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청정에너지용 광물 채취 등 광업, 척추동물 4천642종 위협" 2024-07-27 06:00:02
2만5천247종의 8.1%)으로 가장 많았고, 파충류 764종(1만164종의 7.6%), 양서류 747종(7천448종의 10%), 조류 558종(1만1천024종의 5.1%), 포유류 520종(5천886종의 8.8%) 순이었다. 연구팀은 채굴 활동이 주로 이뤄지는 곳은 열대지방 등 생물다양성 가치가 가장 높은 지역과 일치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특히 리튬과 코...
소원 쌓일수록 죽어가는 맹꽁이…돌탑 다 허물었다 2024-04-14 15:07:55
앞서 제주환경운동연합은 금오름의 양서류가 처한 위기 상황을 알리며 제주도에 개선 방안 마련을 촉구한 바 있다. 금오름에는 산 정상부에 52m 깊이의 분화구가 있고 그 안에 '금악담'이라고 불리는 화구호 습지가 형성돼 있다. 금악담에는 유기물이 풍부해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맹꽁이를 비롯해...
수컷 없는 수족관에서 임신한 가오리…새끼의 아빠는 누구? 2024-02-13 21:32:38
발견되며, 어류와 양서류와 같은 척추동물에서도 아주 드물게 보고된다. 또 다른 가능성은 이종교배인데, 당시 수족관 내에는 2마리의 상어가 존재하고 있었다. 아쿠아리움 관계자는 "가오리에게서 여럿 물린 상처를 발견했는데 이는 상어가 교미할 때 내는 상처와 유사하다"고 밝혔다. 이에 상어가 가오리를 임신시킨 것...
원상 복구했지만 또…관광객 돌탑에 '골머리' 2024-01-29 11:29:13
다양한 양서류가 서식한다. 제주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지난해 이곳에서 맹꽁이 330여개체와 10만여개의 맹꽁이알이 확인됐다. 최근 양서류의 산란 시기가 도래해 보호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최슬기 제주환경운동연합 생태보전국장은 29일 "맹꽁이 등 법정보호종이 더는 위협받지 않도록 행정 당국이 적극적인...
[취재수첩] 들쑥날쑥한 반려동물 설문조사 2024-01-17 17:15:14
조사 업체가 바뀌면서 조사 대상에서 양서류를 기르는 사람의 비중이 크게 늘었다”며 “양서류는 개나 고양이에 비해 병원비가 상대로 적게 들어 전체 결과에 영향을 준 것 같다”고 했다. 표본 선정 과정에 일관성이 사라지면 데이터 변화를 비교 분석하기가 어렵다. 표본이나 설문 내용, 조사 방식 등이 달라지면 관련...
야생동물 수난시대…올해 구조 수만 2만408마리 2023-12-28 06:16:19
된 파충류(216마리)와 양서류(7마리)도 있었다. 겨울철에는 농약에 중독돼 구조센터를 찾는 새가 많아진다. 지난 18일에도 농약을 섭취한 독수리 6마리가 단체로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에 입소하는 일이 있었다. 최근 5년간 누군가 고의로 살포한 것으로 추정되는 농약에 죽은 야생조류는 2천93마리에 달한다. 야생조류는...
[사이테크+] 인니서 세계에서 가장 작은 신종 '송곳니 개구리' 발견 2023-12-22 10:57:52
한다고 말했다. 미국·인도네시아 양서류·파충류 공동 연구팀은 술라웨시섬 정글을 조사하던 중 작은 나무의 잎과 바위 이끼에서 개구리알 덩어리들을 발견하고 조사에 나서 신종 송곳니 개구리를 찾아냈다. 이 개구리들은 물속에 알을 낳는 보통 개구리들과 달리 나뭇잎이나 이끼에 알을 낳은 뒤 부모 개구리가 알을...
세계 첫 구제역 감별키트 상용화 등 성과 발표 2023-11-22 16:41:05
것으로, 양서류(개구리) 및 포유류(랫드)의 해부실습을 대체할 수 있는 실감형 콘텐츠를 개발해 윤리적인 동물실험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고 있다. 식물 병해충 분야 우수성과로는 붉은불개미 항만 예찰을 위한 ICT-SMART 트랩 개발 사례를 들 수 있다. 해외 교역 증가 및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붉은불개미가 지속적으로...
[사이테크+] "세계 양서류 5종 중 2종 멸종위기…기후변화가 최대 위협" 2023-10-05 05:00:01
극한 기후 등이 증가하지만 멀리 이동할 수 없는 양서류는 이런 위협의 포로가 되고 있다며 양서류의 생존과 회복을 돕기 위한 투자 확대와 정책적 대응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출처 : Nature, Jennifer Luedtke et al., 'Ongoing declines for the world's amphibians in the face of emerging threats',...
백두산 천지에 '괴생물'?…"물살 가르며 유영하는 모습 포착" 2023-09-11 15:13:40
뒤 수차례에 걸쳐 천지에서 괴생명체를 봤다고 주장이 잇따랐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1980년대 목격됐다는 '괴생물'은 천지에 서식하는 연어과 물고기라고 밝혔다. 중국중앙TV(CCTV)는 2009년 촬영된 천지에서 유영하는 여러 개의 물체가 양서류 동물인 것으로 결론지었다. 이현주 한경닷컴 기자 wondering_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