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LG화학-연세대,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인재 육성에 맞손 2022-10-07 08:28:38
연구를 하기로 했다. 연구 분야는 ▲ 장수명 실리콘계 음극재 ▲ 고안정 황화물계 전해질 ▲ 친환경 전극용 바인더 등 차세대 배터리에 쓰일 기술이다. 아울러 산학협력센터에서는 인력 파견 및 산학 장학생 제도를 통해 인재를 육성한다. LG화학은 연구에 참여한 우수 인재가 입사 지원 시 우대 혜택을 줄 방침이다. 명재...
UNIST, 초박막 나노 반도체 소자 합성기술 개발 2022-09-06 17:07:14
‘황화 몰리브데늄 화합물’이 2차원 금속인 ‘텔루륨화 백금 화합물’의 가장자리 표면에 화학적으로 합성되도록 한 것이다. 권 교수는 “이 기술을 이용해 2인치 상용 실리콘 웨이퍼에 2차원 금속으로 패턴을 만들고, 이를 주형(template) 삼아 2차원 반도체를 화학적으로 조립했다”며 “우수한 성능의 차세대 반도체를...
뚝심의 R&D 통했다…배터리 특허 2만4066건으로 압도적 세계 1위 2022-08-10 15:13:05
2021년 세계 최초로 양산했다. 또 충전 속도가 대폭 개선된 실리콘 음극재 배터리를 2019년 내놓은 바 있다. 내년 말까지 중대형 원통형 신규 폼팩터(모양)인 ‘4680 배터리(지름 46㎜, 길이 80㎜)’를 양산할 계획이다. 아울러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내년 하반기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생산하기로...
한국 연구진, '반도체 기능저하 막는 기술' 세계최초 개발 2022-06-02 11:44:45
만들어야 하는데, 미세소자 재료인 실리콘을 나노공정으로 계속 얇게 깎다 보면 단채널 효과(누설전류 및 발열 문제로 인한 트랜지스터 채널 손상)나 전하 산란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차세대 고집적 반도체는 실리콘을 2차원 반도체 소재인 이황화몰리브덴(MoS2) 등으로 바꿔 전류누설, 발열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칩의...
UNIST팀, 반도체 2차원 절연체소재 세계 첫 합성…네이처 게재 2022-06-02 00:00:00
소재인 실리콘을 이황화몰리브덴(MOS₂)과 같은 2차원 소재로 대체하는 기술이 중요해졌다. 이를 통해 전류누설과 발열 등의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칩의 집적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다만, 차세대 고집적 반도체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웨이퍼(반도체 기판)와 이황화몰리브덴을 물리적으로 분리해주는 2차원 절연체(열이나...
"삼성SDI, LG엔솔과 비교해 과도한 저평가"-키움 2022-01-21 07:56:23
20% 낮출 수 있게 됐다”며 “하이니켈 NCA 양극재와 실리콘 음극재를 선제적으로 채용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현재 LG에너지솔루션이나 CATL 대비 열위에 있는 생산능력에 대해서도 김 연구원은 “2024년까지 중대형 전지 생산능력을 연평균 30~40% 증설할 계획이며, 매출액도 동일한 속도로 성장할 것”이라며 “2025...
'양자물질 성질 조절' 차세대 광소자기술 세계 최초 구현 2021-12-09 01:00:00
향후 높은 활용도가 기대된다. 특히 기존 실리콘 기반의 반도체 칩을 빛을 이용한 광전자소자로 대체할 수 있다. 이 경우 열 손실을 크게 줄이는 등 에너지 소모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박제근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플로켓 공학 기술을 2차원 양자물질에서 구현한 첫 사례"라며 "빠르게 성장하는 플로켓...
52주 신고가 경신..."차세대 전고체 상용화 기술 확보" 2021-10-25 10:09:24
전고체전지에 들어가는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저렴하게 대량 생산하는 기술을 국내 기업으로 기술이전 했다고 25일 밝혔다. 기술이전 대상 기업은 국내 전기·전자 재료분야 및 리튬이차전지용 실리콘 음극재 전문업체인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다. 이 기업은 전기연으로부터 이전받은 기술을 이용해 내년까지 제2공장...
손상 스스로 치유하는 2차원 반도체 2021-09-26 18:04:15
이런 연구 성과를 냈다고 26일 발표했다. 이황화 몰리브덴 등 2차원 반도체 소재는 유연성과 투명성이 좋아 실리콘 등을 넘어서는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원자층 수준으로 극히 얇은 두께 때문에 제작 공정에서 손상되기 쉽다. 또 전극과 반도체 계면의 불확실성 때문에 품질이 크게 떨어질 수도 있다...
[사이테크 플러스] "차세대 '나트륨 이온전지' 대용량 음극소재 개발…상용화 기대" 2021-04-18 12:00:02
이황화몰리브덴(MoS₂)을 활용해 리튬이온전지의 흑연 음극 소재보다 1.5배 많은 전기를 저장하고 충·방전을 200회 반복해도 성능이 감소하지 않는 안정적인 음극 소재를 개발했다. 이황화몰리브덴 나노입자를 만든 뒤 저가의 친환경 재료인 실리콘 오일을 섞어 열처리하는 단순한 공정으로 세라믹 나노코팅층을 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