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2:00 2017-06-07 12:00:01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각료이사회가 7일(현지시간)부터 이틀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다. WTO 통상장관회의에는 미국, 중국 등 32개국, OECD 각료이사회에는 OECD 35개 회원국과 초청국 3개국, 핵심 협력국 5개국이 참석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이인호 통상차관보가 대표로 참석한다. 전문보기 : http://yna.kr/llRe5KJDAgZ (끝)...
"ODA 원조 분절화 폐해 방치안돼…질적 개선하라" 시민단체 성명 2017-06-05 11:22:09
이행사업 선정기준은 부처마다 제각각이었으며, 협력국의 공식요청이 없거나 4대 구상의 목적과 관련성이 떨어지는 사업, 평가지표가 제대로 설정되지 않은 사업을 이행사업으로 선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KoFID은 "새 정부는 국정농단 사건에서 확인된 박근혜 정권의 부당한 제도들과 그동안 켜켜이 쌓아 온 ODA 정책들의 ...
국정위 "원조사업에 '국정농단' 깊이 개입…근본적 개혁해야"(종합) 2017-06-01 17:30:19
코이카 지역사업이사, 정회진 코이카 기획조정실장과 함께 무상원조 정책을 담당하는 외교부 개발협력국의 정진규 국장 등이 참석했다. 국정기획위는 코이카에 이어 공공외교 전문기관인 한국국제교류재단(KF)의 이시형 이사장 등으로부터 업무보고를 받았다. 이수훈 위원장은 "새 정부가 중시하는 부분은 공공외교 강화...
국정기획위 "ODA 심각한 문제" 질타 2017-06-01 16:17:46
최성호 코이카 지역사업이사, 정회진 코이카 기획조정실장과 함께 무상원조 정책을 담당하는 외교부 개발협력국의 정진규 국장 등이 참석했다. 국정기획위 측에서는 이수훈 위원장 이외에 외교안보분과 김준형 위원, 김용현 위원, 사회분과 오태규 위원 등이 자리했다.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국정기획위 "공적개발원조 심각한 문제…근본적 개혁해야" 2017-06-01 15:57:14
최성호 코이카 지역사업이사, 정회진 코이카 기획조정실장과 함께 무상원조 정책을 담당하는 외교부 개발협력국의 정진규 국장 등이 참석했다. 국정기획위 측에서는 이수훈 위원장 이외에 외교안보분과 김준형 위원, 김용현 위원, 사회분과 오태규 위원 등이 자리했다. kimhyo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분산된 대외원조 추진체계 일원화해야" 2017-04-13 19:07:50
거버넌스 포럼'에서 "ODA 추진 체계가 기획재정부의 유상원조와 외교부의 무상원조를 중심으로 이원화해 있다"며 "양자의 추진체계가 달라 원조의 분절성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고 말했다. 조 교수는 ODA 추진 체계의 일원화가 필요하다며 "국무조정실-외교부-기획재정부 등 3개 기관을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거...
국제금융기구 '코리안 파워'…작년 21명 진출 '역대 최다' 2017-03-24 19:18:53
최대 규모다.2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제금융기구에 선발된 한국인 직원은 idb 7명, wbg 6명,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6명,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2명이다. 기재부가 작년 11월 개최한 ‘제8회 국제금융기구 채용설명회’를 통해 선발된 인원들이다. 기재부 국제금융협력국 관계자는 “총 8회...
EDCF, 다자개발은행과 개도국 인프라사업에 18억불 지원 2017-03-12 12:04:20
추진하기로 했다. WB와는 지금까지 EDCF가 지원하지 않았던 신규협력국 및 민관협력(PPP) 사업을 중심으로 지원한다. ADB·AfDB·IDB·CABEI와는 EDCF 중점지원국 및 중점분야 대규모 인프라사업을 대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앞으로 우리 정부가 출연하는 신탁기금 사업과 EDCF 사업을 연계 발굴, 우리 기업의 수주...
경제발전공유사업, '단순 전수'에서 '경제협력 확대'로 개편 2017-03-06 14:21:06
높인다는 취지다. 지금까지 KSP 과제를 협력국 수요 위주로 정했지만 앞으로는 우리나라의 성장 경험, 비교 우위 분야를 사전에 제시하고 협의함으로써 공통 관심사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하기로 했다. 매년 8∼10월에만 시행하던 KSP 수요조사는 상시 체제로 전환하고 부처·공공기관·재외공관을 활용해 협력국 정보도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