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간이식만이 답이었던 '간경화'···초음파 치료법 국내 의료진 최초 개발 2024-07-11 08:12:27
방법을 개발해 냈다. 경희대학교 생체의공학과 박기주 교수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과 박기수 교수 공동 연구팀이 히스토트립시(Histotripsy)를 이용해 간경화 조직을 비침습적으로 파쇄하고, 주변 간 조직의 재생을 통해 간경화를 치료할 방법을 세계 최초로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자매지 에...
[부고] 강대영 씨 별세 外 2024-07-05 17:48:21
국립암센터 의공학과장·이동호씨 장인상=4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6일 오전 8시 02-2258-5922 ▶최인선씨 별세, 김영란·김홍란·김회란·김승재·김희연씨·김충식 공감신문 대표 모친상=5일 분당제생병원 발인 7일 오전 6시30분 031-781-6723 ▶한일섭 서강대 독어독문학과 명예교수 별세, 박강옥씨 남편상, 한지성 고려대...
대웅재단, AI 인재 육성 위한 장학생 선발 2024-04-30 15:01:16
활용한 프로젝트에 참여할 기회 등을 얻는다. 2021년 선발을 시작한 이 장학생 프로그램의 누적 지원자는 1천325명으로 이 중 95명이 선발됐다. 볼리비아 출신으로 현재 충남대 의공학과 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장학생 세실리아는 "개발자로서 학교에서만 공부한 내용을 실제 기업의 업무에 접목하는 기회를 얻었다"고...
'세계 최초' 기술이라더니…한국 연구진 조작 논란에 '발칵' 2024-04-16 18:44:59
핵의공학과 교수팀은 다이애나 기술로 나오는 결과에 의문점을 던졌다. 이들은 박 교수팀과 비슷한 신호를 관찰했지만 전기 자극을 주지 않은 동물이나 사망한 경우에도 신호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신호가 실제 신경활동과 무관할 수 있다는 의미다. 김 교수는 한국경제신문과의 전화 통화에서 “데이터를 일부...
연세의료원, 눈물로 혈당 확인 '스마트 콘택트렌즈' 개발 2024-04-05 10:02:59
연세대의대 의공학교실 교수와 이용호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박장웅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 등이 참여한 공동연구팀은 눈물 속 생체 지표를 실시간 측정해 정확하게 혈당을 잴 수 있는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했다고 5일 발표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최신호에 실렸다. 당뇨병...
AI신약융합연구원 부원장에 표준희 박사 선임 2024-03-29 16:51:24
AI신약융합연구원 부원장에 표준희 의공학박사(충북대학교 약학대학 겸임교수 및 디파이브 테라퓨틱스 상무)를 선임했다고 29일 밝혔다. 표 부원장은 지난 2005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을 졸업하고 하버드 보건대학원 석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표 부원장은 통계 분석과 바이오마커 예측,...
건국대병원 의공학팀, 의료기기 사이버보안 솔루션 특허 획득 2024-03-11 16:39:29
건국대병원 의공학팀이 의료기기 전용 보안솔루션과 관련한 기술 특허 2건을 획득했다고 11일 밝혔다. 의료기관 대상 랜섬웨어는 최근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2020년 미국 기준 랜섬웨어 피해를 본 의료기관은 600개 이상이며 피해액은 210억 달러 수준이다. 랜섬웨어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솔루션이 개발되고...
'뷰티 디바이스' 뭐길래…에이피알 시가총액만 2조 2024-02-23 17:34:41
본격 출시했습니다. 의료기기 개발 역량을 갖춘 의공학 석박사 연구원들이 제품 개발에 나서 지금까지 출원한 특허만 70개입니다. 20~30만원대로 저렴하고, 영구 소장이 가능한 디바이스로 인기를 얻으며, 지난해 말까지 누적 168만대가 팔렸습니다. [신재하 / 에이피알 부사장: 연구진들은 사실은 대부분 다 우리나라의...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본부 2023년 예비창업패키지 선정기업] 치매의 효율적인 진단과 관리를 하는 의료기기 개발한 스타트업 ‘솔루션’ 2024-02-19 23:06:10
김 대표는 한양대 생체의공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삼성서울병원에서 1년반, 고령친화산업과 관련된 기관에서 6년이상 근무했다. 다양한 의료기기 연구개발 및 실증사업의 기획과 수행, 그리고 시험인증기관 품질, 기술책임자 역할들을 수행했다. 해당 경험을 바탕으로 의료기기 개발을 추진하게 됐다. 솔루션의 첫...
[한경에세이] 미래 의학 연구시설의 방향 2024-01-26 18:30:11
맞춤 의공학 플랫폼, 신의료기술 개발 플랫폼 등 목적에 맞는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디지털 의학센터는 예측의학과 참여의학이 핵심이다. 디지털 의학은 개인 단위에서 인류로 유전체 정보를 확장해 질병 예방과 진단을 다각도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인공지능(AI)과 바이오 빅데이터, 건강 아바타, 웨어러블 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