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그래픽] 리튬배터리 취급 관련 항공 위험물 운송기준 2025-01-29 16:56:02
위험물 운송기준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28일 밤 김해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가 기내 선반에서 시작됐다는 목격자의 증언이 이어지면서 휴대용 보조 배터리가 화재 원인일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국내외 항공기에서 이러한 배터리가 원인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잇따르면서 기내 반입...
"타닥타닥 소리 났다"…화재에 불탄 항공기 2025-01-29 16:26:48
위험물 운송기준에 따르면 리튬 메탈 배터리와 리튬 이온 배터리는 위험물로 분류돼 기내 휴대나 위탁수하물 반입이 기본적으로 금지된다. 다만 탑승객의 사용 목적으로 사용하는 소량에 한해서는 운송이 허용된다. 다만 리튬이온배터리는 전자기기 장착이나 보조배터리 여부에 관계없이 스스로 부풀거나 폭발하는 일이...
에어부산 화재원인은 보조배터리?…"기내반입물품 규정 강화" 요구 2025-01-29 15:51:21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항공 위험물 운송기준에 따르면 리튬 메탈 배터리와 리튬 이온 배터리는 위험물로 분류돼 기내 휴대나 위탁수하물 반입이 기본적으로 금지된다. 다만 탑승객의 사용 목적으로 사용하는 소량에 한해서는 운송이 허용된다. 먼저 리튬배터리가 장착된 전자장비(카메라·휴대전화·노트북 등)인 경우...
울산소방, 투자기업 민원 전담팀 가동 2025-01-21 17:09:56
위험물 관련 소방 분야 민원을 지원하는 전담팀을 운영한다. 이재순 울산소방본부장(사진)은 21일 “울산시가 추진하는 친기업정책에 적극 부응하는 조치로, 사업장 민원 고충을 조정하고 합리적 대안을 제시할 좋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울산소방본부는 앞서 2023년 에쓰오일이 9조원을 투자해 울산에 건설하는...
울산소방, 투자기업 민원 전담팀 운영…AI 기반 드론 인명구조 2025-01-20 08:02:06
올해 대규모 투자사업에 성능, 건축, 위험물 관련 소방 분야 민원을 지원하는 전담팀을 운영한다고 20일 밝혔다. 울산소방본부는 대형사고 위험이 상존하는 국가산업단지에는 화재 안전 조사, 안전 컨설팅, 위험물 관리 등을 통해 안전 위해 요소를 사전에 차단하기로 했다. 또 노후 소화기 교체, 시니어 소방대 운영...
日, 인니에 함정 공동개발 다시 제안키로…동남아와 안보 협력 2024-12-31 09:22:29
위험물을 없앰) 5가지 용도로 제한했다. 호위함과 잠수함은 5가지 용도에 해당하지 않아 완제품으로 수출할 수 없기 때문에 공동 개발 형태로 추진한다. 일본은 호주 신형 호위함 사업에서도 독일과 함께 수주 후보로 선정됐다. 호주는 향후 10년간 111억호주달러(약 10조원)를 투입해 신형 호위함 11척 등을 추가 도입할...
제주항공, 운항시간 길고 기령 높아…안전 관련 투자도 '부실'(종합) 2024-12-30 21:42:21
위반과 위험물 운송으로 각각 7일, 20일의 운항 정지가 내려졌다. 2019년 이후 올해 8월까지 납부한 과징금 액수도 제주항공이 가장 많다. 제주항공은 37억3천800만원으로 유일하게 30억원을 넘겼고, 이어 이스타항공(28억6천만원), 티웨이항공(24억3천900만원), 대한항공(16억2천만원), 아시아나항공(15억5천400만원),...
제주항공, 운항시간 길고 기령 높아…행정제재·과징금 최다 2024-12-30 11:01:38
위반과 위험물 운송으로 각각 7일, 20일의 운항 정지가 내려졌다. 2019년 이후 올해 8월까지 납부한 과징금 액수도 제주항공이 가장 많다. 제주항공은 37억3천800만원으로 유일하게 30억원을 넘겼고, 이어 이스타항공(28억6천만원), 티웨이항공(24억3천900만원), 대한항공(16억2천만원), 아시아나항공(15억5천400만원),...
북미 수출 방폭기기 인증, 이제 국내서…KTL-랩테스트 '상호 인정' 2024-12-27 14:40:26
미국 현지에 생산시설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위험물의 폭발을 방지하는 방폭인증을 받아야 한다. 또 북미에 방폭기기를 수출하기 위해서는 미국 직업안전보건국(OSHA)이 지정한 국가지정시험기관(NRTL)을 통한 인증 획득이 필수다. 하지만 국내에는 방폭인증 지원 설비가 부족해 관련 중소벤처기업들은 북미 수출을 위한...
국토부, '위험물 차량 운송관리' 앱 시범운영 참여자 모집 2024-12-25 06:00:03
등 비용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위험물질 운송 관리 시스템의 실시간 관제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교통연구원과 아이나비, 네이버시스템즈, 두리텍 등이 개발 중이다. 테스트 버전 시범 운영 모집 대상은 위험물질 운송 차량 단말장치를 장착한 기존 화물차주다. 참여자로 선정되면 차량에 추가로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