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작년 한국이 수입한 日식품, 8천600억원…전년보다 20% 늘어 2025-02-04 10:56:10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 해양 방류 논란에도 한국의 일본산 수입은 2023년에도 전년보다 14.1% 증가했다. 일본의 지난해 농림수산물과 식품 수출액은 전년보다 3.7% 증가한 1조5천73억엔(약 14조1천600억원)으로 12년 연속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농림수산성은 해외에서 일본...
후쿠시마원전 현장인력 40% "방사선 불안"…1년전比 2.8배↑ 2025-02-03 16:45:08
=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일하는 현장 인력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40% 이상은 현장 작업 때 방사선 때문에 불안하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아사히신문이 3일 보도했다. 도쿄전력이 작년 9∼10월 후쿠시마 제1원전 현장 인력 5천498명을 상대로 노동환경에 대한 연례 조사를 벌인 결과 방사선으로 인한...
日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설비 부식 잇따라 2025-01-25 18:55:05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해양 방류 설비에서 부식이 잇따라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25일 교도통신 보도에 따르면 바닷물을 희석 설비에 보내는 배관과 연결된 공기 빼기용 배관, 해수 유량을 측정하는 배관에서 새롭게 부식이 확인됐다. 배관은 스테인리스제다. 부식은 이음매 12곳에서 발견됐으며, 16㎜...
해양 방류 1년여 만에…日후쿠시마 오염수 설비서 부식 잇따라 2025-01-25 17:07:18
해양 방류 1년여 만에…日후쿠시마 오염수 설비서 부식 잇따라 배관 이음매 등서 확인…도쿄전력 "보수·감시 강화"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 해양 방류 설비에서 부식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고 교도통신이 25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日외무상 또 '독도는 일본땅' 망언…국회외교연설서 12년째 주장(종합) 2025-01-24 15:46:25
또 이와야 외무상은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 해양 방류에 따른 중국 측 대응 조치인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를 조속히 철회해야 한다고도 촉구했다. (취재보조: 김지수 통신원) psh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中 "후쿠시마오염수 첫검사 이상無"…수산물 수입재개 수순 관측(종합) 2025-01-23 16:46:50
中 "후쿠시마오염수 첫검사 이상無"…수산물 수입재개 수순 관측(종합) 샘플채취 첫 테스트결과 공개…中외교부 "첫 조사 의의는 제한적" 선 그어 (베이징=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 중국 원자력당국은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은 '처리수')가 방류된 해양을 대상으로 한 첫 번째 테스트...
中 "후쿠시마 오염수 검사 이상無…'수산물 수입재개' 수순 관측 2025-01-23 15:33:06
후쿠시마 오염수 검사 이상無…'수산물 수입재개' 수순 관측 샘플채취 첫 테스트결과 공개…中원자력기구 "특정 시간·지점 수준일뿐…계속 모니터링" (베이징=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 중국 원자력당국은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은 '처리수')가 방류된 해양을 대상으로 한 첫...
올해 상반기 새울3호기 운영허가 심의…체코 수출원전 심사 착수 2025-01-21 12:00:08
올해 상반기 착수한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세밀하게 감시하기 위해 한국으로 유입되는 구로시오 해류가 지나는 대만과 정보공유체계를 확립한다. 지난해 삼성전자[005930] 기흥사업장에서 발생한 방사선피폭사건을 계기로 신고기관이 규제정보를 매년 보고하고, 방사선안전관리자 정기교육 의무도 부과한다. 이외에도...
손잡는 한수원·웨스팅하우스…'유럽 함께·중동 따로' 합의 관측 2025-01-18 07:03:01
막겠다는 취지다. 동일본 대지진 당시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유럽에서는 한때 원전 수요가 크게 위축됐고, 독일을 중심으로 탈원전 흐름도 가시화했다. 하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안보 우려 고조, 인공지능(AI) 혁명이 촉발한 전력 수요 급증 등의 영향으로 유럽을 중심으로 원전 건설 수요가 최근...
농축 우라늄 가격, 역대 최고 [원자재 인사이드] 2025-01-17 08:52:51
우라늄 생산국이었습니다. 다만 2010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서방의 원자력 산업 침체로 광산들이 잇따라 구조조정이 됐고, 그 사이에 카자흐스탄이 세계 1위 자리를 꿰찼죠. 현재는 세계 우라늄 생산량의 40%를 카자흐스탄이, 캐나다는 10%대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데요, 캐나다의 최대 우라늄 기업인 카메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