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美남북전쟁 참전 흑인여성운동가, 160년만에 장군계급 추서 2024-11-12 15:53:15
농장에서 탈출해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로 갔다. 그는 노예 해방을 목표로 조직된 비밀결사대 '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Underground Railroad)를 설립, 미 남부와 북부를 오가며 흑인 노예들의 탈출을 도왔다. 또한 남북전쟁에도 북군으로 참전해 간호사와 스파이 등으로 활동했으며 전시 군사행동을 지휘한...
[트럼프 재집권] 대선 다음날 美흑인에 노예취급 문자 살포…FBI 조사 2024-11-08 16:09:48
美흑인에 노예취급 문자 살포…FBI 조사 누구 소행인지 불분명…트럼프 캠프는 "우리와 무관" 일축 (서울=연합뉴스) 백나리 기자 = 미국 대선 직후 미국 각지의 흑인들에게 과거의 노예 농장으로 가 일해야 한다는 휴대전화 문자가 무차별적으로 뿌려져 당국이 조사 중이다. 혐오와 차별을 조장하는 언사를 꺼리지 않던...
[美대선] '선거인단' 통한 독특한 간선제…폐지시도 700여번에도 존속 2024-11-05 16:43:00
현행 제도가 18세기와 19세기에 흑인 노예에게 투표권은 주지 않으면서 인구 계산에는 반영하는 수법으로 의석수와 선거인단 수를 늘리려는 인종차별적 발상에 뿌리를 둔 것이라는 역사적 비판도 나온다. 법제사와 헌법학 전문가인 시카고대의 앨리슨 러크로이 교수는 미국 공영방송 NPR에 선거인단 제도를 둘러싼 논란을...
그래미상만 28개…'팝 전설' 퀸시 존스 별세 2024-11-05 00:05:28
시트콤 ‘더 프레시 프린스 오브 벨 에어’는 그의 대표 흥행작이다. 이 작품은 래퍼로 활동하던 윌 스미스의 배우 데뷔작이다. 존스는 80차례에 걸쳐 그래미상 후보에 이름을 올려 28차례 수상했다. 흑인 노예와 그 후손의 삶을 그린 ‘뿌리’로 에미상을 받았다. 그는 세 번 결혼해 자녀 7명을 뒀다. 배우 라시다 존스도...
[美대선 D-1] 해리스, 모교 '흑인 하버드' 하워드大서 개표 지켜본다 2024-11-04 15:09:38
이름은 '기독교 장군'으로 불리며 해방 노예를 위한 고등교육을 장려한 북부 출신 올리버 하워드에서 따온 것이다. 졸업생 중에는 작가이자 노벨상 수상자인 토니 모리슨과 해리스 부통령이 하워드대학 진학의 계기가 된 인물로 소개한 최초의 흑인 대법관 서굿 마셜 등이 있다. kp@yna.co.kr (끝) <저작권자(c)...
[美대선 D-7] ④[르포]경합주 조지아서 본 문화전쟁…복고 vs 현상유지 2024-10-27 06:03:04
해리스 후보에 뜨뜨미지근했던 민주당 지지 성향의 흑인 남성 등이 막판 결집할 가능성을 민주당 측에서는 기대하고 있다. 케빈 올라사노예 조지아주 민주당 사무국장은 대선을 2주 남긴 지난 22일 "선거에서 14일은 한평생과도 같다"며 가가호호 방문 등 밑바닥 표심 훑기에 나설 의지를 피력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
"민주당은 우리를 신경 쓰지 않아"…'샤이 트럼프' 흑인男 늘어난다 2024-10-21 17:39:00
(흑인) 교수와 청소부가 같은 곳에 살았겠지만 이제는 사회적 계층과 네트워크가 분리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해리스 부통령이 ‘진짜 우리 같은 흑인’은 아니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 화이트 씨(41)는 “솔직히 말해 (인도인 어머니를 둔) 해리스 부통령은 진짜 흑인이 아니고 (하와이 출신인) 오바마 전...
'트럼프 지지' 흑인들 뿔났다…"우리 의견도 존중 좀" 2024-10-21 15:36:42
(흑인) 교수와 청소부가 같은 곳에 살았겠지만 이제는 사회적 계층과 네트워크가 분리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인종적으로도 해리스를 '진짜 우리같은 흑인'은 아니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 화이트 씨(41)는 "솔직히 말해서 (인도인 어머니를 둔) 해리스는 진짜 흑인은 아니고, (하와이 출신인) 버락...
[르포] 흑백으로 갈린 美대선 경합주 조지아 표심…사전투표 '후끈' 2024-10-21 10:55:37
얻게 됐다. 조지아주 최대도시 애틀랜타로 향하면서 기자는 새삼스럽게 흑인 민권 운동의 상징인 마틴 루터 킹 목사를 떠올렸다. 킹 목사가 1963년 8월 워싱턴 DC에서 열린 노예해방 100주년 기념 평화대행진에서 한 '아이 해브 어 드림'(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I have a dream) 연설이 생각나서다. 그 연설...
미국 조지아주 페리 선착장 무너져…"최소 7명 사망" 2024-10-20 10:34:29
당시 선착장 통로에는 섬에서 열리는 흑인 노예 후손 커뮤니티의 가을 축제에 참여하기 위해 20명 이상이 모여있었다. 통로가 무너지자 일부 사람들은 물에 빠지기도 했다. 해안경비대는 부상자를 병원으로 이송하고 실종자를 찾기 위해 헬리콥터와 음파 탐지기 등을 동원해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고 원인은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