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책마을] 물리학자가 본 명화, 그림 속에서 파동과 파장 양장역학을 읽다 2020-02-06 12:20:43
원자모형이 있고 태양의 흑점 사진과 음의 파동 그래프도 보인다. 저자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이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나노-정보 융합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자는 연구나 학회 참석차 해외에 나갈 때마다 미술관을 찾았다. 많은 예술가들에게 큰 영감을 준 '뮤즈'는 다름 아닌...
부산 북항 오페라하우스 인근에 '문화 허브' 2019-12-12 18:12:25
검토하고 있다. P구역(4314㎡)에는 Play(놀이, 게임)와 Planet(행성, 우주), Plaza(수변 공연장) 등을 담은 콘셉트를 검토하고 있다. 2020년 시청자가 2억70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e스포츠’는 물론 모형항공기, 전동비행기, 드론 조종과 에어로켓 제작 등이 가능한 ‘항공레저스포츠제전’...
생명체 가능성 높다는 엔켈라두스 '호랑이 줄무늬' 비밀 밝혀져 2019-12-10 09:42:12
모형을 통해 엔켈라두스 남극에서 펼쳐지는 기이한 현상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논문을 학술지 '네이처 천문학(Nature Astronomy)'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얼음 사이의 틈이 만든 이른바 호랑이 줄무늬가 왜 남극에만 존재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똑같은 간격을 두고 형성됐는지에 특히 관심을 가졌다. 수치모형을...
도로·교량붕괴 사전에 예방하는 '스마트 센서' 2019-11-15 17:35:18
모형의 강철 구조물 등에 이 기술을 적용해 효과를 확인했다. 권 연구원은 “교량, 댐, 터널, 발전소 등 사회 인프라부터 철도, 항공기, 우주발사체까지 다양한 구조물의 안전도 측정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술은 국제학술지 ‘레이저피직스’에 실렸으며 국내외에 특허가...
"신제품 개발 때 꼭 필요한 시뮬레이션 SW, 중소기업에 공급해 제조 혁신 도울 것" 2019-10-31 16:44:06
만나봤다. 제조업의 기본 공정은 먼저 모형을 만든 뒤 이를 토대로 실제 부품을 제작하고 이를 결합해 완제품을 완성하는 것이다. 완제품에서 문제점이 발견되면 이런 작업을 되풀이한다. 때로는 여러 차례 반복 작업이 이어지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게 된다. 부품이 한두 가지면 그나마 다행이다....
'하늘을 향한 최초의 시도들'…과천과학관 기획전 개최 2019-10-28 12:00:06
전시물로는 금강호, KT-1(웅비), T-50(황매), 차세대 한국형 전투기 KF-X(보라매) 모형이 있다. 우리별 1호, 아리랑 1호, 무궁화호, 천리안 등 인공위성의 모형과 나로호, 누리호 우주발사체 모형도 전시된다. 75t급 엔진과 우주인 우주복 실물도 공개된다. 이 밖에 인공위성 발사 가상현실(VR) 체험과 로켓을 만드는...
우리은하에서 발견한 행성 4700개…도플러·빛가림 효과로 찾았다 2019-10-18 17:20:33
이것이 현재 표준 우주모형이다. 빅뱅 이론을 완성하다 지구, 화성, 목성 등은 태양계에서 태양을 공전하는 행성이다. 태양계가 속한 ‘우리은하’엔 태양과 같은 별(항성)이 1000억 개가량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노벨물리학상은 우리은하에서 태양과 같은 항성을 도는 외계 행성을 처음 발견한 미셸...
한국형 전투기 KF-X 실물모형 첫 공개…美 전략 무기는 불참 2019-10-14 17:10:34
차세대 한국형 전투기(KF-X)의 실물 크기 모형이 14일 경기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린 ‘2019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프레스 데이에서 처음 공개됐다. KF-X 사업은 개발비만 총 8조8304억원에 달하는 초대형 방산 프로젝트다. 2016년 1월 개발을 시작해 2018년 6월 기본 설계가 완료됐다....
[복거일 칼럼] 양자 컴퓨터 시대, 암호화 기술에 주목해야 2019-10-13 17:04:46
있다’는 얘기다. 양자 역학은 ‘얽힘’이 우주의 피륙을 이룬다고 한다. 가장 미세한 입자들이 서로 얽히고 그 얽힌 입자들이 다시 얽히는 과정이 무한히 반복돼 우리가 보는 고전적 세계가 나온다는 것이다. 고전적 컴퓨터에선 자료들이 2진수(binary digit·bit)로 코드화돼 두 개의 확정된 상태(0...
우주 연구 지평 넓힌 연구자 3명, 올해 노벨물리학상 영예(종합) 2019-10-08 21:34:01
우주상수(cosmological constant)가 있는 우주모형' 연구를 통해 아인슈타인이 '인생의 최대 실수'라며 취소했던 '우주상수'를 되살려냄으로써 암흑에너지 연구의 기초를 마련한 것 등을 꼽았다. 임명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도 피블스 교수에 대해 "우주의 거대 구조 등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