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이정선 대표 "무릎연골결손 신약 美 임상…퇴행성 관절염 치료효과도 확인" 2025-01-22 17:23:54
대한 설문평가(KOOS)와 자기공명영상(MRI) 평가(MOCART)다. 이 대표는 “아직 MRI 분석 결과 데이터는 나오지 않았지만 KOOS 결과는 충분히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카티라이프는 환자의 갈비뼈에 있는 늑연골에서 채취한 연골세포를 배양해 연골조직 형태로 만들어 도포하는 세포 치료제다. 주로 관절경으로 처치하나...
바이오솔루션, 관절염치료제 美 임상 2상 "결과 자신 있어" 2025-01-21 09:14:45
1차 평가지표는 통증과 기능에 대한 설문평가(KOOS)와 자기공명영상(MRI) 평가(MOCART)다. 이 대표는 “아직 MRI 분석 결과 데이터는 나오지 않았지만 KOOS 설문 평가 결과는 충분히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 카티라이프와 유사한 무릎연골치료제를 시판 중인 베리셀 코퍼레이션 또한 KOOS 평가를 1차...
치매학회 "치매신약 레켐비, 투여 후 이상반응 모니터링 중요" 2025-01-13 09:35:22
뇌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투약 용량은 10㎎/㎏로 2주마다 정맥주사해야 한다. 정맥 주입 시설과 전문 인력, 이상반응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의료기관에서 투여해야 한다. 심각한 약물 과민증이 있는 환자, 금속임플란트를 했거나 폐소공포증이 있어 MRI 촬영이 불가능한 환자, 출혈성...
걸그룹 멤버가 삭발을…美 코첼라 가는 신예 XG의 정체 [김수영의 크레딧&] 2025-01-12 16:56:31
한 멤버는 바리캉을 들고 그대로 자기 머리를 밀어버렸다. 그룹 XG(주린, 치사, 히나타, 하비, 쥬리아, 마야, 코코나)의 '워크 업(WOKE UP)' 뮤직비디오 속 모습이다. 우상이라는 뜻의 아이돌(Idol)은 '예쁘고 사랑스럽다'는 이미지로 동경심을 자극해왔는데, XG는 이와 등을 돌리고 개성 있고 독특한...
수십만원대 '비타민 주사'…5세대 실손에선 보험금 못탄다 2025-01-09 17:48:45
300만원 한도가 추가된다. 자기부담금 비율은 현행 30%에서 50%로 올라간다. 경증 비급여로 진료비를 10만원 낸다면 5만원은 환자가 부담해야 한다는 의미다. 금융당국은 또 도수치료 등 근골격계 치료, 비타민주사, 자기공명영상(MRI) 등 보험금 지급이 많고 치료 효과가 명확하지 않은 ‘3대 비급여’는 아예 보험금을...
[사이테크+] "수면 부족하면 불쾌한 기억 등 잡생각 억제 능력 떨어져" 2025-01-09 09:42:24
회상·억제 실험을 하면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뇌 활동을 조사했다. 실험 참가자들에게 이전에 자동차 사고나 싸움 등 감정적으로 부정적인 장면과 함께 본 적이 있는 얼굴을 보여주면서 각 얼굴과 관련된 장면을 떠올리거나 그 장면에 대한 기억을 억제하도록 요청했다. 그 결과 기억을 억제하려고 시도할 때...
바이오솔루션, 미국 임상 2상 48주 추적관찰 종료 2025-01-03 11:22:00
입력 및 자기공명영상(MRI) 평가작업에 들어갔다고 3일 밝혔다. 회사측은 올 상반기 중 결과를 발표하겠다는 계획이다. 카티라이프는 2019년 국내에서 조건부 품목허가를 받은 첨단재생치료제다. 골관절염환자의 늑골에서 떼어낸 연골세포를 무릎 연골 손상부위에 이식해 근본적인 치료를 유도한다. 2019년 11월 미국...
실손보험료 평균 7.5% 오른다…3세대 가입자는 20% 더 내야 2025-01-02 16:12:02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비급여 도수치료, 비급여 자기공명영상(MRI), 비급여 주사료 등을 별다른 제한 없이 보상받을 수 있다. 2세대 이후로는 입원치료비 일부를 가입자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 또 외국 병원에서 발생한 의료비는 1세대 상품은 보상받을 수 있지만 2세대 이후부터는 보상받을 수 없다. 2세대는 국민건강보...
극심한 두통에 병원 찾았더니…뇌 속에서 '꿈틀' 2024-12-30 16:05:31
구토를 호소해 서울대병원을 방문했으며, 당시 자기공명영상(MRI) 검사에서 뇌 왼쪽 뒷부분에서 병변이 보여 뇌종양으로 의심됐다. 의료진은 수술을 권유했으나 환자는 증상이 호전되자 치료를 거부하고 퇴원했다. 7개월 후 환자는 다시 극심한 두통과 전신 발작으로 병원을 찾았다. 이때 후속 MRI 검사에서는 병변이 뇌의...
서울성모병원, 'SGLT2 억제제' 비후성 심근증 치료 가능성 입증 2024-12-27 14:47:12
"최근 유전자 검사와 심초음파, 심장자기공명영상(MRI)을 포함한 다중 모달 평가로 비후성 심근증의 병인이 점차 밝혀지고 있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유럽예방심장학저널(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에 실렸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