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 사진 송고 LIST ] 2018-01-02 15:00:03
14:37 서울 하사헌 최재형 신임 감사원장 취임사 01/02 14:37 서울 이재희 인흥군이 남긴 문집 '선군유권' 01/02 14:38 서울 배재만 대화하는 최태원-정의선 01/02 14:38 서울 이재희 인흥군 이영의 문집 '선군유권' 유일본 전시 01/02 14:38 서울 양영석 새해 첫 입소…"사랑합니다" 01/02...
국가 개혁 꿈꿨던 유형원의 저술 엮은 '반계유고' 출간 2018-01-02 09:00:56
했다. 그러나 반계수록 이외의 글로 구성된 6권짜리 문집인 '반계선생유집서'(磻溪先生遺集序)는 실종된 상태다. 이번에 나온 반계유고는 완벽하지는 않지만, 현대에 일부를 복원한 반계의 문집인 셈이다. 반계유고는 3부로 구성됐다. 1부에는 반계의 시 182편을 수록했고, 2부에는 반계가 역사·지리·철학 등 여...
‘집사부일체’ 시청률 첫방부터 터졌다…이승기 성공 복귀 2018-01-01 11:34:25
삼청동 `하얀대문집`에 도착했다. 사부의 집 구석구석을 살펴보던 이승기는 냉장고 안 박스를 통해, 나머지 멤버들은 집안 곳곳의 물건과 낙서로 사부의 정체를 알아챘다. 마침내 집에 도착한 전인권을 마주한 네 사람은 동시에 90도 인사를 한데 이어 당황한 채 ‘입’만 웃으며 사부님을 바라봤다. 사부의 주변에 자리를...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문화 2017-12-30 15:00:03
민요록밴드 '씽씽'에 해외반응 후끈…유튜브 100만 돌파 171230-0181 문화-0024 11:00 광해군 이복동생이 남긴 문집 '선군유권' 유일본 첫 공개 171230-0182 문화-0025 11:00 [쉿! 우리동네] 대원군도 인정한 호남 유학의 본향 장성 --------------------------------------------------------------------...
광해군 이복동생이 남긴 문집 '선군유권' 유일본 첫 공개 2017-12-30 11:00:07
시문집으로 현존 유일본인 '선군유권'(先君遺卷)이 일반에 처음으로 공개된다. 선군유권은 '아버지의 문집'이라는 뜻으로, 인흥군의 큰아들로 글씨에 능했던 낭선군 이우(1637∼1693)가 필사했다. 국립중앙도서관은 선군유권을 포함해 도서관 소장 자료 중 가치와 예술성이 뛰어난 자료인 선본(善本) 26종...
논산명재고택에는 왜 담과 솟을대문이 없을까 2017-12-29 11:30:24
음식 문화도 소개한다. 이이와 성혼의 사상을 이어받은 윤증의 무실학풍은 실심, 진실된 마음이 기본이 돼야 한다고 말한다. 책은 역사서뿐 아니라 종손 윤완식 씨를 비롯해 생존한 문중 어른들 인터뷰, 집안이 소장한 문집과 문서 등 수많은 기록물을 바탕으로 했다. 124점의 색도판도 함께 실렸다. 264쪽. 2만8천 원....
17세기초 상류주택 '영양 한양조씨 종택' 국가민속문화재 지정 2017-12-29 09:51:19
고택이 대부분 18∼19세기에 지어졌다는 점을 고려하면 건립 연대가 이르고, 중요한 제례가 그대로 전승되고 있으며, 건립과 중수에 대한 내용을 담은 문헌과 편액이 남아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조임의 사월문집 책판은 2015년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유교책판'의 일부이기도 하다. psh59@yna.co.kr...
中 마오쩌둥 탄생 124주년…고향선 폭죽 추모 관행도 금지 2017-12-25 10:40:56
개최되고 일부 지방서점에서 새로운 마오 문집이 발간됐을 뿐이다. 절대 다수의 지역에서는 마오를 기리는 기념행사가 열리지 않았고 현지 당국이 개최를 허용하지도 않았다. 심지어 마오의 고향인 후난(湖南)성 사오산(韶山)시 공안국은 환경오염, 안전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며 마오 탄생 기념일에 폭죽을 터뜨리던 관...
학담 스님 "처절했던 소요·청매 보면서 오늘의 불교 반성" 2017-12-20 19:06:35
선시 해석한 문집 출간 (서울=연합뉴스) 정아란 기자 = "소요태능 선사와 청매인오 선사를 보면서 오늘의 불교를 반성했습니다. 요즘 스님들이 너무 편하게 살잖아요. 쉽게 말하면 참선으로 먹고살기도 하고……. 그에 반해 처절하게 살았던 스님 두 분을 보면서 반성하게 되는 것이죠." 학담 스님이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17∼19세기 곡성 역사·문화 담긴 고문서 400여점 햇빛 2017-12-18 11:30:08
광범위하게 걸쳐 있어 곡성군의 역사와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호남지방문헌연구소는 2002년에 전남대 김대현 교수를 비롯한 여러 관련 연구자에 의해 설립됐다. 호남 지방 한문 문집 등 고문헌이나 고문서의 발굴과 수집·정리 등에 힘쓰고 있는 연구 단체다. kjsu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