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예스티, 고부가 장비로 '반도체 슈퍼乙' 도전 2024-08-28 17:28:23
표면 결함을 고압의 수소, 중수소로 치환해 신뢰성을 높이는 공정이다. 이 장비는 기존 가압 장비보다 다섯 배 이상 비싼 고부가가치 상품이다. 지난해 예스티가 SK하이닉스에 이 장비를 공급하기로 하고 샘플 테스트까지 마쳤는데 이 시장을 독점하던 경쟁사 HPSP가 특허침해 소송을 걸었다. 이에 대해 강 대표는 “미리...
"매출 2000억대 낼 것"…2년 간 적자낸 '이 기업'의 흑자 비결 [민지혜의 알토란 中企] 2024-08-28 08:30:01
표면 결함을 고압의 수소, 중수소로 치환해 신뢰성을 높이는 공정이다. 반도체 공정은 점점 미세화하기 때문에 고압 어닐링 장비를 사용하면 열화 현상이 발생하는 빈도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장비는 기존 가압 장비보다 훨씬 비싼 고부가가치 상품이기도 하다. 지난해 예스티가 SK하이닉스에 이 고압 어닐링...
[이지사이언스] 원자핵이 합쳐지는데 왜 전기가 생길까 2024-07-27 08:00:01
헬륨 원자핵과 중성자 질량의 합은 애초 중수소와 삼중수소 원자핵 각각이 가진 질량의 합 보다 작은데, 이렇게 줄어든 질량은 운동에너지로 변환돼 헬륨 원자핵과 중성자를 빠르게 움직이도록 한다. 중성자의 속도는 시속 2억㎞에 이른다.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중성자 등을 '블랭킷'이라 부르는 장치에 부딪히게...
"국제핵융합실험로 부품 결함, 설계 오류 탓…韓 책임 없어" 2024-07-22 14:00:04
바뀌면서 오차를 수리해야 하는 상황이다. 진공 용기는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플라스마로 바뀌며 1억도 이상 온도에서 핵융합 반응을 일으킬 때 이를 담고 있는 부품으로 원자력의 원자로에 해당한다. 도넛 형태의 진공 용기는 바깥지름이 19.5m에 높이는 11.3m에 달하는 거대한 크기로, 9개 '섹터'로 나눠 나중에...
불붙는 우주탐사 경쟁...떼돈 버는 인도, 왜 [+why?] 2024-06-21 17:44:48
중 하나기도 한데요. 달에는 헬륨-3라는 자원이 있습니다. 중수소와 핵융합해 쓸 수 있고요. 단 1g이 석탄 40톤과 같은 에너지를 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달에는 이런 헬륨-3가 110만 톤 매장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전 세계 인구가 1만년 동안 쓸 전기를 만들 수 있는 양입니다. 경제적 가치를 따지면 같은 무게의 ...
1g 수소로 석유 8t 얻는다…태양을 닮은 '핵융합 발전' 2024-05-22 17:43:38
삼중수소가 고온 플라스마 환경에서 헬륨 원자핵으로 바뀔 때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따라 막대한 에너지가 방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핵융합의 원료인 중수소는 바닷물에서 쉽게 얻을 수 있다. 이론상 1g의 수소로 핵융합 발전을 하면 석유 8t에 달하는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핵융합 발전은 여러...
달에 묻힌 '마법 광물' 6년 뒤부터 캔다 2024-05-07 18:10:32
삼중수소를 헬륨3로 대체한다면 핵융합 에너지를 낮은 단가에 확보할 수 있다. 삼중수소와 달리 헬륨3는 핵융합 과정에서 방사선이 발생하지 않는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헬륨3 1g으로 석탄 40t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헬륨3 100t이면 탄소 배출이나 방사선 문제없이 인류가 1년간 사용할...
SK하이닉스, 반도체업계 최초 네온 가스 재활용 기술 개발 2024-04-01 10:10:09
모든 소재의 재활용을 최종 목표로 삼고 있다. 2025년까지 네온, 중수소, 수소, 헬륨 등 4개 가스 소재와 황산 등 화학 소재를 비롯해 총 10개 원자재의 재활용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앞서 SK하이닉스는 지난 2월 '재활용 소재 사용 중장기 로드맵'을 발표하고, 2025년까지 재활용 소재 비율을 25%, 2030년까지...
[이지 사이언스] 원전서 나온 삼중수소, 금값 400배 초고가 자원? 2024-03-16 08:00:03
기존 방식 대신 수소에 중성자 하나가 달라붙은 중수소만으로 발전하거나 핵융합로에 리튬층을 넣어 삼중수소를 다시 만들어내는 방법 등도 고려하고 있다. ITER에는 핵융합로 1차 벽인 블랑켓에 삼중수소를 재생산하는 구조를 넣어 삼중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을 검증할 계획이다. shjo@yna.co.kr (끝) <저작권자(c)...
[커버스토리] 인공지능의 미래 전기에 달렸다 2024-03-03 17:47:16
배출하지 않고, 원료인 중수소는 바다에 무한하게 존재합니다. 그래서 ‘꿈의 에너지’라 불리죠. 세계 각국의 개발 경쟁도 치열합니다. 영국은 세계 최초의 핵융합에너지 상용화를 위해 2040년까지 핵융합발전소 건설을 마치겠다는 목표입니다. 미국은 2040년까지 핵융합발전소 건설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어요. SMR는 기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