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아무리 좋은 치매약도 BBB 못 뚫으면 무용지물[헬스케어 인사이드] 2022-01-28 13:46:05
트랜스페린 수용체(TfR)를 공략합니다. 최근에는 크기가 큰 약물이나 항체 등을 엑소좀으로 캡슐처럼 싸서 뇌에 보내겠다는 시도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엑소좀은 세포 유래 물질이기 때문에 뇌혈관장벽이 별 의심 없이 통과시켜 주기 때문입니다. 일종의 ‘트로이 목마 전략’이죠. 초음파로 뇌혈관장벽의...
“티움바이오, 2022년 말부터 모멘텀 본격화 기대” 2021-11-22 08:39:48
‘트랜스페린 융합’을 통해 반감기를 늘리는 플랫폼 기술도 보유 중이다. 회사는 3세대 혈우병 제품 ‘TU7710’에 대해 내달 말 혹은 내년 1월에 임상 1상을 신청할 예정이다. 허혜민 연구원은 “1상 결과는 내년 말이나 2023년 초에 나올 것”이라며 “임상 결과에 따라 기술이전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압타머사이언스, 내년까지 매출 확대 및 기술이전 기대” 2021-10-22 09:18:56
있다”고 했다. 뇌혈관장벽(BBB) 셔틀 플랫폼 기술로는 뉴라메디와 파킨슨병 치료제 공동 연구 및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김 연구원은 “뇌질환 치료제 개발 경쟁이 가속화되고 ‘트랜스페린 수용체(TfR)’ 매개 셔틀 플랫폼 수요가 늘고 있다”며 “회사의 BBB셔틀 플랫폼은 향후 파킨슨병을 비롯한 뇌질환 치료제...
"COPD, 철분 주사로 운동능력 개선" 2021-09-08 10:22:09
구석구석에 전달하는 트랜스페린 포화도(transferrin saturation)가 20% 이하로 낮았다. COPD 환자는 철분 결핍이 공통된 특징이고 이 때문에 운동능력이 떨어진다. 연구팀은 이들을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눈 뒤 한 그룹에만 4주 동안 주사용 철분 보충제 '페린젠트'(Ferinject)를 체중과 기본 헤모글로빈...
[Cover Story - part.7] 에이비엘바이오, 부작용 적고 반감기 2배 늘린 이중항체로 내년 미국서 임상 1상 2021-06-18 09:31:01
로슈와 드날리테라퓨틱스는 BBB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 트랜스페린 수용체(TfR)을 표적하는 물질을 수용체 매개 운반체(RMT)로 활용해 임상을 진행 중이다. 에이비엘바이오의 파킨슨병 파이프라인인 ‘ABL301’도 RMT를 부착한 이중항체 치료제다. RMT의 종류는 로슈, 드날리테라퓨틱스 등의 것과는 다르다. 에이비엘바이오...
[Cover Story - part.3] 티움바이오, 추가 기술이전 기대되는 면역항암제 기업 2021-01-21 09:16:01
긴 이유는 플랫폼 기술의 일종인 트랜스페린 융합 유전자 재조합기술을 적용했기 때문이다. 트랜스페린은 혈액에 많이 존재하는 단백질로, 이를 약물에 붙이는 기술이다. *애널 평가 허혜민 키움증권 애널리스트 TU2670의 경쟁 물질들이 높은 가격에 기술이전되고 있다. 티움바이오 역시 최소 2000억원 이상의 규모에...
[CEO가 만난 CEO]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 "이중항체 치료제는 지금부터가 르네상스" 2020-10-21 09:01:15
위해 사용한 물질의 차이인데요, 경쟁사는 트랜스페린이란 물질을 썼습니다. 체내의 수용체 발현 정도는 트랜스페린이 절대적으로 많습니다만 저희가 사용한 ifg1R은 뇌에 그 수용체가 집중돼 있습니다. 다른 장기로 가지 않고 뇌로 집중적으로 전달한다는 얘기입니다. 조 그래서 글로벌 빅파마들이 그랩바디B에 관심이 많...
[김우섭 기자의 바이오 탐구영역] (3) 티움바이오 "가격 확 낮춘 혈우병 치료제 임상 1상 돌입" 2020-08-27 17:32:15
기술의 일종인 트랜스페린 융합 유전자 재조합기술을 적용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우회인자 치료제(FVII)뿐 아니라 B형 혈우병 치료제(FIX), 새로운 기전의 A형 혈우병 치료제(FVIII) 등으로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트랜스페린은 혈액에 많이 존재하는 단백질입니다. 트랜스페린 수용체를 약물에 붙인다고...
암 전이성 결정하는 '세포 흡수' 당단백질 발견 2020-08-04 17:28:14
철분의 세포 흡수(endocytosis)에 혈장단백질인 트랜스페린과 TfR1 수용체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다. 물에 녹지 않는 철분은 소장에서 흡수된 뒤 트랜스페린에 용해된 상태로 혈장에 섞여 이동한다. 그러다가 간, 골수 등에 도달하면 해당 조직의 수용체와 결합해 작용 부위에 흡수된다. 그런데 이번 발견으로 CD4...
프랑스 연구진, 암 바이오마커 CD44 작용 기전 밝혀 2020-08-04 08:24:16
철 이온은 결합단백질인 트랜스페린이나 트랜스페린 수용체1(TfR1)를 통해서만 세포 안으로 유입된다고 알려져 있었다. 연구진은 “이번 결과가 많은 생물학자들에게 놀라움을 안겨줄 것”이라며 “전이될 가능성이 있는 세포에서 철 이온의 유입을 막는 데에 이번 연구 결과가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최지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