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다산칼럼] 평등에의 질주본능 제어되어야 2014-10-13 00:58:19
증가한다고 주장한다. 그만큼 노동계층이 홀대 받는다는 것이다. 평등이 효율에 의해 희생돼 온 만큼 노동소득분배율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소득이 보다 ‘평등하게’ 분배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하지만 평등하게 태어났다고 분배 몫이 같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자연의 공장문’을 나서는...
[한경포럼] 내수 진작? 뭘로 할 건가 2014-07-15 20:36:47
흔히 부동산 침체를 꼽고, 일부 언론은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을 든다. 하지만 최근 3년간 평균 3% 성장에 그쳤고, 4년 뒤엔 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 14%)라는 사실은 잊은 듯하다. 근본 원인은 저성장과 고령화로 귀결된다. 물이 빠지면 온갖 오물이 드러나듯 가계부채, 청년실업, 자영업 문제는 그 횡단면일 뿐이다.당장...
[세계 경제사] 기계가 일자리 뺏는다?…해프닝으로 끝난 기계파괴운동 2014-04-18 17:23:44
것은 물론이고 국민소득 중에서 노동자들이 차지하는 노동소득분배율 또한 높아졌다. 1953년 25.8%에 불과했던 노동소득분배율은 1995년 이후 60%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기계파괴운동을 이끌었던 러드는 상상도 못 했겠지만, 1980년대 컴퓨터 도입으로 타자기를 다루던 타자수 등 많은 일자리가 사라졌으나 삼성전자만...
돈, 가계보다 기업으로 풀렸다 2014-01-08 12:00:08
게 한은의 설명이다. 실제로 우리나라 국민소득에서 노동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노동소득분배율은 2006년 61.3%를 정점으로 2012년에는 59.7%로 감소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경우 2011년 기준으로 미국 67.3%, 영국 70.7%, 독일 66.9%, 일본 70.7% 등 한국보다 10%포인트가량 높다....
돈, 가계로는 안가고 기업으로만 간다 2013-09-11 12:00:11
실제로 기업이익 중 근로자 임금으로 돌아가는 몫을 보여주는 노동소득분배율은2006년 61.3%에서 2010년 58.9%로 내려간 뒤 회복을 못 하고 있다. 여기에 경기 부진에 따른 가계의 소비위축, 기업의 투자유보 등도 가계와 기업의 M2 증가율 차이를 확대하는 데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은...
[통상임금 토론회] "통상임금, 근로시간 단축부터 하나씩 풀어 나가자" 2013-06-06 17:31:38
말했다. 그는 “지난해 기준 59.7%인 노동소득분배율은 통상임금 재산정시 60.4%로 개선된다”며 “민간 수요와 총수요도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할증임금 제도의 모범 사례로 자주 언급되는 일본의 안희탁 규슈산업대 경영학과 교수도 토론회에 참석해 견해를 밝혔다. 안 교수는 “통상임금은 사용자가...
1인당 국민총소득 '2만달러의 함정'? 2013-03-26 17:16:41
근로자 임금을 기업 영업이익과 임금의 합계로 나눈 노동소득분배율도 59.7%에 머물렀다.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에는 61.1%였다. 기업이 버는 돈에서 근로자 몫이 줄었다는 의미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개인 소득 증가세 둔화는 소비 여력 위축과 내수부진으로 이어져 경기 회복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작년 1인당 국민소득 2만2천708달러…제자리걸음(종합2보) 2013-03-26 15:35:54
한은은 밝혔다. 국민소득 가운데 노동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노동소득분배율은 59.7%로 전년(59.5%)보다 0.2% 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노동의 대가로 가계에 분배되는 임금 등을 의미하는 피용자보수 증가율이기업에 돌아가는 몫을 나타내는 영업잉여 증가율을 웃돌았기 때문이다. 물가 등을...
노년층 소득불평등 급상승…10년만에 최고 수준 2013-01-30 05:51:13
반 연구원은 "노동시장에서 은퇴한 65세 이상 세대의 지니계수는 소득불평등의심각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0.400을 모두 넘어서고 있어 노년층의 소득분배가크게 악화돼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년층의 빈부격차 심화는 소득 상위 20% 계층의 소득을 하위 20% 계층의 소득으로 나눈 '소득 5분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