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포항 '바이오헬스' 차세대 먹거리로 키운다 2023-06-19 18:22:11
맞춤형 신약후보 물질을 연구개발하는 세포막단백질연구소가 들어서 있다. 포항시는 포스텍에 연간 정원 50명 규모의 의과학자를 양성하는 연구중심 의과대학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500병상 규모의 스마트 병원과 의과학 융합연구센터 건립에도 나서고 있다. 포항시는 이를 기반으로 구조 기반 신약·백신 개발과 인공...
윤 대통령 "과학기술이 안보·경제 등 모든 분야의 출발점" 2023-01-24 15:48:23
세포막에 존재하는 단백질 구조를 분자 1개 단위에서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순방과 오늘 젊은 과학기술 리더간 대화는 과학기술 분야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대통령의 강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과기정통부는 탁월한 인재를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세계적 기술경쟁력을...
"고령화로 황반변성 환자 급증…주기적 안저검사 받아야" 2023-01-18 16:04:14
역할이 크다. “망막은 안구 가장 안쪽에 있는 세포막이다. 시력을 담당하는 가장 중요한 부위라고 할 수 있다.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려운 데다 관련 수술도 꽤 까다롭다.” ▷망막 질환 환자가 늘었나. “고령화 및 서구화한 식습관, 건강검진으로 인한 조기발견 때문이다. 대표적 망막질환 중 하나가 황반변성인데, 8...
백신·헴프·제약·의료기기·화장품, 5대 바이오산업으로 키운다 2022-10-13 16:14:56
포항지식산업센터, 세포막단백질연구소와 그린백신실증지원센터를 연계한 다양한 국가 공모 사업을 확보했다.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인공장기조직 생산과 기업지원을 위한 바이오프린팅 활용 동물대체시험평가 플랫폼(165억원) △ 질병의 구조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백신 개발의 기간 단축 기술을 확보하는 구조기반...
루닛, 유럽종양학회서 유방암 치료 효과 예측 등 발표 2022-09-05 17:04:22
마지막 포스터에서는 루닛 스코프를 활용해 종양 세포막에 특이적으로 과발현 및 DNA 증폭이 발생한 신규표적을 발굴하고, 항체약물결합체(ADC) 등 새로운 치료법으로 발굴할 가능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이번 ESMO에서는 다양한 암종으로 확대한 연구성과를 다수 발표하는 만큼 루닛 스코...
루닛, ESMO서 여러 암종 대상 ‘루닛 스코프’ 연구성과 발표 2022-09-05 09:29:06
종양 세포막에 특이적으로 과발현 및 디옥시리보핵산(DNA) 증폭이 발생한 신규 표적을 발굴한 연구결과도 발표한다. 이를 통해 ADC 등 새로운 치료법의 발굴 가능성을 전할 계획이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이번 ESMO에서 다양한 암종으로 확대한 연구성과를 발표하는 만큼 루닛 스코프의 활용 가치도 더욱 커질 것”이라고...
피씨지바이오텍, 굿인텔리전스와 AI기반 차세대 신약 개발 협약 2022-08-09 14:41:44
인공지능(AI) 기반 차세대 신약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피씨지바이오텍은 초저온 전자현미경(Cryo-EM) 플랫폼 기술 기반의 항암 신약 개발 기업이다. 2019년 설립됐다. 차세대 치료제인 후성(Epigenetic) 유전면역 항암제가 주요 후보물질이다. 또 세포막단백질 및 G단백질 결합 수용체(GPCR)...
올리패스 "OLP-1002 호주 2a상 중…해외 기업과 기술수출 논의" 2022-07-12 11:14:45
PNA(Peptide Nucleic Acid)는 올리패스가 개발한 인공 RNA다. 세포 투과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RNA와 유사한 구조로 양이온성 계면 활성기를 연결해, 음이온성을 띠는 세포막을 쉽게 통과하도록 설계됐다. 세포투과성이 우수한 만큼 적은 용량으로도 효능을 발휘할 수 있고, RNA에 비해 합성이 용이하기 때문에 약...
KIST "50일 이상 유지하는 인공 세포막 구조물 개발" 2022-03-22 12:00:09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인공세포막을 구현했다. 아울러 연구팀은 소장 내 상피 세포를 모사해 수천개의 튜브 모양으로 이뤄진 블록코폴리머 인공장기 구조물을 제작하고 당류 분해효소인 베타 갈락토시데이즈(β-galactosidase)를 결합해 인공 장기의 소재로 쓸 수 있는 가능성도 입증했다. 김 박사는 "기존의 인공 세포막...
온실가스 메탄 연료로 바꾸는 세균 효소 구조 첫 확인 2022-03-18 16:00:30
이용해 인공 막이 아닌 메탄영양 세균의 진짜 세포막에 박힌 효소를 직접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런 연구 계획이 실현되면 세포막 내 효소의 배열을 파악해 자연환경에서 메탄이 메탄올로 전환되는 과정을 확인하고 효소 주변의 다른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에 관해서도 이해를 넓힐 수 있다고 전망했다. 로젠바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