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안드로메다 은하 둘러싼 가스 우리 은하와 이미 충돌 중" 2020-09-01 16:18:58
빛을 분석했다. 퀘이사는 수십억 광년 떨어져 있지만 별처럼 밝게 빛나는 활동성 은하의 핵으로, 이곳에서 나온 자외선 빛이 헤일로를 통과할 때 흡수되는 것을 분석해 헤일로의 물질을 파악하고 지도를 만들었다. 이번 연구에 활용된 퀘이사는 총 43개로 다른 은하의 헤일로를 분석할 때 활용된 1~2개보다 훨씬 더...
[책마을] 0이 도대체 몇 개야…'숫자에 약한' 사람들 모여라 2020-08-27 17:19:56
조명한다. 지수나 로그 같은 용어와 광년, 테라 등 온갖 단위가 등장하지만 수학적 지식과 능력이 없어도 내용을 따라갈 수 있다. 이 책은 ‘숫자가 약한’ 사람들의 수 이해력을 높이고, 세상의 겉모습이 아니라 골격을 파악하는 ‘수리적 세계관’을 갖추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대중교양서다. 그만큼 쉽고 재미있게...
"지구, 고대 초신성 폭발이 남긴 대형 구름 속 지나는 중" 2020-08-25 16:03:27
30광년 길이 '국부성간구름'과 일치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지구가 지난 3만3천년간 고대 초신성이 남긴 대형 구름 속을 지나왔으며, 현재도 항진 중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국립대학(ANU)과 과학전문 매체 '사이언스얼러트'(ScienceAlert) 등에 따르면 이 대학 핵물리학자 안톤 월너...
별에 속박받지 않고 움직이는 '떠돌이 행성' 별만큼 많을 수도 2020-08-22 09:50:21
2만4천광년에 달하는 우주 공간을 훑으며 지상에서 떠돌이 행성을 탐사해온 망원경보다 10배 더 강력한 성능을 갖고 이를 찾아낼 것으로 예측했다. 로먼 망원경은 별이나 행성의 중력장이 더 먼 곳의 천체에서 나오는 빛을 굴절 시켜 여러 개의 상을 만드는 이른바 마이크로 중력렌즈 효과를 이용해 떠돌이 행성을 찾는다....
[고두현의 문화살롱] 견우·직녀 잇는 오작교의 길이는 얼마나 될까 2020-08-21 17:37:28
광년 거리에 있고, 태양의 2.3배 크기에 밝기는 34~40배나 된다. 이들은 어떻게 만날까. 실은 만나지 못하고 제자리에서 바라보기만 한다. 지구의 공전에 따라 우리 위치가 바뀌어 그렇게 보일 뿐이다. 칠석 무렵 우리 머리 위에서 반짝이는 두 별의 각도 때문에 극적 상봉과 같은 착시가 일어난다. 두 별 사이의 거리는 약...
"지구 대멸종 중 한 차례 이상 초신성 폭발이 주범" 2020-08-19 14:48:39
광년 이상 떨어진 오리온자리의 α별 '베텔게우스'로 살상 거리인 25광년을 크게 벗어나 있는 것으로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운석 충돌이나 태양 폭발, 감마선 폭발 등 오존층 고갈을 야기할만한 다른 천체 사건도 검토했으나, 데본기 말기에 이뤄진 것 같은 장기간에 걸친 오존층 고갈을 초래하지는 않는...
블랙홀 리듬에 맞춰 100광년 밖서 감마선 방출 가스구름 확인 2020-08-18 16:01:23
광년 밖서 감마선 방출 가스구름 확인 미니 퀘이사 SS433 10년치 관측자료 분석…작동 원리는 규명 못 해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지구에서 약 1만5천 광년 떨어진 독수리자리의 가스 구름이 인근 블랙홀과 연결돼 심장 박동처럼 감마선을 방출하는 것이 관측됐다. 독일 전자·싱크로트론 연구소(DESY)의 리지안...
첫 외계 인터스텔라 천체 오우무아무아 "수소 얼음 아니다" 2020-08-18 11:03:18
것으로 추정돼왔다. 거대분자운은 수십~수백 광년 크기를 가진 수소 분자 구름을 말한다. 1광년(빛이 1년동안 진행하는 거리, 9조4600억㎞)을 감안하면 상상조차 할 수 없을 만큼 큰 구름이다. 거대분자운은 별의 생성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하며 영하 270도에 가까운 극저온이다. 한국천문연구원 티엠 황 선임연구원과...
초신성 폭발 임박설 '베텔게우스 미스터리' 허블망원경이 풀어 2020-08-14 14:41:15
약 725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적색 초거성으로 항성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베텔게우스는 420일 주기로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며 별빛이 변화해 왔지만 작년 말부터 올해 초 사이에 나타난 별빛 감소는 이를 훨씬 넘어서는 것이었다. 당시 별빛은 1830년대에 영국 천문학자 존 허셸이 처음 관측한 이후 가장 낮은 것으로...
[사이테크 플러스] "120억년 전에도 우리은하와 닮은 어린 은하 존재했다" 2020-08-13 06:00:07
연구팀 "중력렌즈 효과 이용, 120억 광년 밖 은하 정밀 관측 성공"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독일과 네덜란드 공동연구팀이 120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우리은하와 놀랄 만큼 비슷한 형태의 초기 우주 은하를 발견했다. 독일 막스플랑크 천체물리학연구소와 네덜란드 흐로닝언대학 캅테인천문연구소 연구팀은 13일...