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열정페이·불법파견'…올해 사업장 2만곳 근로감독 2017-01-12 12:00:38
사실관계를 확인해 기획 감독한다. 고용부는 ▲ 신고 게시판 상시 운영 ▲ 불시감독 확대 ▲ 재감독 강화 ▲ 반복 위반 엄정 대응 등으로 감독의 실효성을 높일 방침이다. 감독일정을 사전 통보하지 않는 불시감독으로 기초고용질서를 점검하는 사업장은 지난해 500곳에서 올해 1천곳으로 늘린다. 지난해 감독한 사업장 중...
<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11일 조간) 2017-01-11 08:00:10
고용 한파ㆍ수출 위기… 잇딴 악재로 신음하는 한국경제 ▲ 브릿지경제(서울) = 중국서 반품된 한국 화장품 11t ▲ 에너지경제(서울) = 트럼프ㆍ사드ㆍ소녀상… 3중압박에 경제 시름 ▲ 건설경제(서울) = '바람' 잘 날 없는 풍력발전 ▲ 국제신문(부산) = 백화점 발길 더 잦지만 '빈손 쇼핑' ▲ 부산일보(부산)...
'경기 침체 여파'…대전·충청권 체불임금 10% 증가 2017-01-10 11:11:45
고용노동청 관계자는 전했다. 또 경영난으로 임금을 지급하지 못했으나 체불 청산 의지가 있는 사업주에게 융자 제도를 소개하고, 근로자들에게 돈 등이 신속하게 지급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박희준 청장직무대행은 "정당한 임금 지급은 사업주가 반드시 지켜야 할 기초고용 질서"라며 "상시적인 근로감독과 엄정한...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사회 2017-01-09 15:00:04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검토 170109-0231 사회-0086 09:30 교육부, 검정 역사교과서 심사 강화…'무늬만 검정' 논란 170109-0232 사회-0087 09:30 자유학기제→자유학년제 확대…초등생 진로교육 강화 170109-0233 사회-0088 09:30 올해 중3이 치르는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 7월 발표 170109-0234 사회-0089 09:30...
<2017경제> 청년 알바 임금 착취 막는다…최저임금 감독 강화 2016-12-29 08:01:37
기초적인 고용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근로감독관을단계적으로 확충하고 하반기부터 집중적인 단속에 나서기로 했다. 청년들이 많이 취업하는 주요 프랜차이즈에 대한 최저임금 준수 감독을 강화하고, 편의점이나 요식업 등 경쟁업체별 감독결과를 지표로 만들어 공개할 계획이다. 공공부문 용역근로자의 임금을...
권리 잃고 노동만 착취 당하는 청소년 알바생들 2016-12-28 19:54:00
경기불황에 임금체불이 악화로 치닫으면서 고용노동부는 올해 임금체불액이 1조 4천억 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임금을 상습적으로 체불하는 악덕 기업의 명단을 공개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다. 지난 21일 고용노동부가 2016년도 하반기 기초고용질서를 일제 점검한 결과 커피전문점, 백화점,...
휴무수당 등 각종 임금 미지급…'갑질 사업장' 무더기 적발 2016-12-21 18:20:17
등 ‘갑질 사업장’이 무더기로 적발됐다.고용노동부는 유통업체 4005곳을 대상으로 기초고용질서 일제점검을 한 결과 3108곳에서 법률을 위반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22일 발표했다. 이 가운데 1325곳은 주휴수당 등 각종 임금을 지급하지 않았다. 2717곳은 근로조건을 서면으로 명시하도록 한 규정을 위반했다....
정부, 내년 경제정책방향 `리스크관리·민생안정`에 중점 2016-12-21 11:11:27
공공기관 투자 확대 등을 통해 경기·고용 위축 흐름을 조기에 차단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유 부총리는 "신속한 구조조정 추진과 취약기업의 자산매각을 지원해 구조조정 관련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일자리 예산을 내년 1분기에 조기 집행하고, 청년·여성 등 고용 애로계층에...
내년 1분기 일자리 예산 조기집행…1·2인가구 복지제도 개선 2016-12-21 10:20:33
등고용 애로계층에 대한 일자리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최저임금 준수 등 기초 고용질서를 확립하고 저소득층 소득을 확충하는 방안도담기로 했다. 특히 1∼2인 가구 증가추세에 초점을 둔 복지제도 개선방안을 강구하기로 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촉진 등 부문 간 격차 완화 노력도 지속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