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마이클 피시 현상…"예측, 틀려도 너무 틀린다" 2021-12-26 16:45:07
동안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 시대는 ‘뉴 애브노멀’로 요약된다. 종전의 이론과 규범, 관습이 더 이상 통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래 예측까지 어렵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용어다. 예측이 어려울수록 무용론까지 제시되고 있으나 오히려 정확해야 혼돈에 빠진 경제 주체들을 올바른 방향으로 안내해 줄 수 있다. 가장 경계...
[한상춘의 world View] 궁지 몰린 바이든, 산유국과 '원유 전쟁' 벌이나 2021-11-30 17:23:19
애브노멀(new abnormal)’ 국면으로 빠져들고 있다. 1년 전 델타 변이보다 전염성이 강한 오미크론으로 세계 경제가 다시 ‘절연(insulation)’ 체제로 돌아간다면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상승)이 현실로 닥칠 것으로 예상된다. 스태그플레이션이 무서운 것은 개별 국가 입장에서는 정책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울...
코로나19 발생한지 2년…세계 경제와 글로벌 증시 어떻게 변했나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1-11-01 09:18:20
비해 환경 면에서는 ‘뉴 노멀’에서 ‘뉴 애브노멀’로, 위험관리 면에서는 ‘불확실성’에서 ‘초불확실성’으로 한 단계 더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뉴 앱노멀 초불확실성 시대가 무서운 것은 어느 날 갑자기 빅 체인지, 즉 큰 변화가 일어나 국가와 기업, 그리고 개인까지도 위상을 바꿔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코...
[한상춘의 world View] 코로나 팬데믹 2년…세계 경제 어떻게 변했나 2021-10-26 17:03:46
환경 면에서는 ‘뉴 노멀’에서 ‘뉴 애브노멀’로, 위험관리 면에서는 ‘불확실성’에서 ‘초불확실성’으로 한 단계 더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뉴 애브노멀·초불확실성 시대가 무서운 것은 어느 날 갑자기 빅 체인지, 즉 큰 변화가 일어나 국가와 기업, 그리고 개인까지도 위상을 바꿔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
[책마을] 팬데믹發 '공급망 쇼크'…유연한 기업만이 살아남았다 2021-09-30 18:17:16
애브노멀》은 그런 점에서 시의적절한 책이다. 코로나19 사태가 공급망을 어떻게 뒤흔들어 놨고, 기업들은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보여준다. 결론은 민첩하고 탄력적이고 유연한 공급망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잡화점은 보통 4만~7만5000개의 스톡키핑유닛(SKU)을 취급한다. SKU는 같은 제품이라도 사이즈별...
재테크 제3 물결…대한민국 상위 1%, 왜 ‘글로벌 테마 ETF’에 몰리나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2021-08-25 09:20:05
그렇습니까? -<‘뉴 노멀’을 넘어 ‘노 애브노멀 시대’에 진입> -코로나 사태, 델타 변이 확산 등 여전히 불안 -경기, 주가, 유가 등에 ‘peak out’ 논쟁 확산 -‘조기 테이퍼링’ vs ‘테이퍼링 연기’ 놓고 논쟁 -<레버리지 ETF, 변동성 장세->위험성 더 커져> -코로나 사태 후 무제한 통화공급, 유동성 장세 -갈수록...
7개월 만에 풀려나는 이재용 부회장…삼성전자 주가 향방은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2021-08-10 09:10:36
필요 -경영 리스크도 ‘뉴 노멀’ 혹은 ‘뉴 애브노멀’ -전문 경영인으로 한계, 오너 역할 ‘더욱 중요’ -이재용 부회장, 산적한 지연 과제 신속 결정 -단기적으로 잃어버린 삼성전자 위상 회복 -對美 투자·대규모 M&A·반도체 고도화 등 Q.이제는 삼성전자가 다시 태어나야 한다는 시각도 많지 않습니까? -한국 경제,...
델타 변이 대처와 극복…결국 ‘사람’이 중요하다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1-07-26 10:40:32
애브노멀’ 리스크로 별도로 구분한다. 뉴 노멀과 뉴 애브노멀 리스크는 참고할 만한 준거의 틀이 없기 때문에 오로지 사람의 위기대처능력이 중요하다. 결과는 크다. 이론과 규범, 그리고 관행으로 설명되는 노멀 리스크는 대처하기는 쉽지만 그 자체가 구속이 되기 때문에 ‘작은 변화’만 오지만 사람에 의한 대처는...
G7 정상회담으로 본 한국…경제 위상, 정말 올라갔나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1-06-21 09:43:55
애브노멀 젤리형’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뉴 애브노멀 젤리형 세계경제질서는 종전의 스탠더드와 거버넌스에 내재돼 왔던 한계에서 비롯된다. 2차 대전 이후 스탠더드와 지배구조를 주도해 왔던 미국과 유럽에서 각각 금융위기와 재정위기가 발생했고, 각국이 동시다발적으로 직면한 코로나 사태에도 가장 많은 피해를...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 주식투자…GBK가 답이다 2021-06-13 17:21:59
뉴애브노멀 여건에서는 GBK가 쉽지 않다. 하지만 반드시 가야 할 길이라면 주식 투자자가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은 자본주의 본질을 충실히 따르는 것이다. 증시는 자본주의의 본질이 가장 잘 반영되는 꽃이기 때문이다. 최근 주식을 공급하는 주체인 우량, 비우량 기업뿐만 아니라 주식을 사들이는 주체인 고소득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