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2천년 역사 한국의 젓가락 세계를 들어 올린다 2017-08-16 15:15:36
조사·연구하고 출판·공연·문화상품 등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할 젓가락 연구소가 16일 청주에 문을 열었다. 소장은 김호일 청주문화산업진흥재단 사무총장이 맡았고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 이시형 세로토닌문화원장, 박진선 샘표 대표이사가 고문으로 위촉됐다. 이 연구소는 한·중·일 3국의 젓가락문화단체와 협력해...
'하멜표류기' 희생 네덜란드 선원 위령비 제주에 건립 2017-08-16 13:52:50
문화원이 발간한 지영록 번역본 각주에는 난파 지점이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한장동과 서귀포시 대정읍 신도2리 사이의 해변으로 추정된다는 내용이 담겼다. '대야수포'는 원래 고산 한장의 대물(또는 대아물)의 한자 표기로, 고산 한장과 도원에서 대물을 길면서 논깍포구를 대야수포(大也水浦)로 불렀으나 19세기...
'하멜표류기' 희생 선원들 넋 기리는 위령비 제주에 건립 2017-08-13 07:10:02
문화원이 발간한 지영록 번역본 각주에는 난파 지점이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한장동과 서귀포시 대정읍 신도2리 사이의 해변으로 추정된다는 내용이 담겼다. '대야수포'는 원래 고산 한장의 대물(또는 대아물)의 한자 표기로, 고산 한장과 도원에서 대물을 길면서 논깍포구를 대야수포(大也水浦)로 불렀으나 19세기...
청주 젓가락연구소 18일 개소…콘텐츠 개발 전담 2017-07-11 17:31:22
문화를 연구하고 출판·공연·문화상품 등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중·일 3국의 젓가락 문화 단체 등과 협력, 동아시아 문화공동체를 형성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연구소장은 김호일 청주문화산업진흥재단 사무총장이 맡는다. 명예소장에는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과 이시형 세로토닌문화원 원장,...
문체부, 산하기관 인사 서두른다…당장 기관장 4분의 1 뽑아야 2017-07-10 08:00:05
│15│아시아문화원│ 김병석 원장 │2017년 10월 ││ ├─┼──────────────┼────────┼──────┼────┤ │16│ 뉴스통신진흥회 │ 이문호 이사장 │2017년 12월 ││ ├─┼──────────────┼────────┼──────┼────┤ │17│ 영상물등급위원회...
[100세 시대 인생플랜] ⑧ 철밥통 박차고 '산 사나이'로 살다 2017-07-09 09:00:14
사회문화원에서도 강의했다. 김 소장은 1999년 퇴직 직전에 인터넷상에 남산연구소를 만들었다. 정식으로 사무실을 갖춰 설립한 것은 이듬해였다. 그때부터 남산연구소장으로 남산 가치를 알리고 문화유산을 보호하는 일을 본격화했다. 경주남산연구소는 남산안내소를 운영하고 유적답사와 남산달빛기행을 주도한다. 남산과...
美 교사들 '한국 열공'…한국 역사문화 세미나 성료 2017-07-04 10:00:01
문화원과 국제한국학회가 공동으로 지난 26일부터 1주일간 진행한 세미나에는 LA통합교육청과 애리조나, 일리노이, 매사추세츠, 코네티컷, 인디애나, 콜로라도, 켄터키, 텍사스 등 10개 주에서 66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이 기간에 한국 근대사와 현대사, 한국 민주주의 발전과 경제성장, 한국 전통 음악, 한반도와 동북아...
고전소설 '숙향전' 프랑스어판 출간 2017-06-29 01:41:02
번역 출간됐다. 주프랑스한국문화원은 28일 오후(현지시간) 숙향전의 프랑스어판 출판기념회를 열었다. 숙향전은 전란에 부모와 이별하고 파란만장한 삶을 살던 여주인공 숙향이 마침내 배필을 만나고 부모와도 재회한다는 내용의 대중소설로, 춘향전·심청전과 함께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고전소설로 꼽힌다. 일본인...
칼날 무뎌진 김영록 청문회…새 정부 들어 최단시간 종료(종합2보) 2017-06-28 19:42:02
"미 문화원 점거 사건, 지자체 시장으로서의 적극적 행정 행위 등으로 얻은 전과인데 싸잡아서 파렴치범처럼 매도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거들었다. 이날 청문회는 오전 10시10분부터 오후 6시17분까지 진행됐다. 새 정부 들어 열린 헌법재판소장과 국무위원 후보자 등에 대한 청문회를 모두 통틀어 가장 짧은 시간에...
2017년 1학기, 대학생이 가장 많이 읽은 책은? 2017-06-22 18:17:00
출판물인 <노동과 페미니즘>을 가장 많이 대여했다. 사회의 노동문제를 여성주의 시각에서 조명한 연구서다. 연세대 학생들 역시 대학출판문화원에서 발간한 <기독교 문학과 삽화의 토착화>를 가장 많이 대여했다. 고려대는 고구려의 여섯 왕을 다룬 김진명의 소설인 <고구려>가 1위에 올랐다. 덕성여대는 불안함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