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고성희 `롤러코스터` 출연, 깜찍 발랄 승무원으로 변신 2013-10-02 11:57:45
출연한다. 고성희는 지난해 영화 `분노의 윤리학`(감독 박명랑)에서 사건의 중심에 선 미모의 여대생 `진아`역을 맡아 주목을 받았다. 데뷔작임에도 불구 이제훈 조진웅 곽도원 김태훈 그리고 문소리 등 충무로 연기파 배우들 사이에서도 깊은 인상을 남긴 바 있다. 고성희는 `롤러코스터`에서 일본인 승무원 `미나미...
[행복한 한가위] '진짜사나이' 샘 해밍턴의 섬마을 적응기…'아저씨' '간첩' 등 영화도 풍성 2013-09-17 06:59:00
11시에는 이제훈 문소리 조진웅 등이 나선 ‘분노의 윤리학’을 내보낸다. 여성영화채널 씨네프는 18일 김해숙 박진희가 주연한 ‘친정엄마’(오후 8시), 결혼 10년차 부부의 애잔한 사랑을 그린 ‘그 남자가 아내에게’(오후 10시)를 잇달아 방송한다. 20일 오후 8시에는 골드미스 언니를 위한 로맨스 영화인 김재중 한...
<게시판> 전경련, 부산서 기업윤리학교ABC 개최 2013-09-10 12:00:46
윤리학교ABC(Academy forBetter Company)를 개최했다. 수도권을 제외하고 중견·중소기업 사업체 수가 가장많은 부산에서 개최된 이번 기업윤리학교ABC에서는 윤리경영의 기획·실천·확산 방법에 대한 전문가들의 특별강연과 함께 두산중공업[034020]과 협력사인 정일정공, LG그룹과 계열사인 LG전자[066570]의 우수사례...
[경제사상사 여행] “기술자가 지배하는 사회주의 도래할 것”…뉴딜 정책에 영향 2013-09-06 16:32:19
경제학뿐만 아니라 인류학 윤리학 생물학 등 다양한 사상을 섭렵한 뒤 자본주의를 맹렬히 비판했다. 그래서 그를 ‘미국의 마르크스’라고도 부른다. 베블런 사상은 인간에겐 창조적이고 생산적 노력을 뜻하는 ‘제작 본능’이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 본능이 가장 잘 구현된 사회가 사유재산이 없던 원시사회였다는...
[인사] 현대자동차그룹 ; 현대증권 ; 보건복지부 등 2013-08-30 17:18:21
윤리학과장 김소윤◇간호대학▷간호환경시스템학과장 조은희◇국민고혈압사업단▷의료사업부 부단장 전병율◇세브란스병원▷교육수련부 수련1차장 정준원◇강남세브란스병원▷소화기내과장 박효진▷흉부외과장 이기종▷보철과장 김선재▷구강악안면외과장 허종기▷폐암클리닉팀장 이성수<팀장>◇세브란스병원▷...
[경제사상사 여행] "경제자유 없인 어떤 자유도 없다"…프리드먼·뷰캐넌에 영향 2013-08-02 17:02:06
되겠다는 생각에서 한때 철학과 윤리학에 심취했던 나이트는 시장경제의 윤리적 기초는 효율성이 아니라 개인의 자유라고 주장한다. 자유사회에서 인간관계는 정부, 개인, 집단의 강제가 아니라 전적으로 자발적인 교환에 의존한다는 뜻이다. 시장 교환이 생겨나면서 인류는 원시적 삶을 극복하고 비로소 문명화된 삶이...
"이론 아닌 역사경험으로 경제문제 해결"…美 진보주의 토대 2013-07-26 17:01:49
사회 문제를 방관할 수 없기에 경제학은 윤리학이 돼야 한다는 게 슈몰러의 견해다. 그는 노사관계를 정립할 윤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재산의 불평등에서 생겨나는 악을 줄이고 부의 편중을 줄이는 게 학자의 과제라는 것이다. 슈몰러는 노동자 보호, 서민주택 등 다양한 사회정책을 쏟아냈다. 실업·질병·노후에 대비...
저자와 함께 행복한 인문학 1탄 `미술관 옆 인문학2` 박홍순 2013-06-20 13:15:50
`실천윤리학`, 마네의 `풀밭 위의 식사`-아도르노의 `계몽의 변증법`, 메소니에의 `바리케이드`-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등 우리에게 친숙한 미술작품과 고전을 묶어 인간에 대한 성찰, 사랑과 성, 역사와의 대화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해 들여다 본다. 이 밖에도 콜비츠, 들라크루아, 브론치노 등 미술가들과...
[책마을] 케인스는 틀렸다…우린 여전히 배고프기 때문에 2013-06-13 17:19:36
‘정치학’ ‘니코마코스 윤리학’,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인도의 고대 법전 ‘다르마수트라’ 등은 물론 공자와 사마천까지 인용하며 인류의 역사를 돌이켜볼 때 오늘날과 같은 자본 숭배는 상당히 예외적인 현상이라고 주장한다. 물질적으로는 이미...
[경제사상사 여행] "개인 자유·사회적 형평 동시 해결"…패전 독일에 '제3의 길' 제시 2013-05-21 10:43:19
평화의 사도라고 설파했다. 뮐러-아르막은 경제학에 윤리학을 도입, 시장경제를 도덕적으로 만들려고 각별한 힘을 쏟았던 창조적 경제학자였다. 그의 사회적 시장경제이론은 전후 독일 사회의 이념적 혼란을 수습하는 데 기여했다. 그의 사상은 사회민주주의의 이론적 기초가 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