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하나금융티아이, 한국폴리텍대학과 업무협약 체결 2022-12-27 13:15:36
강화를 위한 실무 중심의 교육을 통해 인문학적 소양과 데이터 분석력을 동시에 지닌 융합형 인재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원키 위해 마련됐다. 하나금융티아이는 인문ㆍ사회계열의 IT 비전공자를 포함한 교육생 20명을 선발해 오는 2023년 3월부터 한국폴리텍대학 광명융합기술교육원에서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빅데이터...
"서울대 의예 정시 합격선 414점"…다른 의대 봤더니 2022-12-09 11:54:07
또 인문 사회계열의 경우 연대 경영 389점, 국어국문 383점, 고대 경제 388점, 중어 중문 380점을 합격 가능 점수로 제시했다. 서강대 경영은 382점, 성균관대의 경우 의예과 410점, 약학과 393점, 글로벌경제 381점이 합격권으로 예상된다. 한양대의 경우 의예과 406점, 경제금융 378점, 이화여대는 의예(자연계) 403점,...
전국대학 GTEP연합, 베트남 미용박람회에서 'K-뷰티' 홍보 2022-08-30 15:28:31
국내 인문사회계열의 유일한 실습형 프로그램으로 2007년 이후 1만명 이상의 청년 무역전문가를 양성했다. 중소기업들은 글로벌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고 학생들은 현장에서 무역 관련 실전 경험을 쌓을 수 있다. 올해 13번째 열린 베트남 미용박람회는 25개 국가 및 지역에서 180개사, 450개 이상의 브랜드가 참여했다....
한국외대, 모든 전형 중복지원 가능…수능최저 신설 2022-08-29 16:38:42
않는다. 한국외대 논술고사 시간은 지난해까지 인문계, 사회계 100분, 자연계는 80분이었으나 올해부터 모두 90분으로 통일됐다. 논술고사는 11월26일부터 27일까지 이틀간 실시되며, 논술전형의 수능최저학력기준은 지난해와 동일하다. 최근 한국외대의 평가는 꾸준히 높아지는 추세다. 4차 산업혁명 등 사회적 변화에...
"대기업 CEO 평균 연령 58.4세…작년보다 1.4살 젊어져" 2022-06-14 12:00:02
졸업(28%), 상경 및 인문사회계 전공(48.7%)의 CEO였다. 특히 최근 10년간 59세 이상이던 평균 연령은 58.43세였다. 지난해 조사의 59.83세보다 1.4세 젊어졌다. 연령 구간을 보면 80세 이상 1명, 70세 이상 1명, 60대(65∼69세 12명, 60∼64세 49명) 61명, 50대 55명, 40대 6명, 30대 1명 등이었다. 출생연도 별로는...
AI·빅데이터 안 가르치는 학교…학생들 "취업 준비는 유튜브로" 2022-05-23 17:18:31
사회계열의 입학정원이 9만7020명에서 10만2606명으로 증가한 것과 비교되는 수치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올해 상반기 대기업 채용 계획 인원의 61.0%가 이공계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지난해 4년제 일반대학 졸업자 가운데 이공계열은 37.7%로 인문계열(43.5%)보다 적었다. 일자리 미스매치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인력...
[김상은의 생명의학] '과학적 국정 운영'이 뿌리내리려면… 2022-04-27 17:37:39
양성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다. 인문학적 통찰력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사회와 법 제도의 가치를 존중하는 과학기술 인재, 과학기술의 가치와 한계를 이해하고 과학기술에 인문학적·예술적 영감과 사회적 가치를 불어넣을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인문사회·문화예술 인재를 길러내야 한다. 하지만 우리 교육 현장은 아직...
[사설] 총리실, 정권코드 국책연구원장 구하기 당장 멈춰야 2022-04-07 17:22:35
경제·인문사회계 연구기관 간 간담회를 하고 나서야 이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했고, 제도 개편을 추진하게 됐다는 설명도 군색하기 이를 데 없다. 시기적으로 속이 너무 뻔히 보이는 개편이다. ‘알박기’ 논란은 문 정부 5년간 보여온 국책연구기관들의 ‘정권 코드 맞추기’ 행태에서 비롯된 측면이 크다. 상당수 연구...
예술과 과학, 그리고 비즈니스 혁신 [정삼기의 경영 프리즘] 2022-01-27 05:50:03
창업자와 후계자 대부분이 경제, 경영 등 인문사회계 출신들입니다. 1980년대 이후 디지털 시대를 주도하는 신흥 테크기업들의 창업자는 컴퓨터공학 등 자연계 출신들이 대부분으로, 인문계 출신들과 함께한 경우는 드뭅니다. 이들은 인문계와 자연계가 서로 '넘사벽'이었던 세대입니다. 이공계 출신이 열심히...
2022학년도 정시 1004명 선발…학부·단과대학 단위 모집 2021-11-28 14:04:48
다군에서 263명을 뽑는다. 인문캠퍼스(서울)는 나군과 다군에서, 자연캠퍼스(용인)는 가군과 나군에서 단과대학별로 구분해 신입생을 모집한다. 일반전형은 수능성적(백분위점수)만을 100% 반영해 선발하므로 수능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수능성적 영역별 반영비율은 인문사회계열의 경우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