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SK바이오, 아스트라·노바백스 백신 위탁생산에 박차 2021-01-13 15:39:23
이 방식은 전통적인 백신 제조 방식으로, 유전물질이나 바이러스가 아닌 단백질 조각을 몸속에 넣어주기 때문에 2~8도에서 상온 보관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강점이 있다. 노바백스는 현재 미국에서 임상3상에 돌입해 1분기까지 임상을 모두 마치고 승인을 신청한다고 예고한 바 있다. 따라서 미국을 포함한...
백신, 얀센 빼곤 모두 두번 맞아야 효과…"마스크는 벗지 마세요" 2021-01-01 17:38:47
낮은 물질을 유통하기 때문에 영하 20~70도 등의 초저온 환경에서 보관해야 한다. 바이러스벡터는 몸속에서 증식하지 않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다른 바이러스를 쓴다. 바이러스가 세포벽을 잘 뚫는 속성을 이용한 것이다. 이 바이러스에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DNA를 끼워넣어 세포까지 운반한다. 2019년 에볼라바이러스...
美FDA 자문위, 모더나백신 사용권고…두번째 백신접종 '초읽기'(종합) 2020-12-18 08:55:28
두 업체의 백신은 바이러스의 유전정보가 담긴 mRNA를 이용한다. 코로나19 백신 개발도 난제였지만, 극도로 불안정한 물질인 mRNA를 활용한 백신 제조는 전 세계 제약업계가 지금껏 이뤄내지 못한 과제였다. 그러나 하버드대학의 줄기세포 연구자들이 벤처투자를 받아 2010년 설립한 모더나는 10년 만에 mRNA를 이용한 백신...
미국서 승인 앞둔 모더나 백신…"화이자에 우위" 자평 2020-12-18 07:25:53
두 업체의 백신은 바이러스의 유전정보가 담긴 mRNA를 이용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도 난제였지만, 극도로 불안정한 물질인 mRNA를 활용한 백신 제조는 전 세계 제약업계가 지금껏 이뤄내지 못한 과제였다. 그러나 하버드대학의 줄기세포 연구자들이 벤처투자를 받아 2010년 설립한 모더나는...
국내 도입 4개사 코로나19 백신, 효능·부작용은? 2020-12-10 06:40:28
2만1천500원)다. 다만 화이자 백신은 -70℃ 이하의 초저온 `콜드 체인`을 통해 유통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다국적제약사 존슨앤드존슨(J&J)의 제약 부문 계열사인 얀센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와 마찬가지로 `전달체(벡터) 백신`이다. 4개사 백신중에서 유일하게 1회 접종하는 제품이다. J&J는 지난...
국내도입 4개사 코로나19 백신, 효능·부작용 어떻게 되나? 2020-12-10 06:00:09
95% 효과…초저온 보관은 한계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은 바이러스의 유전정보가 담긴 메신저 리보핵산(mRNA·전령RNA)을 활용해 개발된 '핵산 백신'이다. 화이자는 임상 3상 시험 참가자 가운데 코로나19에 감염된 환자 170명을 분석한 결과, 백신을 처방받고도 코로나19에 걸린...
코앞까지 온 코로나 백신…접종까진 '산 넘어 산' 2020-11-10 17:29:26
mRNA 백신은 바이러스가 아니라 유전물질을 활용하기 때문에 부작용 우려가 상대적으로 작고 개발 속도가 빠르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하지만 아직 풀어야 할 과제도 남아 있다. FDA는 백신 접종 후 2개월 이상 부작용이 없는지 검토한 뒤 EUA를 내주기로 했다. 화이자가 공개한 중간 결과는 백신 2회차 접종 뒤 7일...
카이스트·UNIST 연구진, 암 관련 단백질 구조 규명 2019-12-17 19:00:02
실 같은 유전물질인 'DNA'(디옥시리보핵산)를 '실패' 같은 히스톤 단백질에 감는 '히스톤 샤페론'이다. Abo1가 히스톤 단백질에 DNA를 감는 정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DNA 사슬이 엉키게 되면 유전 정보가 손실되거나 무분별하게 유전자가 발현돼 암 같은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게 연구진의...
신개념 반도체 소자 개발에 10년간 2천400억 투자 2019-05-09 12:00:19
지원할 분야로 초저전압·미세전류 제어 소자, 두뇌모사 소자 등을 꼽았다. 또 유전물질인 DNA의 구조를 응용한 바이오 융합 반도체 개발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원천기술과 응용기술을 연계하고 팹리스 창업을 지원할 정부 출연연구기관 협의체도 이달 중 구성키로 했다. 협의체에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디젤 배출가스 발암물질 주장에 석유업계 정면 반박 2015-02-04 11:30:46
이를 근거로 dpf(배기가스후처리장치)를 장착하고 초저유황 경유를 사용하는 유로4 엔진의 배기가스는 폐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who의 발암물질 지정 포괄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3년 전 who의 디젤 배출가스 발암물질 지정은 디젤 배출가스 기준이 강화되기 이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