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울산시, 중국 무역사절단 모집 2015-09-22 18:57:40
영남 브리프 울산시는 오는 10월25~27일 중국 우시(無錫) 시에 파견할 무역사절단 참가 업체를 모집한다. 장쑤성 양쯔강 하류에 위치한 우시는 자동차 부품, 에너지, 반도체 부문에서 강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울산시는 다음달 2일까지 5개사를 선정한다. 참가 업체에는 현지 바이어 발굴 대행, 1 대 1 비즈니스 상담...
김기현 울산시장 "울산 3대 산업, ICT와 융합…창조경제 허브로 도약하겠다" 2015-07-29 18:44:45
등 서비스산업을 육성하는 ‘미래100년 울산 창조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민선 6기 출범 1주년을 맞아 진행한 한국경제신문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김 시장은 “지난 50년간 풍요를 가져다준 울산 주력산업에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화합하고 기업 투자유치를 확대해 인구 200만명의 창조...
한국선급, 55주년 비전 선포 2015-06-23 21:23:06
영남 브리프 한국선급(kr)은 23일 부산 강서구 본사에서 창립 55주년을 맞아 환경·에너지·정보기술(it) 분야로 영역을 넓히는 새로운 비전을 선포했다. 미래 비전은 ‘종합적 기술 조언자’란 목표 아래 선박 안전을 확보하는 역할 외에 세계 해양기술의 글로벌 리더가 되기 위한 환경, 에너지, it...
SK네트웍스 전임사장 퇴진에 반발…인사 내홍 2015-03-22 08:15:05
문 전 사장은 영남에너지서비스 포항 대표이사와 SK E&S 대표이사 사장을 거쳐2013년 3월 SK네트웍스 대표이사 사장에 선임됐으며 작년 말 인사에서 SK상임고문으로 물러났다. 문 전 사장은 메일에서 직원들에게 "40년 SK의 품을 떠나면서 많은 고민 끝에그룹의 무한한 발전과 성장을 위해 몇 가지 고언을 남기고자...
대성청정에너지 등 4개 도시가스업체 서비스 '미흡' 2014-12-22 12:40:25
서비스 수준 향상 대성청정에너지와 대화, 제주, GSE 등 4개 도시가스 업체의 서비스가 미흡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올해 서비스 수준이 우수한 업체 수가 작년 1개에서 올해는 7개사로 늘어나는 등 전체 도시가스 업체들의 서비스 수준은 작년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SK E&S 조직개편‥전력사업-집단에너지사업 통합 2014-12-09 16:06:38
<자회사> △ 대표이사 보임 ▲ 충청에너지서비스 대표이사 박영수(朴英秀) ▲ 영남에너지서비스(구미) 대표이사 겸 영남에너지서비스(포항) 대표이사 김찬호(金燦鎬) ▲ 전북에너지서비스 대표이사 겸 전북집단에너지 대표이사 정회(鄭會) ▲ 하남에너지서비스 대표이사 겸 위례에너지서비스 대표이사 배명호(裵明鎬) △...
[부산 맞수 로펌] 법무법인 국제, 항만도시 겨냥 해양분야 척척…전문변호사 포진…지역 최대 로펌 2014-06-05 07:00:19
구성하고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체제를 구축한 것도 강점이다.이 같은 노력과 명성은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삼성과 현대, gs, 대우, 포스코건설, 두산, 대림산업, 한진중공업, kb부동산신탁, 화승그룹 등이 영남지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송무 사건을 국제에 1순위로 의뢰할 정도다. 부산시와 부산국세청, 울산시 등...
부민병원, '그린플러스 체크'로 친환경·효율·품질 업그레이드 2014-01-08 11:00:59
실시하기로 협약을 맺었다고 8일 밝혔다. 영남 지역에서는 처음 시행하는 ‘그린플러스 체크’ 컨설팅이다. 부민병원 관계자는 “병원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친환경(green), 효율성(efficiency), 품질(quality) 등 세가지 핵심요소를 점검하고 개선안을 제시하는 컨설팅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예컨대 수술실 및...
[新영남경제시대] 글로벌 경제 블록화 가속…영남경제공동체, 소프트 파워로 새 먹거리 준비 2013-12-27 06:58:20
간 융합화·통합화로 인해 제조업의 서비스화 등 새로운 유형의 산업 등장이 가속화되고 지식기반사회 및 경제의 서비스화 트렌드가 부각되면서 지식창조산업이 경제성장을 주도할 전망이다. 동아시아는 경제성장에 의해 21세기 세계경제의 중심축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2040년께 아시아 국가의 경제 규모가 세계경제의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