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국토부, 표준 품셈 마련…27개 건설신기술 적용 2013-08-13 17:01:4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홈페이지(kict.re.kr), 국토부 홈페이지(molit.go.kr)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 ▶ 전셋값, 경매가격 '역전' 속출▶ 한국토지신탁, 10년만에 리츠 재진출▶ '개발사업 잇단 무산' 영종도 부동산 시장, 땅값 반토막…수백가구 빈집 수년째 방치▶ 개정...
설계 창의력 막던 건설기준…'규격'에서 '성능' 중심 전환 2013-08-02 18:21:48
기준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내에 ‘국가건설기준관리센터’ 설립도 추진한다. 백승근 국토부 기술기준과장은 “이번 조치를 통해 2017년에 건설산업 부가가치가 1조1000억원 늘고 5600명의 신규 고용창출 효과가 기대된다”며 “국내 설계사들이 해외 시장에 진출하는 데도 많은 도움이 될...
감리·CM 비용 지불방식 변경 2013-08-01 18:09:52
건설기술관리법’ 개정에 따른 감리·cm의 통합 대가 기준안을 연말까지 마련할 계획이라고 1일 발표했다. 지금까지 감리와 cm은 추정 공사비를 기준으로 산정해 공사 특성에 따른 업무량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있었다. 국토부는 이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감리와 cm의 공사관리 방식을 국제기준에 맞춰...
LH, 통합건설기술정보시스템 개설 2013-08-01 16:52:35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통합 건설기술정보시스템(cotis)을 개설했다고 1일 발표했다. 2009년 토지공사와 주택공사가 lh로 통합된 이후 토지와 주택분야로 나눠서 운영하던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한 것이다. lh는 중복된 기능을 없애고 업무를 간소화해 연간 12억원에 달하던 시스템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Real Estate] 백상건설 '강남 리더스프라자' 상가, 헌릉로 인접 신흥 강남주거벨트 2013-07-30 15:29:58
말했다. 시공사 백상건설은 친환경 건설기술로 다양한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대표적인 건설사다. 2013년 경기 남양주 별내신도시에 조성하는 ‘백상앨리츠’로 한경주거문화대상 ‘오피스텔 부문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백상건설이 속한 백상그룹은 6개 계열사를 거느린 알짜 기업이다. 백상건설 외에도 빌딩 ...
아파트 '결로' 현상 잡는다 2013-07-29 16:59:27
기준이 마련된다. 국토교통부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30일 서울 삼성동 한국감정원에서 ‘신축 공동주택 결로방지 기준’ 공청회를 연다. 사계절이 뚜렷한 기후적 특성에다 2005년부터 아파트 발코니 확장이 허용되면서 거실과 창호 등이 외부와 직접 맞닿고 난방 공간이 넓어져 결로 현상이 늘고 있다. 국토교통부...
건설기술연구원 `글로벌기술협력센터` 개소 2013-07-19 13:21: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국내 건설업의 해외 건설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해외개발 협력사업을 총괄하는 `글로벌기술협력센터`를 개소했습니다. 연구원은 글로벌기술협력센터를 통해 자체 개발했거나 국내 건설기업의 독자적 건설공법·기술을 개발도상국에서 적용하고 사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또, 개발도상국의...
누리텔레콤, 안산시에 `EMS 구축` 2013-07-17 16:55:36
건설기술연구원과 기초전력연구원이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는 ‘탄소저감 스마트 도시에너지관리시스템 개발’ 연구과제의 실증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됩니다. 누리텔레콤은 이번 사업에서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EMS) 구축은 맡습니다. 조수장 누리텔레콤 이사는 "이번 사업은 안산시가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부실 건설재료 공급부터 차단 2013-07-16 17:38:34
건설기술관리법을 개정·공포한다고 16일 발표했다. 국토부는 지금까지 건설재료의 품질관리 책임을 건설업자 등 사용자에게만 부과, 저질 건설재료의 생산과 유통을 억제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앞으로는 건설재료 생산·수입·판매업자도 품질관리에 동참해야 한다. 레미콘업자의 품질관리 책임 범위도 확대...
건설재료 품질확보 의무, 공급자까지 확대 2013-07-16 10:02:47
`건설기술관리법`을 개정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동안 건설재료의 품질관리 책임이 건설업자 등 사용자에게만 부과돼 저질 건설재료의 생산·유통 문제가 발생하며 품질관리에 허점이 있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또 레미콘 업자의 품질관리 책임범위가 적정한 재료로 레미콘을 생산하는데 한정돼, 완성된 레미콘의 품질관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