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양력과 음력의 차이는? 2025-01-20 17:56:57
유래를 알아봤다. 인류는 오랜 옛날부터 천체의 움직임과 계절 변화를 바탕으로 역법을 만들어 사용했다. 제때 농사를 짓고 종교의식을 치르기 위해서도 달력이 필요했다. 양력과 음력의 원리는 무엇이며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봤다. 윤달과 윤년이 있는 이유도 설명했다. 꿈을 이룬 사람들에선 그림 그리기를 주제로 한...
'김승연의 노벨 과학상 프로젝트'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해외 탐방 성료 2025-01-20 16:18:43
천체물리학 연구소 중 하나인 포츠담 천체물리학연구소 방문을 시작으로 베를린 공과대, 한화큐셀 글로벌 R&D센터, 네덜란드 AEB 암스테르담, 델프트 공과대, 네덜란드 해양연구소 등을 방문하며 글로벌 친환경·신재생에너지 연구 현장을 직접 확인했다. 한화큐셀 독일 R&D 센터는 한화그룹의 유럽 친환경...
[사이테크+] "최고해상도 안드로메다 사진 완성…별 9천만개 구분 가능" 2025-01-20 09:59:16
미국 워싱턴대 벤저민 윌리엄스 교수팀은 20일 국제 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에서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은하를 허블 우주 망원경(HST)으로 10년 이상 관측한 데이터를 통합해 안드로메다은하 전체를 담은 파노라마 모자이크 사진을 완성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25억 픽셀의 이...
한화, '한화사이언스챌린지' 고등학생 독일·네덜란드 해외 탐방 2025-01-20 09:35:39
바 있다. 이번 해외 탐방에 참여한 학생들은 세계 10대 천체물리학 연구소 중 하나인 포츠담 천체물리학연구소 방문을 시작으로 베를린 공과대, 한화큐셀 글로벌 연구개발(R&D)센터, 네덜란드 해양연구소 등을 방문했다. 올해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대회는 다음 달부터 서류 접수를 한다. sh@yna.co.kr (끝) <저작권자(c)...
[사이테크+] "가까운 별 74개 근처에서 '외계혜성 벨트' 이미지 포착" 2025-01-18 06:00:02
트리니티대학 루카 마트라 교수팀은 18일 과학 저널 천문학과 천체물리학(Astronomy and Astrophysics)에서 74개의 가까운 별 주위를 돌고 있는 외계혜성 벨트와 벨트 내부의 작은 돌 이미지를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포착된 외계혜성 벨트 사진에는 막 탄생한 별부터 태양처럼 더 성숙한 항성까지 다...
태양계 행성정렬 우주쇼…과천과학관, 25일 관측회 개최 2025-01-17 13:39:08
25일 오후 6시 30분부터 천문대와 천체투영관 일대에서 행성정렬 현상 특별관측회를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행성 정렬은 지구를 제외한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등 태양계 행성들이 동시에 밤하늘에 떠 있는 현상이다. 과천과학관은 21일 전후로 여러 날에 걸쳐 행성 정렬이 일어난다며 이번과 같이...
인도, 인공위성 우주 도킹 실험 성공…세계 4번째 2025-01-16 17:29:37
위한 중요한 디딤돌"이라고 평가했다. 인도 천체물리학자인 자얀트 무르티는 로이터에 "도킹은 우주 임무 수행을 위한 중요한 기술"이라며 "우주정거장 건설같은 다양한 임무 수행은 우주 공간에서의 조립작업을 필요로 하며, 이는 도킹 기술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인도는 2023년 8월에는 달 남극에 최초로 무인...
[커버스토리] 삶에 녹아든 AI…무엇을 바꿔놓을까 2025-01-13 10:01:01
기술입니다. 지구나 천체를 대상으로 삼으면 기후변화, 우주탐사까지 미리 시뮬레이션해볼 수 있어요. 엔비디아의 지구 기후 예측 플랫폼 ‘어스 2’는 태풍 발생 가능성과 경로를 알려줍니다. 테슬라는 자율주행 시스템의 고도화를 위해 디지털 트윈을 활용했습니다. 현대자동차도 전기차를 디지털 트윈 세상으로 옮겨...
[사이테크+] "명왕성과 그 위성 카론은 짧은 입맞춤으로 맺어진 단짝" 2025-01-07 08:18:42
큰 궤도를 가진 천체가 만들어지기는 어렵다고 보고 있다. 덴턴 박사는 고체인 천체가 유체처럼 움직이게 만드는 강력한 충돌 모델은 지구-달 형성 과정은 잘 설명하지만 이보다 훨씬 작고 더 차갑고, 주로 암석과 얼음으로 이루어진 명왕성과 카론 형성을 설명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사흘에 한 번 로켓 쏜 스페이스X…발사장 포화에 '우주공항' 뜬다 2025-01-06 18:21:12
조너선 맥도웰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 박사의 데이터를 인용해 지난해 미국 내 우주 로켓 발사가 145건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스페이스X는 지난달 31일 미국 플로리다 케네디우주센터 39A발사대에서 스타링크 통신위성 21기를 실은 팰컨9 로켓을 발사했다. 스페이스X는 작년 정찰·통신 위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