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목성급 외계 행성 도는 지구 2.6배 슈퍼 달 후보 관측 2022-01-14 15:13:08
까다롭다. 연구팀은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찾아낸 외계 행성 중 항성에서 태양∼지구 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대형 가스행성 70개를 추려낸 뒤 이를 심층 분석해 케플러 1708 b가 달과 비슷한 신호를 가졌다는 결론을 내렸다. 연구팀은 이 신호가 외계 달이 아닌 인공물일 가능성은 1%에 불과한 것으로 밝혔다. 하지만 이를...
'행성 사냥꾼' 케플러 자료서 외계행성 후보 366개 발견 2021-11-27 09:46:23
매체 등에 따르면 이 대학 천문학 교수 에릭 페티구라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수집한 'K2 미션'자료를 새로운 알고리즘을 분석해 외계행성 후보 366개를 찾아냈다고 '천문학 저널'(The Astronomical Journal)에 발표했다. 이 중에는 토성 크기의 가스형 행성 ...
퇴역 케플러 망원경 관측 자료서 지구급 떠돌이 행성 4개 찾아내 2021-07-07 15:55:49
퇴역 케플러 망원경 관측 자료서 지구급 떠돌이 행성 4개 찾아내 아인슈타인 예언 '마이크로 중력렌즈 효과' 활용…전문 우주망원경 활약 기대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지난 2018년 외계행성 탐사 임무를 마치고 퇴역한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옛 관측 자료에서 별 없이 우주를 떠도는 지구 크기의...
[보이는 경제 세계사] 과학에도 경제원리가 작용할까 2021-05-24 09:01:15
코페르니쿠스가 살던 시대에는 망원경이 변변찮아서 육안으로 천체를 관찰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그의 지동설은 과학적으로 입증된 게 아니라 직관적인 철학에 가까웠고 허점도 많았다. 하지만 그가 지동설에 도달한 과정은 칸트가 훗날 ‘코페르니쿠스의 전환’이라고 명명했듯이 근대과학의 출발점이 되었다....
'죽음의 붉은행성' 향한 인류 도전사는 수천년간 진행형 2021-02-19 11:13:18
이름을 얻는다. 천문관측을 목적으로 처음 망원경을 사용해 화성을 관측한 사람은 1609년 갈릴레오 갈릴레이다. 같은 해 독일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가 화성의 궤도가 타원형일 것이라는 추측을 내놨다. ◇ 미소냉전과 함께 경쟁 치열해진 화성탐사 화성탐사가 본격화했을 때는 냉전이 한창이던 1960년대다. 당시...
용암 바다 출렁이고 돌로 된 비 내리는 지옥같은 행성 2020-11-04 14:19:30
K2-141b는 지난 2018년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천체면 통과 방식으로 태양보다 작은 K형 주계열성을 6.7시간 주기로 돌고 있는 것을 처음 확인했다. 맥길대학과 과학 매체 등에 따르면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K2-141b가 가진 극한 기후 조건을 처음으로 제시했으며, 이는 내년 말에 발사될 '제임스 웹...
공전주기 3.14일 행성 'π지구' 발견…생명체 서식 기대 못 해 2020-09-22 15:44:09
'π지구'라는 별칭을 붙였다. 항성 명칭 K2-315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2단계 임무(K2) 관측 자료에서 315번째로 찾아낸 행성계라는 의미를 담고있다. 연구팀은 이 행성계가 314번째로 발견되지 못한 점에 아쉬움을 나타내기도 했다. π 지구는 분석 결과, 지구 지름의 0.95배로 태양의 5분의 1밖에 안 되는 M형 ...
케플러 미확인 자료서 행성 50개 확인…인공지능 첫 성과 2020-08-26 11:19:18
케플러 미확인 자료서 행성 50개 확인…인공지능 첫 성과 가짜 신호 가려내는 기계학습 알고리즘 구축 "쉽고, 빠르게 확인"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우주에는 별만큼 많은 행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1990년대 초 첫 외계행성이 확인된 이후 지금까지 공식 확인된 것은 아직 4천여개에 불과하다. 퇴역한...
[책마을] 과학·예술 넘나들며 인류문명 밝힌 '빛' 2020-07-16 17:55:09
하이삼의 광학을 거쳐 케플러, 데카르트, 갈릴레오, 뉴턴에게 영향을 미쳤다. 갈릴레오는 망원경을 만들어 빛을 모았다. 케플러, 데카르트는 무지개를 측정했다. 하지만 현대 양자역학에서도 아직 빛에 대해 과학적으로 풀어내진 못했다. 아인슈타인을 비롯해 빛을 연구한 학자 중 누구도 빛의 탄생과 형태를 제대로 설명할...
"지구 같은 행성 우리 은하에만 최대 60억개 달할 수도" 2020-06-18 14:31:31
밟고있는 구니모토 미셸 연구원은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탐색한 별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능한 모든 외계행성을 찾아낸 뒤 자신이 만든 행성 탐색 알고리즘으로 찾아낼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분하고, 찾아낼 수 있는 것으로 분류된 행성을 실제 갖고 있던 행성 목록과 비교해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