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이테크+] 미리 보는 지구의 최후…美연구팀, 행성 집어삼키는 별 첫 관측 2023-05-04 00:00:00
2개의 쌍성계가 합쳐지는 것으로 보고 분석했으나 이 경우 반드시 있어야 할 수소·헬륨 같은 물질 방출이 전혀 없었다며 대신 매우 낮은 온도에서만 존재할 수 있는 특이한 분자들의 흔적이 포착됐다고 말했다. 그는 "포착된 분자들은 매우 차가운 별에서만 볼 수 있는 것들이었다"며 "별이 밝아지면 보통 더 뜨거워지기...
'허블, 살아있네!'…짝별 없는 백색왜성 질량 첫 직접 측정 2023-02-03 15:16:58
쌍성계에서 짝별과의 궤도를 관측해 산출해 왔는데 짝별이 아예 없거나 짝별의 궤도가 수백, 수천년에 달할 때는 측정할 방법이 없었다. LAWD 37도 짝별이 없어 질량을 구할 수 없는 사례였는데, 맥길 박사팀이 시선방향으로 오는 광원별의 별빛이 천체의 중력장을 거치며 미세하게 굴절돼 실제 위치와는 다른 곳에 상이...
우주 금·은 만드는 '킬로노바' 조건 갖춘 희귀 쌍성계 포착 2023-02-02 15:58:54
쌍성계는 1천억개가 넘는 우리 은하 별 중에서도 열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로 극히 드문 것으로 제시됐다. 미국 '천문학연구 대학연맹'(AURA)에 따르면 엠브리-리들 항공대학 물리학 조교수 노엘 리처드슨이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에서 약 1만1천400광년 떨어진 곳의 쌍성계 'CPD-29 2176'을 관측한 결과를...
별 주변의 '나이테'…웹 망원경, 우주 먼지고리 17개 포착 2022-10-13 15:50:47
천문학자 라이언 라우는 지구에서 약 5천 광년 떨어진 고니자리의 쌍성계 '울프-레이에(WR) 140'을 웹 망원경으로 관측해 17개에 달하는 먼지 고리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 천문학'(Nature Astronomy)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 먼지 고리들이 WR-140을 구성하는 두 별이 약 8년마다...
공전주기 51분 밖에 안 되는 최단주기 쌍성계 '격변변광성' 확인 2022-10-06 11:10:33
이 쌍성계를 '격변 변광성'(cataclysmic variable)으로 분석했다. 격변 변광성은 두 별이 수십억 년에 걸쳐 서로 다가서다 항성 진화 마지막 단계에 이른 백색왜성이 다른 별의 물질을 빨아들이며 급격히 밝아지는 쌍성계를 지칭한다. ZTF J1813+4251은 공전주기가 51분밖에 안 돼 지금까지 발견된 격변 변광성...
지구 1천100만㎞ 밖서 이틀 뒤 '인류 첫 소행성 방어' 실험 2022-09-25 08:00:08
동원해 디디모스 쌍성계를 들여다보며 디모르포스 공전 주기가 바뀌는지를 추적 관측하게 된다. 디모르포스가 공전하는 과정에서 디디모스의 빛을 일부 가리게 되는데 빛이 줄어드는 간격을 측정해 공전 주기의 변화를 확인하게 된다. 이론적으로 공전 속도를 1%가량 줄여 공전 주기가 약 10분 단축되며 궤도가 바뀔...
지구급 행성 전체가 깊은 대양으로 덮인 '바다 행성' 후보 관측 2022-08-25 16:54:13
쌍성계를 구성해 서로 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별은 태양∼명왕성 거리의 두 배 반에 달하는 약 97 천문단위(AU)나 떨어져 있지만 테스 관측에서는 하나의 빛으로 관측됐다. 하지만 페스토를 이용한 고해상도 이미지에서 쌍성계라는 점과 함께 행성이 두 별 중 TOI-1452를 돌고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국제천문·천체물리올림피아드서 한국 전원입상…종합 10위 2022-08-23 09:51:07
2문제가 나왔다. 자료 분석은 외부은하의 중성자성 쌍성계 병합사건에서 방출된 중력파 관측 자료로 계의 파라미터 계산 등 2문제가 출제됐다. 한국대표단은 한국천문학회 산하 한국천문올림피아드위원회 주관 한국천문올림피아드를 통해 선발됐다. zer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건초더미서 바늘 찾기'…대마젤란운서 '잠자는' 블랙홀 첫 확인 2022-07-19 15:03:27
'잠자는' 블랙홀 첫 확인 약 16만 광년 밖 쌍성계서 확인, 주변과 상호작용 없어 확인 까다로워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우리 은하 옆 대마젤란은하(LMC)에서 주변 천체와 작용이 없는 '잠자는' 항성급 블랙홀이 처음으로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학의 마리-퀴리 펠로인...
우리 은하 3D지도 작성 '가이아'가 포착한 별 20억개 자료 공개 2022-06-14 16:26:59
'가이아'가 포착한 별 20억개 자료 공개 3차분 자료…쌍성계 목록·소행성 궤도·성진·은하 자료 등도 포함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우리 은하의 3차원(3D) 별 지도 작성 임무를 수행 중인 유럽우주국(ESA)의 가이아 위성이 13일 약 20억개에 달하는 항성(별) 자료를 새로 공개했다. 지난 2013년에 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