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햇빛에 따라 밝기 조절한다'…전기 통하는 종이 개발 2017-08-29 11:14:59
nm(나노미터·1nm=10억분의 1m) 두께 셀룰로오스를 이용해 빛에 반응하는 유연한 종이 소자를 개발했다. 나무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는 생체 친화적일 뿐 아니라 유연하다는 장점이 있다. 우선 셀룰로오스를 나노미터 수준으로 미세하게 가공해 99%의 빛이 투과하는 투명한 종이를 만든 뒤 그 위에 은 나노선과 환원...
한미 공동연구진, 잡아당기면 전기 생산하는 '실' 개발 2017-08-25 03:00:00
나노튜브(CNT)를 꼬아 만든다. '트위스트론'이라는 이름도 '트위스트'(twist·꼬다)에 접미사 '-트론'(-tron·기구)을 더한 용어로, 꽈배기처럼 꼬인 실의 형태를 묘사한 것이다. 실의 지름은 60∼70㎛(마이크로미터·1㎛=100만 분의 1m)로 사람 머리카락 굵기(약 100㎛)보다 가늘다. 꼬임 구조로...
친환경 종이 마이크로유체칩 개발…인체에 활용 가능 2017-08-23 12:00:04
23일 밝혔다. 마이크로유체칩은 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 규모에서 유체의 흐름과 열 전달, 물질 전달을 제어하는 기술이다. 임신 진단에서부터 단백뇨·말라리아 검사 등 의료 분야뿐만 아니라 독성가스와 중금속 이온 검출 등 환경 분야에서 널리 쓰인다. 최근 3D 프린팅을 활용해 마이크로유체칩을 제작하려는...
반도체 발열, 현미경으로 잡아낸다 2017-08-23 10:59:41
350나노미터(㎚, 10억분의 1m)의 분해능을 구현해 미세 반도체의 발열 특성도 확인할 수 있고, 소자 내부의 발열 영상까지 측정할 수 있다. 기존 적외선 현미경 방식은 공간 분해능이 3.0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에 불과해 수 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미세 반도체에는 적용이 어려웠다. 장기수 박사는 "이번...
빛으로 작동하는 '나노선 트랜지스터' 개발 성공 2017-08-21 12:00:12
수nm(나노미터·1nm=10억 분의 1m)인 구멍이 무수히 많이 나 있어, 평소에는 전류가 잘 흐르지 않는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빛을 쪼여주면 다공성 실리콘의 전류 흐름이 천만 배 이상 증폭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어 실리콘 나노선에 이 다공성 실리콘 2개를 넣어 트랜지스터를 제작했고, 트랜지스터로 논리회로를...
[이달의 산업기술상] 강상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센터장, 차세대 센서 핵심소재 상용화 기술 선보여 2017-08-17 18:37:39
약 1㎚(나노미터) 두께의 얇은 층으로 존재하는 이황화몰리브덴(mos₂)은 뛰어난 물리화학적 신축성 등을 지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차세대 센서나 유연소자의 핵심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강상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진공기술센터장(책임연구원·사진)은 이황화몰리브덴을 유연기판 소재인 플라스틱 위에 직접...
애플, '퀀텀닷-OLED 결합' 차세대 디스플레이 특허출원 2017-08-16 06:31:00
있다. QD-LED는 지름이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수만분의 1에 불과한 수∼수십 나노미터(nm)의 반도체 나노 결정인 퀀텀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소자다. 퀀텀닷의 크기에 따라 빛의 파장과 색깔이 달라진다. 이에 가까운 기술이 삼성전자의 'QLED' 브랜드 고급 TV에 일부 사용되고 있으나, 퀀텀닷 필름을 써서 LCD...
분자 한개짜리 반도체소자 실용화되나…상온서 안정 작동 2017-08-15 00:00:00
영국 런던에서 발간되는 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이런 내용을 포함한 논문을 실었다. 논문 공동제1저자인 박사과정 대학원생 보니 최 씨를 포함한 연구팀은 14개의 원자로 이뤄진 지름 0.5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짜리 무기물질 분자를 만들고 이를 금으로 된 전극과 연결했다. 마치 저항이나...
이병호 교수팀, 원편광 필터 개발… 머리카락 250분의 1 굵기 2017-08-14 17:36:39
교수(사진) 연구팀이 성인 머리카락 굵기의 250분의 1 크기에 해당하는 ‘초박형 원편광 필터’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원편광 필터는 3차원(3d) 안경과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광학 응용시스템에 이용되는 장치다. 그간 얇은 소재 개발이 힘들어 각종 웨어러블(착용형) 기기에 적용이 어려웠다.이 교수팀은...
서울대 이병호 교수팀, 머리카락보다 얇은 원편광 필터 개발 2017-08-14 10:26:42
머리카락 굵기의 250분의 1 크기에 해당하는 '초박형 원편광 필터'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원편광 필터는 3D 안경과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광학 응용시스템에 이용되는 장치다. 그간 얇은 소재의 개발이 어려워 각종 웨어러블(착용형) 기기에 적용이 어려웠다. 이에 이 교수팀은 나노 구조를 배열해 자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