42:36
태국 등 신규 시장으로의 확장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신라면세점 인천공항과 서울점에 입점해 한국을 방문하는 관광객에게 제품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동남아시아에서는 틱톡 이용자가 많은 인도네시아와 태국을 중심으로 현지 소비자 니즈에 맞춘 차별화된 제품들을 출시할 예정이다. 중동에서는...
"공짜 영화 쏠쏠했는데…" 멤버십 혜택 축소에 '부글부글' 2025-01-16 06:30:07
롯데면세점 혜택의 경우 온라인 요일제를 확대하고 오프라인 혜택을 신설해 실질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좀 더 유리하게 변경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주말인 토요일이 빠지고 평일인 월요일과 수요일이 추가돼 체감 혜택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은 올해 신규 제휴사로 카페 '아덴블랑제리'를 추가했지만...
중기부, 고환율 수출입 피해 중소기업에 1조5천억원 지원한다 2025-01-08 16:00:11
위해 1조9천억원 규모의 신규 벤처 펀드를 조성하고 모태펀드 출자사업도 올해 1분기에 신속하게 시행한다. 투자 의무 대상을 창업·벤처기업에서 전체 중소기업으로 확대한다. 내수 촉진을 위해 현재 인천국제공항에 있는 중소기업 제품 면세점 3개소를 6개소로 늘리고 입점 기업도 900개에서 1천800개로 확대한다....
중기부, 1.3만 소공인 DX 돕고 1700여개 중기에 로봇 도입한다 2025-01-08 16:00:01
매출 유발 효과가 큰 공항 내 중소기업 제품 면세점을 3개소에서 6개소까지 확대하고, 입점 기업 또한 900개사에서 1800개사까지 확대한다. 소상공인과 초기창업기업에 대해서는 현재 23% 수준인 전용면세점 수수료도 10%대로 절반 가량 인하해 초기시장 개척을 지원한다. 또 공영홈쇼핑에 소상공인 제품 방송을 30% 이상...
커넥트현대 청주, 더현대 광주, 부산 아울렛 등 신규 출점 확대…최단 기간 매출 1조 돌파한 '더현대 서울' 성공신화 잇는다 2025-01-06 15:58:54
탈바꿈시킨 것도 특징이다. 자회사인 면세점·지누스도 부문별 사업 경쟁력 제고에 나선다. 현대면세점은 경쟁력 있는 브랜드의 지속적인 유치는 물론, 국내외 마케팅도 강화한다. 면세 쇼핑 트렌드 변화에 맞춰 개별 관광객과 내국인 고객을 중심으로 한 프로모션과 제휴 서비스를 강화한다. 온라인 채널도 소비자 특성에...
["증시 뒤흔들까" 이번주 중요일정 '한꺼번에'] -와우넷 오늘장전략 2025-01-06 08:25:35
신규 브랜드 론칭, 유럽 채널 확장 등으로 해외 영업이익 증가, 2)국내 면세점과 기타 채널들의 바닥 다지기에 따른 마진 정상화로 압축. 시간이 지날수록 높아지는 턴어라운드 가능성 고려해 투자의견 Buy 및 목표주가 155,000원 유지 - 한국콜마: 2025년 미국 시장 성장이 핵심이다 (유안타증권, BUY, 목표주가 9만원) -...
새해도 내수경기 '빨간불'…어떤 종목 투자해야 할까 [2025 재테크] 2024-12-30 08:26:08
대형 유통사의 대형 매장 신규 출점 계획은 1개(더현대 청주)에 그치고, 기존 상위권 매장에 매출이 집중될 것"이라며 "대형 유통사(신세계·이마트·현대·롯데) 모두 비상 경영 체제에 돌입하면서 인건비·임대료 등 판관비 감축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면세점의 내년 매출 증가율은 낮은 기저효과에 힘입어...
삼성 가전, 10명 중 3명은 구독으로 산다 2024-12-26 10:21:41
AI 올인원 요금제 또는 AI 스마트 요금제의 신규 구독케어 가입시에만 제공된다. 스마트 요금제는 제품 구매와 함께 소비자가 원하는 서비스만 선택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무상 수리 서비스와 케어 서비스를 각각 선택할 수 있고, 기간도 36개월 또는 60개월로 선택할 수 있다. 스마트 요금제 가입 시 제품은 일시불...
고물가 시달리던 유통가…초저가·복합몰로 뚫었다 2024-12-24 17:37:14
갔다. 대형마트, 면세점 등 오프라인 업체들은 실적 악화를 버티지 못하고 인력 및 점포 구조조정에 나섰다. 하지만 그 속에서도 가성비 제품으로 성장을 거듭한 업체도 있다. 백화점과 마트의 구분을 없앤 복합쇼핑몰로 오프라인 유통의 희망을 보기도 했다. 올해 유통업계를 다섯 가지 키워드로 정리했다. 오프라인 유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