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짝별 없이 못찾는 외톨이 블랙홀 중력렌즈 효과로 확인 2022-06-13 14:12:03
별이 진화 마지막 단계에서 초신성으로 폭발한 뒤 남게 되는 항성 질량 블랙홀은 우리 은하에만 약 2억 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강한 중력으로 빛조차 빠져나오지 못해 눈에 보이지 않는다. 이 때문에 짝별(동반성)의 물질이 빨려들 때 초고온으로 가열되며 X선을 방출하거나 드물지만 중성자 짝별과 충돌하며...
[책마을] 인간의 33%는 버섯? 신기한 과학 2022-06-10 17:55:27
농담이 아니다. 실제로 우주에선 그런 일이 벌어진다. 중성자별이다. 엄청나게 큰 항성이 수명을 다하면 자신의 중력에 못 이겨 에베레스트산만 한 크기로 줄어든다. 블랙홀도 그런 예다. 인간의 3분의 1은 버섯이란 말도 사실이다. 인간 DNA의 3분의 1은 버섯과 같은 균류의 DNA와 같다. 인간과 버섯이 같은 조상에서 갈라...
약 30억 광년 밖 왜소은하서 반복되는 '빠른 전파 폭발' 포착 2022-06-09 15:21:52
다양한 시나리오가 제기되고 있지만 대형 별이 초신성으로 폭발하고 핵만 남은 초고밀도 중성자별이나 마그네타로 불리는 강력한 자기장을 가진 중성자별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돼 왔다. 연구팀은 FRB 190520이 초신성 폭발 때 방출한 고밀도 물질에 둘러싸여 있는 신생 천체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1만1천광년 떨어진 카시오페이아A는 빛나는 보라색 구름 모습 2022-02-17 11:55:59
촬영해 초신성 잔해 중심에 블랙홀이나 초고밀도 별인 중성자별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당시 촬영한 카시오페이아 A는 푸른빛을 띠었다. IXPE의 연구책임자인 마틴 와이스코프는 "IXPE로 촬영한 카시오페이아 A 사진은 역사적인 일"이라며 "현재 분석 중인 정보들은 이전에 카시오페이아 A에서 볼 수 없었던 것들로 IXPE...
영국 '5초 인공태양' 참여 한국인 과학자 "꿈의 에너지에 접근" 2022-02-14 07:00:01
별이 에너지를 내뿜을 때 사용하는 원리와 같아서 '인공태양'으로 불린다. '중수소와 삼중수소'(DT)가 초고온의 플라스마 상태에서 융합해 헬륨과 중성자가 될 때 질량이 손실되며 에너지가 나오는 반응을 이용한다. 플라스마는 고체·액체·기체를 넘어선 제4의 상태다. 이를 위해 온도와 밀도 조건을...
"이번엔 태양 질량 8배"…'떠돌이 블랙홀' 찾았다 2022-02-11 17:13:30
중성자별이 된다. EHT 연구진 이전엔 블랙홀 주변 항성 하나가 내뿜는 X선을 활용해 간접적으로 블랙홀의 존재를 추정했다. 블랙홀 중력과 이로 인한 마찰열로 가열된 각종 물질이 이 X선을 받아 빛나는 경우를 포착하는 것이다. 이를 ‘X선 쌍성(binary star)’ 기법이라고 한다. 심지어 우주를 떠도는 블랙홀도 적지 않은...
지구의 미래?…백색왜성에 흡수되는 행성 잔해 첫 관측 2022-02-10 15:59:16
천문학에서는 블랙홀이나 중성자별에 강착하는 물질을 나타내는 핵심 증거로 활용돼 왔다. 지금까지는 백색왜성에 떨어지는 물질을 직접 관측하지 못하고 가시광선과 적외선 분광기를 이용해 백색왜성 표면의 철이나 칼슘, 마그네슘 등의 중원소를 측정해 강착이 이뤄지고 있는지를 간접적으로 파악해 왔다. 백색왜성은...
빛 굴절 중력렌즈 효과 활용 외톨이 블랙홀 첫 확인 2022-02-08 16:57:29
강한 X선을 방출하거나 중성자별과 충돌하며 중력파를 만드는 등 다른 천체와의 상호 작용이 있어야만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확인된 별과 비슷한 질량을 가진 블랙홀이 모두 쌍성계 이상에서만 발견돼 온 것도 이런 연유에서다. 하지만 짝별 없는 외톨이 블랙홀이 처음으로 확인돼 이런 흐름도 바뀔 전망이다....
[사이테크+] 미 연구팀 '연소플라스마' 첫 성공…"핵융합 실현 새 이정표" 2022-01-27 17:17:25
두 개의 중성자로 구성된 알파 입자가 되면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전 시도들은 레이저빔이 플라스마에 에너지를 축적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플라스마의 형태를 제어하는 데 따르는 어려움 때문에 성공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번 실험에선 더 많은 핵융합 연료를 담고 더 많은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캡슐을...
2억광년 밖 우주 '암소' 정체는 블랙홀 또는 중성자별 탄생 순간 2021-12-14 16:52:10
뒤 블랙홀이나 중성자별이 만들어지는 것일 수 있다는 결론을 과학 저널 '네이처 천문학'(Nature Astronomy)에 발표했다. 우주 암소의 실체를 놓고 중형 블랙홀이 지나가는 별의 물질을 빨아들이는 것이란 주장부터 초신성 뒤 블랙홀 탄생의 결과물이라는 가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나리오가 제시됐으나 광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