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김재완의 21세기 양자혁명] 블랙홀 존재 증명한 펜로즈卿 2020-10-07 17:11:40
물리학상은 영국의 로저 펜로즈, 독일의 라인하르트 겐첼, 미국의 앤드리아 게즈 세 사람에게 돌아갔다. 1931년생인 펜로즈는 1965년 블랙홀이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이론으로 증명했고, 겐첼과 게즈는 1990년대에 우리 은하계 중심에 있는 블랙홀을 관측해 그 존재를 입증했다. 블랙홀은 중력(重力)이 너무 강해서 빛도...
"우리은하 중심에 블랙홀 있다" 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 입증 2020-10-06 21:38:15
존재를 이론적·실험적으로 규명한 천체물리학자 세 명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아카데미는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로 로저 펜로즈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사진 왼쪽부터), 라인하르트 겐첼 미국 UC버클리 교수, 앤드리아 게즈 미 UCLA 교수를 선정했다고 6일 발표했다. 펜로즈는 우리은하 내 블랙홀의 성질을...
노벨 물리학상에 '블랙홀 연구' 英 펜로즈 등 3명(종합) 2020-10-06 19:44:43
등 3명(종합) 獨 겐첼·美 겐즈…역대 네번째로 여성이 물리학상 수상 "일반상대성이론이 블랙홀 형성 이끈다는 것 보여줘"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기자 = 영국의 로저 펜로즈(89·옥스퍼드대), 독일 라인하르트 겐첼(68·UC버클리), 미국 앤드리아 게즈(55·UCLA) 등이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스웨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스마트 직업훈련 플랫폼 '스텝' 개설 & IPP 운영…매년 취업률 80% 이상 2020-09-16 15:08:53
대학은 이론과 실험실습 5 대 5의 교과과정, 산업현장 지향의 커리큘럼, 3년 이상 실무경력을 갖춘 교수진 채용, 100여 개의 24시간 개방 랩(LAB), 졸업연구작품 제작 의무화, 체계적인 장기현장실습제도(IPP) 등을 운영한다. 이 중 IPP는 학생들이 실무능력을 키우고 기업은 별도의 교육·훈련 없이 우수 인재를 채용할 수...
은하 중심 초대형 블랙홀 수수께끼 단서 '중간' 블랙홀 첫 관측 2020-09-02 21:01:01
이론으로는 설명이 어렵다. 연구팀은 이 블랙홀들이 충돌해 중간 질량 블랙홀을 만들기 전에 더 작은 블랙홀이 충돌해 형성됐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제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물리학회 저널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와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저널 회보'(Astrophysical...
첫 외계 인터스텔라 천체 오우무아무아 "수소 얼음 아니다" 2020-08-18 11:03:18
태양계 도달 거리와 시간 등을 감안하면 현재 물리이론으로는 도저히 설명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티엠 황 연구원은 "수소 얼음덩이가 거대분자운에서 만들어지는 과정을 규명하는 것은 천문학의 난제인 '암흑물질'의 단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이번 연구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공저자인 로브 교...
"1개의 전자가 여러 원자를 넘나든다" 첫 발견 2020-07-21 00:00:02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정현식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 김재훈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 손영우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이상 공동 교신저자)가 이같은 논문을 내 네이처에 게재했다고 21일 발표했다. 강순민(서울대), 김강원(서강대), 김종현(연세대), 김범현(고등과학원) 연구원이 공동 1저자로 논문을 작성했다....
[사이테크 플러스] "2차원 자성물질 내 전자 얽힌 상태로 존재…새 양자상태 발견" 2020-07-20 14:00:01
부연구단장(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은 21일 2차원 자성 물질에서 독특한 신호를 발견하고, 이 신호가 전자가 여러 원자 사이에 얽힌 상태로 존재하는 양자 다체 상태의 새로운 엑시톤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서강대 정현식 교수와 연세대 김재훈 교수, 고등과학원 손영우 교수가 공동교신저자로 참여한 이...
고려대, 국제학술지 논문 '최다'…영향력에선 서울대가 5년째 1위 2020-07-06 17:18:17
연구자에게 실험분야는 과제당 연간 1억원 내외, 이론분야는 과제당 연간 3000만원 내외의 연구비를 최대 9년까지 지원한다.성균관대, 교수진 대폭 충원해 2위KAIST는 교수당 교내·교외 연구비 1위, 교수당 국제학술지 논문 수 2위를 차지해 ‘연구의 질’ 부문에서 전체 1위에 올랐다. 교수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성과도...
"반도체 집적도 1천배↑"…삼성 지원한 연구 美 `사이언스` 실려 2020-07-03 04:00:00
이론과 소재를 발표했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화학공학부 이준희 교수 연구팀이 내놓은 연구결과는 미국 현지시간으로 2일 세계적인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게재됐다. `사이언스`에 순수 이론 논문이 실리는 것은 극히 드문 일로, 국내 연구팀 단독으로 진행한 이번 연구의 이론적 엄밀성과 독창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