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美증시 랠리 지속에 '고점 논란 재점화'…'볼마게돈' 경고도 2024-02-13 10:31:51
경제학상 수상자 로버트 실러가 도출한 것으로, 현 주가를 지난 10년간의 평균 인플레이션 조정 수익으로 나눈 것이다. 시장이 저평가 혹은 과대평가 됐는지를 보여준다. S&P 500의 CAPE는 33.4로 지난 1881년 이후 전반적으로 높지만, 1990년대 후반과 2021년에 나타난 이전 최고치보다는 여전히 훨씬 낮다. 이는 1999년...
크루그먼, 트럼프 관세 폭탄 예고에 "세계 경제 리더 역할 포기" 2024-02-02 10:21:32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뉴욕시립대 교수는 1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관세 폭탄' 정책이 미국 경제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다며 미국에 지정학적 손해를 가져다줄 것이라고 진단했다. 크루그먼 교수는 이날 블룸버그 TV에 출연해 관세 인상은 미국 국내 경제에 큰 영향을...
[주용석 칼럼] '불황의 청산효과' 누리는 美 경제 2024-01-31 17:54:40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뉴욕시립대 교수가 지난해 뉴욕타임스 칼럼 ‘미국 경제 성공의 비밀’에서 이 대목을 짚었다. 미국은 해고가 쉬운 나라다. 코로나19 때도 유럽 등과 달리 해고를 막지 않았다. 대신 실업급여를 늘렸다. 그 결과 단기적으로 실업률이 치솟았지만 팬데믹을 거치면서 달라진 시장 환경에 맞는...
[특파원 칼럼] 테일러노믹스에 밀리는 바이드노믹스 2024-01-29 18:04:15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미국 뉴욕시립대 교수는 지난 25일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서 이렇게 밝혔다. 미 경제가 뜨겁거나 차갑지 않은 이상적 상황보다 더 낫다는 얘기다. 지난해 미국 경제성장률은 전문가 추정치를 크게 웃돌았고 인플레이션은 시장 예상보다 빨리 둔화하고 있다. 크루그먼 교수는 “미국...
[커버스토리] 선의 담는다고 좋은 정책 될까요 2024-01-29 10:01:02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조지 스티글러의 ‘포획이론’이 이를 지적합니다. 규제 정책은 일부 소규모 집단엔 혜택으로 작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정책 당국이 이런 이익집단에 포획당해 이들의 구미에 맞는 규제를 만들 수 있다는 거죠. 특정 산업의 이익을 위해 정부 규제가 이용당하고 자원 배분이 왜곡될 수도 있습니다....
그녀가 뜨면 돈 '흥청망청'…美 대선 변수된 '테일러노믹스' [정인설의 워싱턴나우] 2024-01-29 01:58:18
빨리 둔화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2008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뉴욕시립대 교수는 소셜미디어 엑스(옛 트위터)를 통해 "미 국내총생산(GDP)은 만족스러울 만큼 뜨겁고 물가는 상쾌할 정도로 시원하다"며 "미국 경제가 골디락스 이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슈퍼 골디락스' 수준의 경제 상황이 온...
노벨경제학상 크루그먼 "美 경제 골디락스 아냐" 2024-01-26 09:29:15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폴 크루그먼 뉴욕시립대 교수가 미국 경제를 둘러싼 연착륙 기대감에 선을 긋고 나섰다. 25일(현지시간) 크루그먼 교수는 자신의 트위터(X)에 "미국 경제는 골디락스(Goldilocks)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골디락스는 경제가 너무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이상적인 상태를 뜻한다. 이날 공개된 미국의...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글로벌 지역경제 파편화 선 넘었다" 2024-01-25 17:13:19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다이아몬드 교수는 25일 홍콩에서 열린 아시아 금융포럼에서 "세계 여러 지역이 다른 그룹으로 나뉘면 무역효율성과 생산 효율성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과거 사람들의 생활 수준을 향상하고 빈부격차를 해소하는 큰 역할을 한 경제통합이 빠르게 저해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학의...
크루그먼 "中 경제부진에 기뻐해선 안돼…모두의 문제될 수도" 2024-01-20 04:28:39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뉴욕시립대 교수가 중국 경제의 부진에 기뻐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크루그먼 교수는 1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기고한 칼럼에서 "중국 경제가 불황과 절망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고 믿을만한 이유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일단 크루그먼 교수는 중국 경제는 구조 자체에...
[마켓칼럼] 자산배분 투자의 몇 가지 원칙 2024-01-17 14:16:01
보여주는 구절이다. 세월이 흘러 1952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해리 마코위츠가 포트폴리오 이론을 체계화하며 단순한 1/n 분산 투자를 넘어, 이른바 '최적화'를 기반으로 한 본격적 자산배분 투자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후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지금도 다양한 이론들이 발표되며 자산배분 투자의 방법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