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다산칼럼] 인구·출산 대책, 혹 하나 더 붙이는… 2016-06-16 17:39:42
밑 빠진 독에 물붓기식 출산장려책 외국인 이민 확대해 고령화 저지 인구 규모보다 구조 개선에 힘써야김영봉 < 중앙대 명예교수·경제학 kimyb5492@hanmail.net > 지난 10여년간 우리 전문가들은 세계 최저의 출산율과 곧 도래할 ‘인구절벽’으로 한국이 쇠망 위기에 있음을 지적해 왔다. 그래서 ‘정부...
[책마을] 저성장·고실업·저출산·가계빚…난국에 빠진 한국의 해법은 2016-02-04 17:37:21
유지하지 못했다. 다양한 출산 장려책에도 결국 출산율 하락을 막지 못해 몰락한 스파르타의 사례는 한국이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얼마나 절실하게 매달려야 하는지 교훈을 준다.저자는 “이제 한국은 익숙하고 편안한 길 대신, 어렵고 불편한 길을 선택해야 할 시기가 왔다”고 말한다. 고비용, 저효율, 거래...
[시론] 단기부양책보다 경제 기초체력 보강해야 2016-01-11 17:52:25
외국 인력을 활용하며, 2040년대 이후에는 출산장려책으로 태어난 미래세대가 한국을 이끌도록 인구정책을 촘촘하게 짜야 한다.셋째, r&d 규모와 효율성을 제고함으로써 더 좋은 제품, 더 좋은 서비스를 생산할 수 있어야만 세계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넷째, 소비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좋은 일자리 창출을 통해...
[김희욱의 글로벌 숨은뉴스 찾기] 저출산, 글로벌 공조 “Baby, don`t stop!” 2015-10-31 00:00:00
공격적인 출산장려책을 마련했다. 중산층 가정을 대상으로 둘 째를 출산할 경우 세제 혜택을 비롯 무려 16만6천 싱가폴달러(1억3500만원) 규모의 다양한 재정지원을, 셋 째부터는 추가로 8천 싱가폴달러(650만원)의 보너스를 지급하고 아이의 아버지에게는 추가로 2만 싱가폴달러(1630만원)의 세금을 환급해 준다. 그림 :...
[이대론 대한민국 미래 없다] 개방형 이민정책 효과…싱가포르·네덜란드 "노동력 걱정 안해" 2015-10-15 18:00:30
인구 고령화로 고민하던 싱가포르는 각종 출산장려책에도 출산율이 오를 기미를 보이지 않자 이민에서 대안을 찾기로 했다. 1999년 ‘21세기 인력 유치계획’을 발표하고 외국 인력 확보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2년 이상 체류한 외국인에게는 영주비자 신청권을 줬다. 영주권을 받은 외국인에겐 공공주택...
[한경에세이] 부모 노릇하기 2015-07-28 18:39:08
하지만 출산과 모유수유 등을 제외하면 우리가 익숙했던 엄마 노릇과 아빠 노릇은 사실상 구분이 없다. 일하는 엄마들이 더 이상 엄마 노릇이 아니라 부모 노릇을 하며 함께 아이를 키워나갈 수 있도록 하는 성숙한 사회 분위기가 가장 적절한 출산 장려책이 되지 않을까.신용현 <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 yhshin@kriss.re.kr...
자녀 있는 군인 月20만원 수당 2015-06-18 14:27:00
때문에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정부의 출산 장려책에 따라 큰 진통없이 통과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기재부와 협의를 거쳐 9월 국회에 예산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지난해의 경우 7.5% 증액을 요구했지만 국회 심의과정에서 1조원 이상 줄어 올해 국방예산 증가율은 4.9%에 그쳤다. 김희주 한경닷컴 정책뉴스팀...
[뉴스의 맥] 법인세율, 주요국 인하 추세에 보조는 맞춰야 2015-06-11 20:35:08
못하고, 결혼해서도 출산을 주저하는 상황에서 어떤 출산장려책에 못지 않은 것이 법인세율 인하라는 점도 깊이 음미할 필요가 있다.법인세율 정책이 다국적 기업의 입지 선택에 영향을 줘 일자리까지 좌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면 법인세율 인하가 ‘부자 감세’라는 주장의 허구성이 드러난다. 대기업들이...
연말정산 사태의 오류 3가지 2015-01-30 07:00:38
것이다. 정부는 저출산이 위기라고 호소하며 출산 장려책을 펴왔다. 그런데 세법은 다자녀소득공제와 출산소득공제 혜택을 없애버린 쪽으로 개정됐다. 더 많이 출산했더니 세금이 오히려 늘게 됐다. 또 2013년 세법 개정 시 당시 청와대 경제수석은 연봉 5000만원대 이하 근로자들에게는 세금 부담이 적어 “거위털을...
[저출산대책 다시 짜라] 워킹맘의 좌절…"일이냐, 아이냐" 하나는 포기해야 하는 사회 2014-07-02 21:07:36
출산의 가장 큰 기회비용은 바로 ‘일’이다. 특히 좋은 일자리를 가진 여성일수록 경력단절의 비용은 높다. 공무원 등 일부 직종을 제외하면 아이를 충분히 양육한 뒤 복직하기란 쉽지 않다. 게다가 높은 소득과 사회적 지위, 자아실현까지 가능한 좋은 일자리는 한정돼있다. 여성의 학력이 높아지고 사회진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