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한-체코 산업장관 회담…"원전부터 반도체까지 협력해야" 2025-02-17 16:05:40
관련해 우리의 산업, 에너지, 수송 분야 에너지 효율화 정책을 공유했다. 체코 측은 원전 분야에서는 한국측이 정해진 일정과 절차에 따라 계약 협상을 원활히 추진해온 점을 높게 평가한 것을 전해졌다. 안 장관은 금번 제2차 SCED와 부대행사로 오후에 개최되는 한-체코 투자 및 비즈니스 콘퍼런스(양국 기업·기관간...
강도형 "어선사고 원인, 기상악화·인적과실…예방시스템 개발" 2025-02-17 16:00:03
선사의 경영 안정을 위한 지원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강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가 해운 탈탄소 규제에 미치는 영향은 전반적으로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면서도 "국제해사기구(IMO)의 탄소세 도입 추진은 미국의 반대 전환에 따라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탄소세 도입 시...
美 청정에너지업계 지원부서도 트럼프발 칼바람…4분의 1 감원 2025-02-17 15:58:55
에너지정책 전환 예고에 추가감원·지원정책 중단 우려 (서울=연합뉴스) 고동욱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규모 연방 공무원 구조조정 칼바람이 친환경 에너지 기업 지원 조직에도 불어닥쳤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7일(현지시간) 미 에너지부 산하 대출 프로그램 사무국(LPO) 직원의 4분의 1에...
한국전기공사협회, 전력 인프라 구축하는 2만 업체 목소리 키운다 2025-02-17 15:54:33
협회는 회원사의 목소리를 대변해 정부에 정책을 제안하고 제도 개선을 위한 협의 및 법률 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다. 특히 적정 공사비 확보를 위해 정부 및 발주 기관과 지속해서 협의하고 있으며, 공정한 경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법·제도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전기공사 기술력 향상과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협회는...
올해 녹색건축 최우수 지자체에 서울·대전·충북 2025-02-17 11:00:01
건물에너지 성능 부문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녹색건축 정책 이행을 위한 행정 기반(인력·예산·정책)을 평가하는 정책 이행도 부분에서는 충북이 최우수 지자체로 선정됐다. 지자체별 녹색건축 평가 결과서와 평가 데이터 등의 자세한 정보는 녹색건축포털 홈페이지(www.greentogether.go.kr)에서 확인할 수...
지난주 코스피 4일 연속 상승, 2600선 근접 2025-02-17 08:50:52
- 미국의 제조업 리쇼어링 정책으로 미중 갈등이 부각되면 국내 수출주에 부담으로 작용 가능성 존재 -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부터 수입차에 대한 관세 부과 예정, 실현될 경우 한국 자동차 산업에 큰 타격 예상 - 작년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약 50조 원이며, 현대차와 기아는 고율 관세 부과 시 큰 피해 전망 -...
"관세폭탄 대응"…대한상의 이어 무역협회·한경협도 방미 활동 2025-02-17 08:16:53
품목인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철강, 조선, 에너지, 플랫폼 등 한미 경제협력의 핵심 산업 대표들이 대거 참여한다. 대한상의는 "한국은 트럼프 1기 바이 아메리카(Buy America) 약속을 적극 실천한 대미 투자의 모범 국가이자 우등기업임을 적극 강조할 예정"이라며 "트럼프 2기에도 한국기업은 미국이 신뢰할 ...
"관세 폭탄 맞은 中 배터리…K배터리가 美 ESS 시장 잠식한다"-유진 2025-02-17 08:03:34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침투율이 높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17일 보고서를 내고 "바이든 정부는 지난해 중국산 배터리에 25~28.4%의 관세를 부과했다. 최근 트럼프 정부가 부과한 10%의 관세를 고려하면 미국에서 중국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낮아진 것으로...
'재계 맏형' 최태원, 20대 그룹 이끌고 트럼프 정부 만난다…민간 경제외교 돌입 2025-02-16 23:13:48
만나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할 경제·산업 정책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양국 간 산업 협력 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협력 모델도 제안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산 에너지 수입 확대, 조선 분야 협력, 완성차 및 부품 제조 시설 투자, 미국 차세대 원전 개발과 소형모듈원자로(SMR) 협력, 반도체 공급망 구축을 위한 공동...
한·미·일 '北 비핵화·제재 공조' 재확인…中 견제 수위도 높였다 2025-02-16 18:32:01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 핵심광물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했다. 첨단 소형모듈원자로 및 여타 선진 원자로 기술 발전·도입을 위한 공동 노력은 물론 인공지능(AI)과 반도체, 양자 과학·기술, 사이버안보 등에 관한 협력을 심화하기로 했다. 이들 3국 외교장관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와 대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