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성묘길 진드기 조심…쯔쯔가무시 90% 가을철 집중 2018-09-22 10:30:00
환자 4명이 쯔쯔가무시 판정을 받았다. 증세가 비슷한 신증후군출혈열 환자도 2명이 나왔다. 쯔쯔가무시증은 활순털진드기 유충이 활동하는 가을철 주로 발생한다. 지난해 도내 환자 241명 중 216명(89.6%)이 9∼11월 집중됐다. 작은소피참진드기가 옮기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역시 늘어나는...
가을철 진드기·쥐 매개 감염병 '조심'…SFTS 치사율 19% 2018-09-05 10:16:47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쯔쯔가무시증은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가을철에 발생한다. 지난해에는 1만528명의 환자가 보고됐고 올해는 지난달까지 1천364명이 발생해 이 가운데 8명이 사망했다. 이 감염병은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릴 때 발생하는데 고열, 오한, 근육통, 복통, 인후염, 가피, 발진 등이...
충남 쯔쯔가무시증 환자 1년새 2배↑…"야외활동 시 주의해야" 2018-09-05 10:10:02
쯔쯔가무시증 환자 1천250명 중 1천124명(89%)이 이 기간에 발생했다. 진드기는 주로 숲과 목장, 초원 등 야외에 서식하기 때문에 밭일을 많이 하는 농촌 거주자들이 주로 감염되지만, 캠핑과 등산 등 야외활동을 통한 발병 사례도 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올해 폭염과 가뭄이 장기화하면서 쯔쯔가무시증 환자가 급증한...
'가을철 불청객' 쓰쓰가무시증 유전자 90%가 '보령형' 2018-01-18 16:15:26
쯔쯔가무시균의 유전자형을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쯔즈가무시균 유전자형은 보령형이 가장 많이 검출됐으며 카프계열이 5%, 가와사키 계열이 3%였다. 카프계열 중 사이타마형은 이 지역에서 처음으로 검출됐다고 연구원 측은 설명했다. 이 연구는 국내 서남부지방 들쥐(털진드기)환자에서 검출한 쯔쯔가무시균 유전자형...
광주 쯔쯔가무시증 주의보…매개체 들쥐 털진드기 급증 2017-10-25 15:30:38
이 시기에 쯔쯔가무시증에 걸릴 확률이 높다. 실제 환자 발생의 90%가 이 시기에 집중된다. 광주·전남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은 올해 10월15일 기준 519명으로 전국 2천41명의 25%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2천83명(전국 1만1천105명)이, 2015년에는 2천155명(전국 9천513명)이 감염됐다. 서진종 시 보건환경연구원...
성묘객 '진드기' 조심…쯔쯔가무시증 환자 10월되면 폭증 2017-10-03 11:01:01
털진드기 유충에 의해 생기는 발열성 질환인 '쯔쯔가무시증'은 성묘객이 많은 10월만 되면 환자가 폭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명연 의원(자유한국당)이 건강보험공단에서 제출받은 '월별 쯔쯔가무시증 진료인원 현황'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이 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벌초 진드기주의, `이것` 지켜야 감염 막는다 2017-09-28 01:45:01
알려져있다. 쯔쯔가무시증은 진드기가 옮기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에 물리면 걸리고, 10~12일의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나타난다. 초기 증상은 두통·발열·오한·구토 등 감기와 비슷하나 일주일 정도 지나면 몸에 피부발진이 생긴다.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뇌수막염이나 장기부전 등으로...
고신대 질병 매개체 첨단 분석장비 설치 2017-03-13 17:33:46
또 털진드기에 의한 쯔쯔가무시, 참진드기에 의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을 검사해 질병관리본부에 보고하고 있다. 이동규 감시센터장은 "이번 고가장비 도입으로 고신대가 전국 대학 중 가장 최신의 장비를 보유하게 됐다"며 "병원체 분석의 정확도가 높아지고 신속한 분석이 가능하게 됐다"고 말했다....
쯔쯔가무시증이란, 전년 동기간 대비 환자 160% 증가...야외활동시 ‘주의’ 2016-05-27 00:09:00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다.쯔쯔가무시병은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균(orientia tsutsugamushi)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진드기의 유충이 피부에 붙어 피를 빨아먹은 부위에 가피(딱지)가 동반된 궤양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이며 야외활동...
백신 없는 쯔쯔가무시병, 면역력 강화로 감염 막는 음식 TIP 2015-11-16 14:57:49
주의가 필요하다. 쯔쯔가무시는 털 진드기 유충으로 인해 발병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초기증상은 발열이나 오한 등 감기와 비슷하다. 그러나 증상이 심해지면 급성신부전, 호흡부전, 뇌수막염 등의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쯔쯔가무시 치사율은 최대 60%에 이를 정도로 높지만 아직 백신은 개발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