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키움 '영풍제지 사태' 책임자들 관계사 임원으로 잇달아 이직 2024-04-01 06:05:00
그는, 도의적 책임을 지겠다며 11월 자진 사임 의사를 밝혔으나 이사회의 한차례 보류 결정과 업무 인수인계 등을 이유로 한동안 미등기 사장으로 남아있었다. 실제 키움증권에서 완전히 퇴사한 날은 지난달 중순이었다. 영풍제지 사태 당시 핵심적인 위치였던 키움증권의 대표이사, 리스크관리본부장이 관계사로 자리를 ...
"바닥 쳤다"…박민영의 눈물, 그리고 다시 꿈꾸는 로맨스 [인터뷰+] 2024-02-21 07:00:05
강씨와 결별 소식을 전했고, 박씨도 사외이사에서 자진 사임했지만 강씨의 혐의와 관련해 박민영은 참고인 신분으로 검찰 조사를 받기도 했다. '내 남편과 결혼해줘'는 박민영이 논란 이후 처음으로 선보이는 작품이었다. 시한부 선고를 받은 여성이 남편과 친구의 불륜을 알게 된 후 결혼 전으로 회귀해 두 사람에...
이직자 연말정산, 깜빡하고 前직장 소득 빼먹으면 '稅폭탄' 2024-02-04 18:09:57
홈택스(종합소득세 신고)나 세무서에 자진신고하면 연말정산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런 절차가 번거롭다는 이유로 현 직장에서 받은 급여로만 연말정산을 하면 손해가 크다. 근로소득세 외에 추가로 가산세까지 내야 할 수 있다. 지난해 1월부터 3월까지는 전 직장에서 근무해 급여 2000만원을 받고, 같은 해 4월부터...
회사 옮긴 후 '이것'만 했어도…직장인, 뜻밖의 '폭탄' 맞았다 2024-02-03 12:24:56
5월에 홈택스(종합소득세 신고)나 세무서에 자진신고하면 연말정산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런 절차가 번거롭다는 이유로 현 직장에서 받은 급여로만 연말정산을 하면 손해가 크다. 자칫 탈세범으로 몰려 무거운 가산세까지 내야 할 수 있다. 지난해 1월부터 3월까지는 전 직장에서 근무해 급여 2000만원을 받고, 같은 해...
회사에서 잘렸지만…절반 이상 "실업급여 못 받아" 2024-01-21 12:36:30
경우는 45.1%에 그쳤다. 비자발적 퇴사자 중 비정규직은 63.3%가 실업급여를 받지 못했다고 응답해 정규직(38.7%) 비자발 퇴사자보다 실업급여 미수령 비율이 훨씬 높았다. 단체는 사용자가 사실상 해고하면서 노동자에게 협박을 통해 사직서를 받아내거나, 해고 상황에서 은근슬쩍 자진 퇴사로 처리했다는 내용의 제보를...
인력 줄이고 임상 중단…업계 '생존' 안간힘 2023-12-24 18:18:09
약 100명이 퇴사했다. 마이크로바이옴(장내 미생물) 기반 신약 개발사인 지놈앤컴퍼니는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다. 전체 임직원의 약 30%를 감축할 계획이다. 건강기능식품 원료를 공급하는 종근당바이오도 지난 8월부터 실적 악화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업계 관계자는 “수개월치 월급이 밀린 곳이 적지 않다”고...
직장 내 성희롱·괴롭힘, 서둘러 가해자 퇴사시켰다가는… 2023-10-24 16:58:11
측면이 있다. 가해자로 지목된 직원이 자진 퇴사하면 피해자는 직장에서 가해자와 영구 분리가 되므로 대체로 만족하고, 직장 내 질서도 회복되는 경우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노동조사에 임하는 기업이 가해자 퇴사로 조사를 쉽게 종결하는 것에 방점을 찍는 태도가 정당화되지 않는다. 오히려 기...
괴롭힘 피해자를 위한 '딱 하나의 조언' 2023-09-26 15:19:00
하기도 한다. 그런데 왜 진(眞)피해자가 퇴사를 해야 하는가? 그것은 직장 내 괴롭힘 제도를 두는 취지에 정면으로 반하는 것이다. 진 피해자라면 이들은 보살핌의 대상이고, 그 정당한 권리를 회복 받아야 하는 사람들이다. 만약 누군가 퇴사를 해야 한다면, 그것이 자진 퇴사가 되건 징계해고 결과이건 가해자가 되어야...
'직원 몽둥이질' 갑질 창업주의 몰락…'뒤늦은 후회' 2023-09-13 09:53:52
이 씨와 관련된 부서에선 직원들의 잇따른 퇴사가 이어졌다. 몽둥이로 엉덩이를 폭행당한 16명의 임직원 중 3명은 십수년간 몸담았던 회사를 떠났다. 임원 A씨는 “직원들에겐 회사를 다니는 게 점점 더 가혹해졌다"며 "결국엔 저 사람이 언젠간 죽어야 회사 내 갑질이 끝이 난다고까지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씨는 이러한...
"계속 다니면 줄게"…육아휴직 사후지급금, 10만명 못 받았다 2023-08-31 14:49:30
인한 퇴사'(8만1879명)가 가장 많았다. '폐업이나 도산, 인원감축 등 기타 회사사정'이 1만 7630명으로 그 뒤를 이었으며 그밖에 '계약만료·정년'(1677건), '사업장 이전, 근로조건 변동 등 임금체불로 인한 자진퇴사'(1478명) 등도 주요 사유였다. 강은미 의원은 “부지급 금액 중 81%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