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우즈베크서 중앙아시아 최대 규모 풍력발전단지 가동 개시 2024-12-16 14:01:03
정부와 마스다르는 우즈베크 동부 밍불락 지역에 1GW 용량의 풍력발전단지를 개발하는 내용의 계약도 체결했다. 우즈베키스탄에선 1991년 옛 소련 해체로 독립한 직후부터 25년간 철권통치해 온 초대 대통령 이슬람 카리모프가 2016년 사망한 후 집권한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이 경제를 개방하는 등 개혁 정책을 실시하고 있...
美 최대 전력사 손잡은 블룸에너지, 목표주가 줄줄이 상향 2024-12-03 17:55:49
유틸리티 기업인 아메리칸일렉트릭파워(AEP)에 최대 1GW(기가와트) 규모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AI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다. 회사 측은 “AEP가 100㎿(메가와트) 규모 연료전지를 주문했으며, 내년에 추가 주문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투자...
美·中 기술패권 '최후의 전장'은 우주 태양광과 핵융합 2024-11-29 17:19:57
전망했다. 중국은 2050년까지 우주 태양광을 통해 1GW 발전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SCSP는 “우주 태양광은 이제 과학적 도전이 아니라 공학적 도전으로 넘어왔다”며 “최초로 상용화하는 국가가 누구도 못 가본 새로운 문을 열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2030년까지 50㎾, 2050년까지 35GW 발전에...
RWE 아태본부 대표 "한국, 공급망·풍속 좋아…풍력단지 늘려야" 2024-11-27 14:20:32
단지를 개발했다. 대형 원전(1GW) 5개에 달하는 규모다. 아시아에서도 적극적으로 해상풍력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오르펠트 대표는 26일부터 사흘간 열린 '아시아태평양 풍력 에너지 서밋'에 참석했다. 한국에서 협력사를 찾고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서다. RWE는 앞서 2021년 한국 지사를 설립한 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전력 10GW·용수 133만t 공급 '속도' 2024-11-27 10:00:01
위해 동서발전, 남부발전, 서부발전이 각각 1GW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를 건설해 약 3GW의 전력을 공급한다. 이어 2단계로 호남 지역에서 용인 클러스터로 연결되는 장거리 송전선로를 건설해 전력 공수에 나선다. 3단계로 2044년 이후 추가로 필요한 전력량에 대해서는 향후 보강되고 변화하는 전력 계통망 및...
"740조 亞太 풍력시장 선점"…韓에 '러브콜' 2024-11-26 17:31:57
발전단가(1GW 기준)를 매년 1000만달러씩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배후 산업도 탄탄하다. 자동차산업이 발달한 덕에 ‘베어링’을 양산할 수 있다. 베어링은 풍력발전기 날개를 회전시키는 부품이다. 원재료인 철강재와 이를 주조·단조하는 기업도 몰려 있다. 닐스 스틴버그 지멘스가메사리뉴어블에너지 해상풍력...
인진, 인도네시아에서 상용스케일 파력발전소 설치 확정 2024-11-18 16:13:04
프로젝트는 유럽연합의 해양에너지 목표인 2030년1GW, 2050년 40GW 설치를 달성하기 위해 자사의 파력발전이 기여할 중요한 사례가 될 것이며, PLN 인도네시아파워가 인도네시아에 파력발전을 보급하는 데에도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경닷컴·서울경제진흥원 공동기획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SK이노, 전남 해상풍력단지 정부·지자체 협력 강화…내년 3월 가동 2024-11-18 14:50:00
추진을 통해 국내 관련 산업 활성화, 지역경제 기여, 국가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달성을 위해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SK이노베이션 E&S는 현재 약 5GW 규모의 재생에너지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는 국내 최대 민간 재생에너지 기업으로, 앞으로 매년 약 1GW씩 추가해 2025년에는 7GW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전환 크레디트, 에너지 시장 변화 이끌까 2024-11-05 10:00:33
일찍 1GW 전기를 생산하는 석탄화력발전소를 폐쇄하고 새로운 재생에너지 발전소로 대체하려면 GW당 약 3억 1000만 달러(약 4284억 원)의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계산했다. 이 중 7000만 달러(약 967억 원)는 전환 크레디트로 조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전환 크레디트 가격은 이산화탄소환산톤당 11~12달러로 책정한...
반도체 보조금을 태양광에?…美 칩스법 확대에 한화큐셀 등 수혜 2024-10-31 15:41:13
저가 경쟁을 피해 미국 시장에 진출한 한화큐셀은 반사이익을 얻게 됐다. 1GW(기가와트)당 통상 잉곳 공장이 2200~2500억원, 웨이퍼 공장이 1800억~2200억원 가량의 금액이 사용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화큐셀이 짓고있는 3.3GW의 잉곳, 웨이퍼 공장은 총 1조3200억~1조5500억원 정도의 비용이 들 것으로 추정된다. 이중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