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인체이식형 의료기기 업체 책임보험 미가입시 행정처분 2022-04-22 10:24:14
인체이식형 의료기기 제조·수입업자의 책임보험 가입이 의무화됨에 따라 이를 위반하는 경우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을 담은 '의료기기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을 22일 입법예고했다. 이 개정안에는 인체이식형 의료기기 제조·수입업체가 책임보험에 가입하지 않고 의료기기를 판매한 경우에 대한 처분 기준이...
"혈압계·혈당측정기 등 의료기기에 점자·수어영상 표시 권장" 2022-04-21 11:03:04
의료기기 제조업자나 수입업자가 점자 등 표시에 필요한 행정적·재정적·기술적 지원을 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식약처장은 표시 방법·기준 개발, 교육·홍보 등 업무를 전문기관 등에 위탁할 수도 있다. 최 의원은 장애인이 만성질환을 동반하는 비율이 비장애인보다 높고, 장애인의 의료기기 사용도 증가하고...
"인터넷서 산 샤넬 진품 아닐 수도"…2000조로 커진 전세계 짝퉁시장 2022-04-21 09:15:45
수입업자들이 국내에 상품을 가져오는 방법은 다양하다. 해외 명품 판매처에서 물건을 사오거나 명품 생산공장에서 직접 상품을 들여오는 방법들이다. 판매가격은 백화점 등 공식 유통 루트를 이용할 때보다 훨씬 저렴하다. 상품을 가져오는 과정에서 짝퉁이 섞여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패션업계에서는 이런 식으로...
적자에도 실탄 쏟아붓는다…'리셀 플랫폼' 덩치 키우기 경쟁 2022-04-18 11:02:51
병행수입업자가 플랫폼에 들어와 물건을 판매하는 발란, 머스트잇 등 오픈마켓형 플랫폼에서 점차 개인 간 거래로 진화 중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거래 품목을 확대하면 당근마켓, 번개장터, 중고나라 등 중고거래 플랫폼과의 경쟁도 가능하다. 네이버와 크림은 상품의 진위 여부를 판별해주는 시스템을 정착함으로써 새로운...
[월드&포토] "레바논에선 이제 빵이 사치품이 될겁니다" 2022-04-13 16:56:15
수입업자에게 1천530만 달러(약 187억 원)의 보조금을 지급해 숨통을 틔우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 보조금으로 버틸 수 있는 기간은 2∼3주 정도라고 합니다. 다음 달 초 라마단이 끝나면 또다시 빵을 구하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는 사람들이 생겨날 겁니다. 레바논 정부가 식량 위기 타개를 위해 세계은행(WB)...
한국산 의류에서 코로나 탓하는 중국 "제품 주문 50% 감소" 2022-04-08 20:11:26
있다는 의심이 제기된 후 중국 내 수입업자와 온라인 쇼핑몰 판매자들이 주문 접수를 중단하거나 방역 작업을 강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지 최대 온라인 쇼핑몰인 티몰에서 한국 의류를 판매하는 업자는 글로벌타임스에 "잠재적인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제품이 도착하면 소독 작업을 하고, 고객에게 상품을 발송하기 전 한...
中 관영매체 "감염 연관 의심 후 한국산 의류 수입 감소" 2022-04-06 11:28:43
내 수입업자와 온라인 쇼핑몰 판매자들이 주문 접수를 중단하거나 방역 작업을 강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최대 온라인 쇼핑몰인 티몰에서 한국 의류를 판매하는 업자는 글로벌타임스에 "잠재적인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제품이 도착하면 소독 작업을 하고, 고객에게 상품을 발송하기 전 한 차례 더 소독하고 있다"고 말했다....
손바닥만 한 술병 라벨에…8개 부처 '벌떼 규제' 2022-04-05 17:14:40
제조·수입업체 등 업계 관계자들을 불러 모았다. 현재 주류는 업계 자율로 칼로리 표기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이를 의무 표기로 바꾸는 시도다. 식약처는 알코올 함량이 1% 미만인 저알코올 주류를 표기하는 문구 삽입도 추진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도 올해 초 업계 관계자를 정부세종청사로 불러 라벨에 칼로리를...
中매체, 한국의류 통한 감염 가능성 부각…韓제품 배척 우려 2022-04-05 16:50:13
바이러스 유무를 확인하고, 수입업자에게 제품과 관련한 서류 제출도 엄격하게 요구하고 있다. 베이징 외에도 다른 일부 지역은 해외발 컨테이너를 일괄적으로 10일간 항구에 대기시킨 뒤 내지로 이송토록 하는 등 중국 여러 지역에서 수입 제품에 대한 방역 강화 조치가 시행되고 있다. 이렇듯 한국산 수입품뿐 아니라...
동물학대 제재강화-맹견 사육허가제…동물보호법 개정안 국회 통과(종합) 2022-04-05 16:05:11
있다. 반려동물 산업 체계도 일부 개편된다. 동물수입업·판매업·장묘업이 등록제에서 허가제로 바뀌며, 무허가·무등록 영업에 대한 처벌 수위가 기존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서 최대 '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으로 강화된다. 이번 개정안은 향후 국무회의와 대통령 재가를 거쳐 공포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