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현대모비스, 글로벌 車부품 6위 탈환 2022-06-28 17:08:11
계단 순위가 올랐다. 와이어링 하니스(전선)를 생산하는 유라코퍼레이션은 같은 기간 78위에서 80위로 떨어졌고, 전기차 배터리를 생산하는 SK온은 68위로 신규 진입했다. 글로벌 1~5위 부품사는 독일 보쉬(491억달러), 일본 덴소(436억달러), 독일 ZF(393억달러), 캐나다 마그나(362억달러), 일본 아이신(335억달러)이다....
누리호 재발사 언제?…결합 해체 필요시 가을로 연기 가능성 2022-06-16 18:02:30
외부의 전선류(하니스)나 신호처리박스의 문제로 밝혀질 경우엔 보완 작업이 신속하게 마무리될 수도 있다. 16일 고정환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온라인 브리핑에서 "탱크 연결부에 있는 신호 박스와 전기선 문제로 확인되면 빠르게 보완작업을 할 수 있다"면서도 "만약에 레벨센서를 교체 해야 하면 가장...
"산화제탱크-연료탱크 사이 점검창 개봉…누리호 점검 시작" 2022-06-16 16:54:58
하니스), 산화제탱크레벨(수위)센서 세 부분으로 이뤄진다”며 현재까지 상황을 설명했다. 항우연은 접근이 쉬운 부분부터 점검을 시작했다. 산화제탱크와 연료탱크 사이 공간인 ‘인터탱크’에는 사람이 접근해 점검할 수 있는 창이 있다. 여기에는 산화제탱크와 연료탱크에서 이어져 나오는 하니스와 신호처리박스가...
누리호 발사 또 연기…"센서 신호이상 감지" 2022-06-15 19:27:41
1단 산화제 탱크 레벨 센서와 연결 케이블(하니스), 센서 신호 변환 박스 등을 종합 점검할 예정이다. 이들 장치에 문제가 생기면 영하 183도에 달하는 극저온 산화제(액체산소) 계측에 오류가 생겨 큰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센서 자체가 불량이라면 산화제 탱크를 분해해 점검해야 해 이달 발사 재개는 불가능하다. 고...
[일문일답] 항우연 "최대한 빨리 해결…일정 확정은 어려워" 2022-06-15 19:24:52
센서에 하니스(harness·케이블)나 센서값을 변환해 주는 터미널 박스 등이 연결돼 있는데 그중에 (이상 발생 지점이) 어느 부위인지에 따라서 후속 일정이 많이 바뀔 것 같다. 현재 (누리호를 발사대에 기립시켜 놓은 상태에서는) 그 부위에 접근이 어렵기 때문에 (조립동으로) 가지고 와서 문제가 있는 부위를 측정해야...
루시드모터스 디스플레이 결함 리콜 조치..."올해만 두 번째" 2022-05-26 10:57:46
결함을 발견했다"면서 "디스플레이와 연결된 와이어링 하니스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문제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이어서 "경고등, 기어 표시, 속도계 등 중요한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전혀 뜨지 않았다"면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루시드 에어` 전기차 1,100대를 전부 리콜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루시드 에어`는 루시...
상하이 봉쇄 여파…테슬라 공장 또 `스톱` 위기 2022-05-10 18:28:34
묶음인 와이어 하니스 공급업체인 앱티브가 직원의 코로나19 감염으로 생산 차질을 빚으면서 이 부품을 테슬라 상하이 공장과 제너럴모터스(GM) 등에 공급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테슬라는 상하이 봉쇄 이전 수준의 생산량을 회복하기 위해 오는 16일부터 상하이 공장 생산량을 하루 2천600대로 늘리려...
테슬라 상하이 공장, 재개 3주만에 생산 차질…부품공급 문제 2022-05-10 17:09:47
블룸버그는 전했다. 특히 전선 묶음인 와이어 하니스 공급업체인 앱티브가 직원의 코로나19 감염으로 생산 차질을 빚으면서 이 부품을 테슬라 상하이 공장과 제너럴모터스(GM) 등에 공급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테슬라는 상하이 봉쇄 이전 수준의 생산량을 회복하기 위해 오는 16일부터 상하이 공장 생산...
"작년에 계약한 차 타지도 못했는데 구형됐다"…분노 폭발 2022-05-02 09:43:12
데다 중국 상하이 봉쇄로 인해 ‘와이어링 하니스(전선 뭉치)’ 수급도 원활하지 못해서다. 현대차·기아는 베트남·캄보디아(와이어링 하니스), 캐나다(에어백 컨트롤 유닛) 등으로 부품 수급지역을 넓혀 리스크 관리에 나섰다. 납기 기간이 긴 주요 차종은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카다. 수요가 많은 데다 하이브리드카용 엔...
1분기 승용차 수출 0.6%↓…공급망·러 전쟁에 7분기만에 감소 2022-04-28 10:26:17
차량용 반도체와 와이어링 하니스 등 자동차 부품 수급 차질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수출 둔화의 원인으로 꼽힌다. 올해 1분기 러시아로의 승용차 수출액은 3억5천500만달러로 1년 전보다 37.7% 감소했다. 1분기 기준 러시아 수출 비중은 전체의 3.3%이다. 현재 러시아로의 자동차 수출이 막힌 상황은 아니지만, 루블화 환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