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경제사상사 여행] "과세는 납세자 재산 뺏는 행위"… 마르크스주의 대척점에 위치 2013-04-12 15:49:15
그의 중요한 경쟁옹호론이다. 자유시장의 작동 원리를 철두철미하게 신뢰했던 로스바드는 자유시장은 독점을 야기하기에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단호히 배격한다. 그의 반론의 핵심은 공급자가 하나이고 그래서 가격을 결정할 힘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의 독점이라는 말은 적실성(的實性)이 없으며 독점가격과...
[다산칼럼] 고용 늘리자면서 기업을 옥죄어서야 2013-04-11 17:55:37
이뤄지는 경제체제는 시장경제다. 자유시장에서 소비자들은 매일매일 기업들이 만든 상품에 대한 구매 행위를 통해 투표한다. 이런 투표 행위는 기업들로 하여금 소비자들의 가장 시급한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유도하며, 어느 누가 표를 던졌든 죽은 표가 되지 않는다. 반면에 정치 세계에서는 일반적으로 과반수의 의사가...
"기준금리 6개월째 동결..증시 영향은?" 2013-04-11 11:41:46
한 막아야 한다. 그러나 자유시장의 기능을 원칙적으로 부정할 수는 없다. 우리뿐만 아니라 G20회담 당시 프랑스나 다른 선진국에서도 토빈세 도입을 해야 한다는 주장을 한 적이 있다. 우리 상황에 맞춰 단기 투기세력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쉽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고민을 하면 그런 방안이 마련될...
“스타일도 능력이다” 직장 내 워너비 레이디 되는 법 2013-04-10 21:40:09
등으로 많은 여성들이 보다 높은 소득과 자유시간을 즐길 수 있게 되어 경제력이 있는 전문직 독신여성 소비자층이 소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점점 확대되고 있다. 이들은 라이프 스타일과 관련해 패션과 뷰티에 이르기까지 소득의 대부분을 자신을 위해서 소비한다. 전문직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패션이 직업...
마가렛 대처 사망, 영국 최초 女총리 사망원인은… "철의 여인 잠들다" 2013-04-09 16:03:14
작은 정부, 자유시장, 민영화 등으로 통용돼 신자유주의의 시초가 됐다. 2012년에는 그의 일대기를 다룬 영화 '철의 여인'이 개봉, 할리우드의 연기파 여배우 메릴 스트립이 대처의 모습을 완벽히 재연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한편 청와대를 비롯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미국 오바마 대통령, 미하일...
영국의 경제부흥 이끈 대처 前총리 타계…탄광노조 굴복시켜 영국病 고친 '철의 여인' 2013-04-09 04:14:56
통치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대처는 자유시장경제와 개인의 선택을 강조함으로써 영국의 경제를 한 단계 발전시켰고, 강력한 외교정책으로 냉전 종식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식료품점의 딸에서 영국 총리로 대처는 1925년 영국 동부의 작은 도시 그랜섬에서 식료품 가게 주인 알프레드 로버츠의 딸로 태어...
담배 피고 총 든 8세 소년…내전으로 하룻밤새 고아 2013-04-08 10:35:54
반군인 자유시리아군 삼촌과 지내고 있다. 아흐메드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며 "학교도 없고 가족도 죽고 내가 무엇을 선택하겠나"라고 말했다. 평소 아흐메드는 반군들을 위한 심부름이나 수류탄, 탄환 보충 등의 일을 하다가 심심하면 군인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낸다고. 영상 속 아흐메드는 삼촌과 수류탄 던지기를...
[이슈&포인트] 독일·스웨덴 성장 모델서 배울점 2013-04-07 17:09:04
미국 지향적인 자유시장 경제체제와 자유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했다. 부분적으로 미국 이외의 제도를 도입한 경우는 있지만 박근혜정부처럼 산업과 경제체제는 독일식, 복지는 스웨덴식 모델을 추구하는 다원적 역할모델을 선정한 경우는 처음인 것 같다. 우리나라 정부 정책 역할모델의 변화과정은 무역을 중심으로 한...
[Cover Story] 정부도 시장도 만능은 아니다…자율과 규제의 조화 필요 2013-04-05 13:46:17
자유시장의 본질적인 능력, 즉 토지 노동 자본 등에 공정하고 합당한 대가를 제공하고 가격을 형성시키는 기능을 왜곡시킨다고 본 것이다. 승자독식의 독점적 이익 역시 시장을 왜곡하고 국가 전체의 이익을 해친다. 그런 그가 ‘보이지 않는 손’을 강조한 것은 인간의 자연적인 이기심에도 불구하고 제3자의 입장에서...
[2013 GFC] 노벨상 로스 교수 "어떤 시장이든지 설계와 배분 필요" 2013-04-03 12:30:17
"자유시장에 법칙이 없다는 주장은 합리적이지 않다"며 "뭔가 왜곡되거나 잘못되면 시정하고 새롭게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신장 교환이식을 예로 들며 합리적인 시장설계를 통해 더 많은 사람이 혜택을 볼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습니다. 로스 교수는 또 각종 법규로 인해 불법화된 시장도 제도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