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연구비 횡령' 서울대 교수 직위해제 효력정지 가처분 기각 2018-11-29 08:53:57
이 교수는 우주의 기원과 생성을 밝히는 `초끈 이론(Superstring theory)' 분야에서 연구 성과를 거둬 2001년 한국인 최초로 고에너지물리학 분야 유네스코 국제이론물리센터상을 수상했고, 2004년 독일 훔볼트 재단이 주는 베셀상을 받았다. boba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한국판 마블 꿈꾼다"…웹툰·영화 '슈퍼스트링' 프로젝트 추진 2017-10-25 16:53:24
'초끈 이론'에 기반해 서로 다른 시대와 세계에 사는 주인공들이 한자리에 모이고, 슈퍼히어로라기보다는 시련을 겪고 초인적인 이야기를 끌어내는, 공감할 수 있는 캐릭터들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고 설명했다. 웹툰의 영화화 작업은 '올드보이', '아가씨' 등을 제작한 영화사 용필름이...
[책마을]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2017-06-08 19:25:55
오구라 히로시 지음, 서혜숙·고선윤 옮김 초끈이론으로 세계적 명성을 얻은 수리물리학자 오구라 히로시 캘리포니아대 공대 교수가 고교에 입학하는 딸을 위해 쓴 수학 해설서. 소수는 왜 중요한지, 음수와 음수를 곱하면 왜 양수가 되는지, 해의 공식은 어떻게 나왔고, 미적분은 왜 배워야 하는지 등을 친절하게 설명한다...
결정·비결정 구조 특성 동시에 갖는 신물질 첫 설계 2015-11-24 12:00:19
있어 사용이 어려웠던 저품질 재료도 원하는 특성에 맞게 변환시켜 산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남규 교수는 "이 연구결과는 입자물리에서 초끈이론에만 활용되던 초대칭이론을 광학과 반도체의 실용적 영역으로 끌고 왔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는 새로운 융합 기술"이라고 말했다. scitech@yna.co.kr(끝)<저...
삼성, 미래기술육성사업 하반기 지원과제 45개 선정 2014-10-09 17:51:51
과제는 서울대 이상민 교수의 양자장론, 초끈이론 연구 등 기초과학 분야 19건을 비롯해 서울대 장호원 교수의 태양광 물 분해 광 전극 개발 등 소재기술 분야 14건과 홍익대 노심혁 교수의 사물인터넷 실현을 위한 뉴메모리 플랫폼 개발 등 정보통신기술 분야 12건입니다. 미래기술 육성사업은 기초과학과 소재기술,...
양자장론·초끈이론 등…'삼성 1조5000억' 45개 과제 선정 2014-10-09 10:00:00
▲ 양자장론·초끈이론 연구(서울대 이상민 교수) 등 기초과학 분야 19건 ▲ 태양광 물 분해 광 전극 소재 연구(서울대 장호원 교수) 등 소재기술 분야 14건 ▲ 사물인터넷 실현을 위한 뉴메모리 플랫폼 개발(홍익대 노심혁 교수) 등 정보통신기술(ict) 창의과제 분야 12건이다.국내외 석학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의...
삼성, 미래기술육성사업 하반기 지원과제 45개 선정 2014-10-09 08:53:38
▲ 양자장론·초끈이론 연구(서울대 이상민 교수) 등 기초과학 분야 19건 ▲ 태양광 물 분해 광 전극 소재 연구(서울대 장호원 교수) 등 소재기술 분야 14건 ▲ 사물인터넷 실현을 위한 뉴메모리 플랫폼 개발(홍익대 노심혁 교수) 등정보통신기술(ICT) 창의과제 분야 12건이다. 이들 과제는 국내외 석학으로 구성된...
시스템반도체 세계수준 이끌어 "삼성의 강점 살려 1위 하겠다" 2014-07-09 20:45:02
'초끈이론' 이기명 교수도 수상 [ 김태훈 기자 ] “삼성은 융복합에 필요한 기술을 두루 갖고 있는 회사 중 하나입니다. 입는 기기(웨어러블 디바이스), 사물인터넷 등의 새로운 분야에서 삼성 시스템반도체의 강점을 살려나가겠습니다.”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을 받은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이 내놓은...
권오현·이기명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 선정 2014-07-09 12:01:00
이기명 교수는 지난 15여 년 동안 답보상태였던 초끈분야의 M2면체와 M5면체에 관한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를 통해 학문 발전에 큰 공헌을 했을 뿐만 아니라 국내 연구수준 향상과 후학양성에 탁월한 기여를 한 국내 이론물리 분야의 대표적인 물리학자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기명 교수가 연구한 M2면체와 M5면체의 물리...
[정규재 칼럼] 하버마스가 웃을 불통론 2013-12-23 21:31:14
흉내낸 선전공세다. 이론물리학자가 초등생과 초끈이론을 토론할 수는 없다. 독일의 하버마스는 자타가 공인하는 소통과 공론장 이론의 전문가다. ‘universal pragmatics’를 ‘보편화용론’이라고 번역한 것은 아무래도 작위적이다. 어떻든 계몽과 진보를 부정하는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신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