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오태길 HD현오뱅 글로벌사업본부장 "트럼프 4년, 바이오에너지전환 흐름은 대세" [인터뷰] 2025-02-03 15:51:20
오 본부장은 "트럼프 정부 등장과 함께 회사내 기나긴 내부회의를 거쳤고, 결론은 '큰 흐름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결론을 냈다"고 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기존의 판을 뒤바꿀 기회가 오고 있다고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오 본부장은 급격히 성장할 바이오에너지 사업에서 한국이 충분히 톱티어 기업이 될...
"항만에 데이터센터 지을 수 있도록"…과기정통·해수부 협의 2025-02-01 08:00:07
건립하기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구글이 2011년 핀란드의 항구도시인 하미나에 데이터센터를 짓는 등 전력과 냉각수 공급이 용이하고 낮은 인구 밀도로 주민 반대 우려가 높지 않은 항만과 배후단지가 데이터센터 증설 부지의 대안으로 꼽힌다. cs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프랑스, '美 LNG 구매 확대' EU에 "미리 양보하면 안돼" 2025-01-31 20:44:36
EU 회원국 가운데 일부는 집행위의 트럼프 정부의 압력에 밀려 미국산 LNG 구매를 확대하는 대처법에 회의적이다. 폴리티코에 따르면 독일과 핀란드는 미국산 LNG 추가 구매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본다. 이미 LNG 수입 인프라가 한계에 이르렀고 미국산 LNG를 더 많이 수입하는 건 물류나 비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덴마크, 그린란드 지키려 '영끌'…발트해 순찰선 건조계획 취소 2025-01-30 02:29:30
장관은 "스웨덴과 핀란드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으로 발트해에서 안보 임무를 수행하려는 국가가 더 많아졌다"며 "발트해가 여전히 중요한 지역이지만 인접 국가를 비롯한 전체적 맥락에서 역량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덴마크 정부가 북극 안보 강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예고한 만큼,...
가성비·빠른 납기에 반했다…K9 써본 에스토니아, 다른 무기도 '관심' 2025-01-28 10:41:15
등 3가지 주요 측면에서 매우 우수하다"며 "폴란드와 핀란드 등 주변국도 K9을 도입해 상호 운용성과 유지·보수에도 이점이 있다"고 평가했다. 에스토니아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 중 하나로,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어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의 다음 타깃이 될 수 있...
발트해 해저케이블 또 손상…나토, 용의선박 나포해 수사 착수 2025-01-27 09:20:50
가능성 크다" 수개월간 핀란드·독일·리투아니아 등 파괴공작 의심사례 빈발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발트해에서 다시 해저 케이블이 훼손돼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가 사보타주(파괴공작)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수사에 들어갔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26일(현지시간) 라트비아와 스웨덴 사이 발트해...
발트해 해저케이블 또 손상…"외부 영향인 듯" 2025-01-27 00:20:25
함정을 현장으로 보냈으며 정부 회의도 긴급 소집됐다고 LSM은 전했다. 라트비아 당국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와도 이 사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LSM은 덧붙였다. 지난 수개월간 발트해에서 해저케이블이 손상되는 일이 연달아 발생했다. 작년 12월 유조선이 핀란드와 에스토니아 사이 발트해 해저케이블을 훼손했다....
"바이오GPU 3000개 탑재한 슈퍼컴 구축" 2025-01-23 17:27:26
명), 핀란드의 핀젠(50만 명), 미국의 올오브어스(100만 명). 국가 차원에서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프로젝트의 수행기관이다. 미국에서는 17개 의료기관이 모여 1000만 명 규모의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트루베타 게놈 프로젝트’를 올초 시작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애저 기반 멀티모달 인공지능(AI) 모델로 수십억...
[트럼프 취임] "통신장비 中 배제 거세질 듯…경쟁력 없으면 종속우려" 2025-01-21 10:36:35
유지되고 있다. 점유율 2위는 스웨덴의 에릭슨(24.3%), 3위는 핀란드 노키아(19.5%), 4위는 중국 ZTE(13.9%)로 1위와 4위를 합한 중국 업체 점유율은 절반에 육박했다. 국내 업체 삼성전자[005930]는 점유율 6.1%로 5위였다. 보고서는 "중국의 영향을 배제하기 매우 어려운 생태계 구조로 인해 미·중 관계가 호전되지...
'주지사' 조롱당한 트뤼도 "트럼프 취임 축하"…젤렌스키도 "협력 기대" [트럼프 2기 개막] 2025-01-21 05:21:03
행정부 당시 구축한 견고한 기반을 바탕으로 노르웨이-미국 관계를 계속 강화하기를 바란다"고 말했고, 울프 크리스테르손 스웨덴 총리도 "스웨덴은 미국과의 긴밀한 협력을 계속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알렉산데르 스투브 핀란드 대통령도 "미국은 우리의 주요 전략적 파트너이자 동맹국"이라며 "트럼프 대통령 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