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600년 잠에서 깬 태안 고선박은 세곡 운반선 2015-08-26 18:37:33
수 있는 근거는 함께 발견된 140여점의 분청사기다. 분청사기 3점에 적힌 ‘內贍’이라는 글자는 조선시대 궁궐 물품을 관리하던 내섬시(內贍寺)를 戀磯? 태종은 즉위 17년째였던 1417년 “공물로 바치는 그릇에는 이를 사용할 관청 이름을 표기하라”고 지시했다. 내섬은 이 그릇을 사용한 관청 중...
[한국사 공부] 이순신, 일본군의 기세를 꺾다 2015-08-21 18:46:04
'술술 읽히는 한국사' (27)(25) 15세기 조선의 얼굴, 분청사기 (26) 서원과 향약의 나라 조선 (28) 광해군의 두 얼굴 (29) 1636년 겨울, 남한산성에서 무슨 일이 있었을까 (30) 붕당 정치, 예송 논쟁으로 이어지다 1592년 발발한 임진왜란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시작돼 그가 죽음으로써 막을 내리게 됩니다....
[한국사 공부] 서원과 향약의 나라 조선 2015-08-14 17:10:51
노닐다 (25) 15세기 조선의 얼굴, 분청사기 (27) 이순신, 일본군의 기세를 꺾다 (28) 광해군의 두 얼굴 (29) 1636년 겨울, 남한산성에서 무슨 일이 있었을까 언듯 보면 맞배지붕의 정면 세 칸 한옥 건물인데, 자세히 보니 맨 끝 한 칸만 방이고 나머지는 정자처럼 텅 빈 마루입니다. 참 독특하면서도 운치있다 싶었는데...
[한국사 공부] 15세기 조선의 얼굴, 분청사기 2015-07-10 18:25:43
분청사기라고 하여 청자나 백자와 전혀 다르거나 갑자기 튀어나온 발명품은 아닙니다. 역사가 연속성을 가지듯 예술도 연속성을 가지며 동시에 기존 상황을 극복하면서 새 예술품이 탄생하게 되니까요.분청사기는 전국적으로 생산되었으며, 수요자도 왕실부터 일반 백성까지 매우 폭이 넓었습니다. 그만큼 당시 필수품이자...
[한국사 공부] 꿈속에서 도원을 노닐다 2015-07-03 17:18:01
세종, 민본 정치를 보여주다 (25) 15세기 조선의 얼굴, 분청사기 (26) 서원과 향약의 나라 조선 (27) 이순신, 일본군의 기세를 꺾다 1447년 4월 20일, 세종의 셋째 아들 안평대군은 평소 친하던 집현전 학사 출신의 박팽년과 함께 복숭아꽃이 만발한 이상향 도원을 꿈속에서 찾아 노닐게 됩니다. 꿈에서 깨자마자 그는 당대...
[한국사 공부] 세종, 민본 정치를 보여주다 2015-06-26 17:42:54
15세기 조선의 얼굴, 분청사기 (26) 서원과 향약의 나라 조선23 지혜로운 사람은 아침나절이 되기 전에 이해하고, 어리석은 사람도 열흘 만에 배울 수 있다는 훈민정음.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인 문자이며 인류가 축적한 가장 위대한 지적 성취라는 찬사를 받은 이 문자를 창제한 이는 여러분도 잘 알고 있는 조선 제4대 왕...
[한국사 공부] 송나라 사신이 감탄한 고려청자 2015-05-08 17:20:56
시작합니다. 그리고 새롭게 등장하는 조선에서 분청자(분청사기)와 백자에 그 예술적 지위를 양보합니다.■ 최경석 선생님최경석 선생님은 현재 ebs에서 한국사, 동아시아사 강의를 하고 있다. ebs 진학담당위원도 맡고 있다. 현재 대원고 역사교사로 재직 중이다. ‘청소년을 위한 역사란 무엇인가’ ‘...
충남전통생활도자기육성사업단, 공식 쇼핑몰 오픈 2015-03-09 10:38:57
분청사기의 본고장, 충남에서 생산된 생활 도자기를 이제 인터넷 쇼핑몰에서도 만나볼 수 있게 됐다.충남전통생활도자기육성사업단은 소비자들에게 한층 더 가까이 다가서고자 2015년 2월, 쇼핑몰을 오픈했다고 밝혔다.이번에 오픈한 ‘콕(coc, chungnam oriental ceramic)’ 쇼핑몰에서는 다양한 컬러와...
`백자주자` 단정한 모습 보러가기 2015-01-09 11:25:40
있다. 분청사기 중에서는 <분청사기박지연어문편병>(국보 179호)이 주목된다. 풍만한 몸통을 지닌 이 작품을 바라보면 한 여름날 연꽃이 활짝 핀 연못을 그린 한 폭의 서정적인 회화 작품을 보고 있는 듯하다. 기형과 색 모두 깊고 그윽한 맛을 느끼게 해주어 조선 초기 박지분청사기를 대표하는 절품으로 평가받는다.
태안 조선 백자 인양, 분청사기 2점-백자 111점 인양 ‘역사적 가치↑’ 2014-11-05 23:36:02
4호선으로 명명했으며, 선체 내부와 주변에서 분청사기 2점과 촛대 등 조선시대 백자 111점을 인양했다. 마도 해역은 앞서 고려 시대 선박과 3만여 점의 유물이 발견돼 바닷 속 경주로 불리고 있기도 하다. 소재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장은 “통일신라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우리 항해 역사, 선박 건조의 역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