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암흑우주 비밀을 찾아서'…유클리드 망원경 우주로 2023-07-02 00:30:01
'가시광선 관측기'(VIS)와 '근적외선 분광계·광도계'(NISP) 등 두 가지 관측장비가 실려 있다. 허블우주망원경보다 200배나 넓은 시야각을 가진 가시광선 관측기는 100억 광년 밖의 빛까지 포착해 은하 지도를 작성, 138억년 전 '빅뱅'(Big Bang)으로 시작된 우주 역사에 대한 새 시각을 제공할...
지구형 행성 '트라피스트-1 b' 온도 첫 측정…생명체 확인 진전 2023-03-28 11:56:40
불과한 초저온 적색왜성(M형 왜성)으로, 태양∼수성 거리에 일곱 개의 행성을 거느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행성은 모두 지구와 비슷한 크기를 갖고있으며 여섯 개가 암석형 행성이다. 가장 안쪽에서 도는 트라피스트-1 b는 태양∼지구 거리의 100분의 1도 안 되는 궤도를 1.51일 주기로 돌면서 지구가 받는...
올겨울 순환정전 대비하는 프랑스…"극단적 상황 가정한 것" 2022-12-04 01:31:07
부담이 생기면 황색, 압박이 심해지면 적색으로 예보하는 서비스다. 정부는 최근 이러한 지침을 각 지방자치단체에 하달하면서 전기가 끊겼을 때 필요한 대책을 수립해달라고 주문했다. 이 지침은 프랑스 본토에서 전력 공급을 받지 않는 코르스섬을 제외한 모든 주에 전달됐다. 이와 관련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
中 쓰촨성, 최악 가뭄 이어 폭우 경보…4만6000명 대피 2022-08-28 18:01:37
중국 매체는 28일 쓰촨성 몐양과 광위안 등 일부 지역에 전날 오후부터 강한 비가 내리면서 3600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쓰촨성 당국은 혹시 모를 사태에 대비해 주민 4만6400여명을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켰고, 정확한 피해 규모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앞서 중국 기상청은 전날 오후 4시를...
최악 가뭄 중국 쓰촨성에 폭우…4만6천명 대피 2022-08-28 17:15:12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쓰촨성 몐양과 광위안 등 일부 지역에 전날 오후부터 강한 비가 내리면서 3천600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쓰촨성 당국은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주민 4만6천400여 명을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켰다고 밝혔다. 정확한 피해 규모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앞서 중국 기상청은 전날 오후...
웹 망원경 적외선 카메라에 포착된 목성 극지 오로라 2022-08-23 11:20:33
공개했다. 연구팀은 적색과 황록색, 청색 등 3개의 특수 적외선 필터를 가진 웹 망원경의 근적외선카메라(NIRCam)로 포착한 이미지를 합성해 두 장의 이미지를 만들었다. 지금까지 보던 목성 이미지와 색이 다른 것은 적외선으로 포착된 빛 정보를 가시광 영역에 맞게 파장이 긴 것은 적색, 짧은 것은 청색으로 보이게...
첨단 웹 망원경 성능 입증한 '첫빛' 이미지 무엇이 다른가 2022-07-13 12:01:05
주변의 행성형성 원반이 핑크와 적색으로 밝게 빛나는 장면과 원시별 제트 현상을 포착했다. ◇ 별의 죽음 보여준 남쪽고리성운 지구에서 약 2천500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남쪽고리 성운(Southern Ring Nebula)은 항성 진화 마지막 단계에서 죽어가는 별이 뿜어내는 가스와 먼지가 만들어낸 행성상(狀) 성운이다. 중앙에 두...
지구 기상위성에 꼬리 잡힌 적색거성 '베텔게우스' 비밀 2022-05-31 10:39:25
꼬리 잡힌 적색거성 '베텔게우스' 비밀 가장자리 배경서 포착된 자료로 '광도급감' 원인 재확인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오리온자리의 가장 밝은 별인 적색거성 '베텔게우스'는 2019년 말부터 이듬해 4월까지 광도(밝기)가 급격히 떨어져 한때 초신성 폭발이 임박했다는 전망이 나오는...
짝별에 질량 뺏겨 '날씬한' 적색거성 확인 2022-04-18 16:16:13
적색거성보다 작거나 광도가 낮은 별들을 찾아냈다. 논문 제1저자인 박사학위 후보 리야광은 "정상적인 적색거성의 바다에 숨겨진 40개의 작은 별을 찾아낸 것은 극도의 행운이었다"면서 "이 별들의 질량을 알게 됐을 때 관측이 잘못된 것으로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질량이 작은 적색거성은 태양의...
2월 과학기술인상에 이준엽 성균관대 교수 2022-02-09 12:00:08
발광 소자의 효율과 수명을 동시에 높이는 기술을 개발해 그 공로를 높이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첨단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로 다양하게 활용되는 OLED는 선명한 빛을 내려면 적색, 녹색, 청색의 세 가지 발광 소자가 필요하다. 하지만 적색, 녹색과 달리 청색 소자는 효율이 낮고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