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힉스 입자 발견한 세계 최대 강입자 충돌기, 3년 만에 다시 가동 2022-04-22 16:23:53
이른바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 입자의 존재를 증명해 주목받았다. 힉스 입자는 우주 탄생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가설 가운데 가장 유력한 '표준 모형'(Standard Model)에서 없어서는 안 될 소립자로, 우주가 막 탄생했을 때 몇몇 소립자들에 질량을 부여한 존재로 알려져 있다. CERN은 LHC가 최대...
[책마을] 과학의 한계, 그 벽을 깨는 질문들 2021-11-11 18:04:05
부피와 구조가 없는 전자와 같은 ‘페르미 입자’가 모여서 큰 복합구조물을 만들 수 있는지, 크기가 거의 없는 쿼크와 렙톤을 무수히 모으면 물질을 이룰 수 있는지와 같은 알듯 모를듯한 의문들은 정답지를 다시 봐도 머릿속에 명쾌하게 정리되지 않는다. 인류가 도달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길이라는 원자핵 1만 분의 1 ...
"심슨 시리즈 정주행하고 분석하면 800만 원"…이색 구인공고 눈길 2021-10-14 11:22:50
23편의 시리즈로 제작돼 인기를 끌었던 애니메이션으로, 트럼프 대통령 당선, 힉스입자의 발견, 에볼라 바이러스 사태 등 여러 사건을 예견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2000년 방영된 `심슨`의 11번째 시즌 17화 `미래로 간 바트(Bart to the Future)`에서 심슨의 캐릭터 `바트`는 2030년 미래로 떠난다. 바트가 도착한 2030...
[책마을] '우주는 영원하다' 장담할 수 있는가 2021-10-07 18:30:14
‘힉스 입자’가 무너지면 찰나에 우주가 소멸한다는 설명이다. 얼핏 허무맹랑하게 들리지만 지금까지 연구된 물리학·천문우주학 이론을 근거로 쌓아올린 시나리오들이다. 저자는 “우주 종말 이론이 하나의 학문으로 인정받진 못했지만, 물리학 이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며 “우리의 미래에 관한 통찰도...
노벨 물리학상에 '기후변화·복잡계' 연구 3인…역대 수상자는 2021-10-05 20:15:08
▲ 2013년: 피터 힉스(영국)·프랑수아 앙글레르(벨기에) = 힉스 입자 존재 예견 ▲ 2012년: 세르주 아로슈(프랑스)·데이비드 J. 와인랜드(미국) = 양자 입자 파괴 없이 측정 가능한 방법 발견 ▲ 2011년: 사울 펄무터(미국)·브라이언 P. 슈미트(미국·호주)·애덤 G. 리스(미국) = 초신성 연구로 우주의 '가속...
'표준모형' 예측치 벗어난 기본입자 '뮤온' 물리법칙 흔드나 2021-04-08 13:44:47
이번 연구 결과는 과학적 발견으로 확인된다면 '신의 입자'로 알려진 힉스 발견 이후 지난 10년 사이 최대의 발견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달에 발표된 유럽입자물리학연구소(CERN)의 강입자충돌기(LHC) 실험 결과와도 맥을 같이 하는 것이다. CERN 연구진은 입자 가속·충돌기로 쿼크 중 두...
2020년 노벨물리학상 '블랙홀 과학자' 3명…역대 수상자는 2020-10-06 19:24:00
▲ 2013년: 피터 힉스(영국)·프랑수아 앙글레르(벨기에) = 힉스 입자 존재 예견 ▲ 2012년: 세르주 아로슈(프랑스)·데이비드 J. 와인랜드(미국) = 양자 입자 파괴 없이 측정 가능한 방법 발견 ▲ 2011년: 사울 펄무터(미국)·브라이언 P. 슈미트(미국·호주)·애덤 G. 리스(미국) = 초신성 연구로 우주의 '가속...
한양대 박물관, ‘인문학, 우주와 만나다’온라인 교육 진행 2020-09-09 20:42:00
과학자이자 예술가인 마이클 호치(Hoch) 박사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온라인 투어를 진행한다. 또 김태정 한양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힉스입자를 발견한 대형강입자가속기(LHC) 입자충돌실험과 입자물리학을 보다 알기 쉽게 설명할 예정이다. 또 조일동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음악으로 우주를 가득...
진공상태에서 소리는 전달되지 않는데 빛은 전파되는 이유는…진공의 전자기적 성질 주기적 변화 통해 빛이 이동 2020-06-29 09:00:19
0인 힉스입자는 이미지에서 직접 찾을 수는 없지만, 전하를 가진 다른 입자로 붕괴하는 경로를 역으로 추적하여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사라질 운명을 가지고 태어났기 때문이다. 힉스입자의 질량은 양성자 질량의 130배가 넘는 것으로 밝혀졌다. 양성자가 130배나 무거운 힉스입자를 자신 속에 숨기는 것은 불가능하다....
미국·스위스 연구진 공동 수상한 노벨물리학상 역대 수상자는 2019-10-08 19:31:51
▲ 2013년: 피터 힉스(영국)·프랑수아 앙글레르(벨기에) = 힉스 입자 존재 예견 ▲ 2012년: 세르주 아로슈(프랑스)·데이비드 J. 와인랜드(미국) = 양자 입자 파괴 없이 측정 가능한 방법 발견 ▲ 2011년: 사울 펄무터(미국)·브라이언 P. 슈미트(미국·호주)·애덤 G. 리스(미국) = 초신성 연구로 우주의 '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